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산전과 산후 우울증이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2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Using th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collected from 2008 to 2010, 537 mothers who experienced prenatal d...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Using th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collected from 2008 to 2010, 537 mothers who experienced prenatal depression and their infants were studie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mothers’ depression at 1 month before delivery, 1 month after delivery, and 4 months after delivery?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t 1 year, 2 years, and 3 years of age? 3) How ar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To analyze data, repeated measurement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indings are as follows: 1) A U-shape was found in the process of mothers’ depression from 1 month before delivery to 4 months after delivery. 2) A U-shape was found from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from 1 year to 3 years after birth. 3) Mothers’ depression at 1 month after delivery positively affected their depression at 4 months after delivery. 4)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t 1 year after birth positively affected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t 2 years after birth. 5) Mothers’ post-natal depr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infants’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t 1 year and 2 years after birth.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for mothers’ post-natal depression at the beginning stage are required to improve child communication compet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숙환, "행복한 사회로의 심리학: 심리학, 행복을 말하다 Psychlogy Toward Happiness" 308-309, 2010

      2 은백린, "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K -ASQ) 발달선별검사의 문항 적절성 평가" 대한소아신경학회 22 (22): 39-41, 2014

      3 신나리;육아정책연구소 편, "한국아동패널. 2010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산전후 우울증변화-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한 단기종단연구-" 호암교수회관 313-329, 2010

      4 이영환, "한국아동패널 자료 분석을 통한 육아지원정책의 방향성 모색" 117-132, 2012

      5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08(1차년도) 도구 프로파일"

      6 홍수종, "한국아동패널" 63-79, 2014

      7 이완정, "한국아동패널" 271-290, 2014

      8 이승휘, "출산 후 여성의 우울성향과 영아기질,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연관성" 37 (37): 95-103, 1998

      9 김은숙, "임신 중 우울수준과 사회 심리적 요인과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228-241, 2008

      10 김종두, "의사소통능력" 정민사 2017

      1 조숙환, "행복한 사회로의 심리학: 심리학, 행복을 말하다 Psychlogy Toward Happiness" 308-309, 2010

      2 은백린, "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K -ASQ) 발달선별검사의 문항 적절성 평가" 대한소아신경학회 22 (22): 39-41, 2014

      3 신나리;육아정책연구소 편, "한국아동패널. 2010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산전후 우울증변화-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한 단기종단연구-" 호암교수회관 313-329, 2010

      4 이영환, "한국아동패널 자료 분석을 통한 육아지원정책의 방향성 모색" 117-132, 2012

      5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08(1차년도) 도구 프로파일"

      6 홍수종, "한국아동패널" 63-79, 2014

      7 이완정, "한국아동패널" 271-290, 2014

      8 이승휘, "출산 후 여성의 우울성향과 영아기질,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연관성" 37 (37): 95-103, 1998

      9 김은숙, "임신 중 우울수준과 사회 심리적 요인과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228-241, 2008

      10 김종두, "의사소통능력" 정민사 2017

      11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2

      12 김숙령,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91-108, 2015

      13 김연수,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아동 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191-207, 2010

      14 곽금주,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아기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한국아동학회 25 (25): 111-128, 2004

      15 Boysson-Bardies, B., "영아 언어의 이해" 학지사 2005

      16 김진경, "어머니의 출산 전․후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영아 발달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591-611, 2016

      17 성다겸, "어머니의 출산 전 우울과 임신 시 느낌이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모교육 경험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1 (21): 19-33, 2017

      18 김현옥, "어머니의 우울이 영아의 심리·정서적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3) : 1-21, 2013

      19 박찬화,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과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13-134, 2015

      20 박성연,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5-30, 2005

      21 강민철,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149-168, 2012

      22 조현주, "산후 우울증에 대한 예측 및 임신 중 우울증의 회복 요인에 대한 연구" 15 (15): 245-254, 2004

      23 김혜원, "산전우울의 영향요인"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95-104, 2010

      24 곽금주,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학지사 2016

      25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26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7 박성현, "고급 SPSS 이해와 활용" 한나래 2011

      28 Stein, A.,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natal depress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158 (158): 46-52, 1991

      29 Murray, L., "The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development" 8 (8): 55-63, 1996

      30 Grace, S. L., "The effe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and behavior: A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6 (6): 263-274, 2003

      31 Murray, L.,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and associated adversity on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later infant outcome" 67 (67): 2512-2526, 1996

      32 Goldin-Meadow, S., "Talking and thinking with our hands" 15 (15): 34-39, 2006

      33 Oppo, A.,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 rol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 Revised (PDPI-R)" 12 (12): 239-249, 2009

      34 Reinhartsen, D., B, "Preverb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 essential step in the lives of infants with severe physical impairment" 13 (13): 49-59, 2000

      35 Bennett, H. A., "Prevalence of depression during pregnancy: Systematic review" 103 (103): 698-709, 2004

      36 Kingston, D., "Prenatal and postpartum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43 (43): 683-714, 2012

      37 Miller, L. J., "Postpartum depression" 287 (287): 762-765, 2002

      38 Tomlinson, M., "Post-partum depression and infant growth in a South African peri-urban settlement" 32 (32): 81-86, 2006

      39 Paavola, L., "Maternal responsiveness and infant intentional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the early communicative and linguistic development" 31 (31): 727-735, 2005

      40 Prenoveau, J. M.,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hild emotional negativity and behavior problems at two years" 53 (53): 50-62, 2017

      41 Petzoldt, J., "Maternal anxiety versus depressive disorders: Specific relations to infants' crying, feeding and sleeping problems" 42 (42): 231-245, 2015

      42 Iverson, J. M., "Infant vocal-motor coordination: precursor to the gesture-speech system?" 75 (75): 1053-1066, 2004

      43 Sohr-Preston, S. L. S., "Implications of timing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or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9 (9): 65-83, 2006

      44 Righetti-Veltema, M.,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on mother and her 18-month-old infant" 12 (12): 75-83, 2003

      45 김준경, "Global Approach to Longitudinal Study on Child Development. 2016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A Structural Analysis among Marital Conflict, Mothers' Depression and Toddlers' Sleep Problems depending on Temperament Types of Toddlers" 269-291, 2016

      46 Perra, O., "Does mothers' postnatal depression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imitation?" 56 (56): 1231-1238, 2015

      47 Campbell, S. B., "Depression in first-time mothers: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depression chronicity" 31 (31): 349-357, 1995

      48 Downey, G.,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108 (108): 50-76, 1990

      49 Kline, R. B., "Beyond significance testing statistics reform in the behavioral sci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50 Silva, C. S., "Association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practice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life" 93 (93): 356-364, 2017

      51 신애선, "6~25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발달 및 기질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519-539, 2013

      52 신애선, "24~36개월 영아의의사소통적 몸짓, 기질과 어휘력의 관련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511-536, 2015

      53 박찬화, "2013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어머니 우울증이 유아기 자녀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상공회의소 140-166, 2013

      54 이유진, "10~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및 어머니-영아의 상호반응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KALS ->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ALS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38 2.177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