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lternaria sp.에 의한 키위 과실 더뎅이병의 특성분석 및 병방제 농약 선발 = Characterization of kiwi scab caused by Alternaria sp. on kiwi fruit and developing chemical control strateg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46864

      • 저자
      • 발행사항

        순천 :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순천대학교 대학원 , 스마트농업전공 , 2022. 8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74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기타서명

        Characterization of kiwi scab caused by Alternaria sp. on kiwi fruit and developing chemical control strategies in Korea

      • 형태사항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숙영
        참고문헌 : p.

      • UCI식별코드

        I804:46008-000000010080

      • 소장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wifruit has been producing about 25,000 tons of cultivated area of 1,300 hectares in Jeju Island and southern coastal areas since 2017. In June 2020, a turtle shell-shaped symptom was observed in ‘Hongyang’, one of the kiwi fruit varieties, at an orchard located in Suncheon, Jeollanam-do, South Korea.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small, circular and oval spots were formed, and as the spots grew larger and larger, they changed to a cracked scab of 1 to 7 cm with a light border in the latter part.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Alternaria spp. The ITS, GAPDH, Alta1 and Tef1 sequences matched with A. tenuissima. Using MEGA X program, maximum likelihood analysis based on the concatenated ITS, GAPDH, Alta1 and Tef1 sequences placed the isolates within a clade comprising A. tenuissima. In order to control scab disease in kiwi fruits, triazole-based difenoconazole, a fungicide that inhibits the biosynthesis of sterols in the membrane, showed strong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A. tenuissima in vitro. This scab disease on kiwi fruits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until now. Our data will help to control scab disease on kiwi fruits in Korea.
      번역하기

      Kiwifruit has been producing about 25,000 tons of cultivated area of 1,300 hectares in Jeju Island and southern coastal areas since 2017. In June 2020, a turtle shell-shaped symptom was observed in ‘Hongyang’, one of the kiwi fruit varieties, at a...

      Kiwifruit has been producing about 25,000 tons of cultivated area of 1,300 hectares in Jeju Island and southern coastal areas since 2017. In June 2020, a turtle shell-shaped symptom was observed in ‘Hongyang’, one of the kiwi fruit varieties, at an orchard located in Suncheon, Jeollanam-do, South Korea.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small, circular and oval spots were formed, and as the spots grew larger and larger, they changed to a cracked scab of 1 to 7 cm with a light border in the latter part.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Alternaria spp. The ITS, GAPDH, Alta1 and Tef1 sequences matched with A. tenuissima. Using MEGA X program, maximum likelihood analysis based on the concatenated ITS, GAPDH, Alta1 and Tef1 sequences placed the isolates within a clade comprising A. tenuissima. In order to control scab disease in kiwi fruits, triazole-based difenoconazole, a fungicide that inhibits the biosynthesis of sterols in the membrane, showed strong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A. tenuissima in vitro. This scab disease on kiwi fruits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until now. Our data will help to control scab disease on kiwi fruits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참다래는 고소득 작목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2017년부터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서 1,300 ha 재배면적에 25,000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2020년 6월 한국의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한 과수원에서 참다래의 홍양 과실에서 더뎅이 증상의 병징이 관찰되었다. 생육 초기에는 작고 원형 및 타원형의 반점들이 생기고 반점이 점점 커지면서 후기에는 연한 테두리와 함께 1~5cm의 금이 간 딱지 모양으로 변했다. 더뎅이 증상이 보이는 7개의 과실을 수거 후 분리하여 총 3개의 균주를 얻었으며 균학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하였다. 균학적 동정 결과에서 Alternaria tenuissima의 특징들과 일치하였다. GAPDH, Alt1, Tef1 (Alternaria specific) 염기서열을 파악 후 NCBI 유전자 은행에 Blast search 결과 A. tenuissima로 100% 일치하였다. 따라서, 세 개의 유전자 분석과 균학적 동정 결과에서 A. tenuissima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참다래 더뎅이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막에서 스테롤 생합성을 저해시키는 약제인 트리아졸계의 디페노코나졸이 효과가 우수하며 트리아졸계 계통의 약제를 더 선발하여 효과 시험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병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A. tenuissima에 의한 ‘참다래 더뎅이병’으로 이 실험을 통해 국내 참다래 산업발전과 농가소득증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A. tenuissima에 의한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에 대한 최초 보고한 연구이다.
      번역하기

      참다래는 고소득 작목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2017년부터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서 1,300 ha 재배면적에 25,000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2020년 6월 한국의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한 과수원에...

      참다래는 고소득 작목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2017년부터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서 1,300 ha 재배면적에 25,000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2020년 6월 한국의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한 과수원에서 참다래의 홍양 과실에서 더뎅이 증상의 병징이 관찰되었다. 생육 초기에는 작고 원형 및 타원형의 반점들이 생기고 반점이 점점 커지면서 후기에는 연한 테두리와 함께 1~5cm의 금이 간 딱지 모양으로 변했다. 더뎅이 증상이 보이는 7개의 과실을 수거 후 분리하여 총 3개의 균주를 얻었으며 균학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하였다. 균학적 동정 결과에서 Alternaria tenuissima의 특징들과 일치하였다. GAPDH, Alt1, Tef1 (Alternaria specific) 염기서열을 파악 후 NCBI 유전자 은행에 Blast search 결과 A. tenuissima로 100% 일치하였다. 따라서, 세 개의 유전자 분석과 균학적 동정 결과에서 A. tenuissima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참다래 더뎅이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막에서 스테롤 생합성을 저해시키는 약제인 트리아졸계의 디페노코나졸이 효과가 우수하며 트리아졸계 계통의 약제를 더 선발하여 효과 시험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병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A. tenuissima에 의한 ‘참다래 더뎅이병’으로 이 실험을 통해 국내 참다래 산업발전과 농가소득증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A. tenuissima에 의한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에 대한 최초 보고한 연구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6
      • II. 재료 및 방법 9
      • 1. 신규 병해 발생조사 및 병징. 9
      • 2.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분리. 11
      • 3.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균학적 동정. 13
      • I. 서론 . 6
      • II. 재료 및 방법 9
      • 1. 신규 병해 발생조사 및 병징. 9
      • 2.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분리. 11
      • 3.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균학적 동정. 13
      • 4.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13
      • 5.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균의 방제 약제 실내 선발. 17
      • III. 결과 및 고찰. 19
      • 1.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균의 분리 및 동정 . 19
      • 2. 참다래 과실 더뎅이병원의 방제약제 선발. 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