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대 메두사 도상 연구 : 기원전 7~4세기 도기화를 중심으로 = (A)study on the iconography of Medusa in the ancient Gree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994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술사학과 , 2007. 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10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송미숙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genealogy of the 1conography of Gorgon Medusa between the periods of the archaic and the classical inGreece, and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transformation on the aspectof the contrasting types of the represen...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genealogy of the 1conography of Gorgon Medusa between the periods of the archaic and the classical inGreece, and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transformation on the aspectof the contrasting types of the representation.
      The archaic image of Medusa is preyed to have been either as anapotropaic talisman or as Mother god, the mistress of animals, ruling thenature before greek human gods. But it was driven to the border of theolympian cosmos, when the classical era has been arrived accompanying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the greek culture. In this context, thereare two opposing features coexisted, in the archaic Medusa: an olddaimon gradually forgotten and alienated by the new ideology of the dayin seeking for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community; a terrifying deitystill equipped with the divine power from the ancient time.
      As it had reachod the classical period, however, a sleeping beauty and a pretty faced head substituted for the awestruck Image of Medusa. Thischange in the iconography of Medusa is, in fact a part of a greaterchange that is observed in the greek culture in general around the 5thcentury, In this period, when the class of the citizen with suffrageappeared in Athens, the role that the literature and art took inconstructing the model of a common identity, namely the citifen, andeducating it in various ways was docisive.
      Then the basic change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och as painting orsculpture lies on the way those images engage the viewer in the scone.That is, an archaic image is less a representation of a certain obiect thana real thing or being with its own magical power, which affects thereality of people. But what appeared in the classical art is the closedtime where the elements of the scone communicate each other withoutregard fir the efistence of the viewer. In short, while an archaic imagegazes at the viewer, the classical one alienates him so as to be a voyeurThe voyeurism induces not the reflection but the empathy and theidentification, in that sense takes a role to infuse a new political modelinto the vie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1.1 메두사 도상의 일반적 특징 = 1
      • 1.2 연구 방향과 목적 = 3
      • 2. 연구방법 = 4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1.1 메두사 도상의 일반적 특징 = 1
      • 1.2 연구 방향과 목적 = 3
      • 2. 연구방법 = 4
      • 2.1 쟁점들 = 5
      • 2.1.1 고전기 미술과 서사 (narrative) = 5
      • 2.1.2 상소기 미술과 '상형문자' = 7
      • 2.1.3 서사와 동일화 (identification) = 8
      • 2.2 문제설정 = 10
      • 2.2.1 시각적 재현에서 언어적 구조의 역할 = 10
      • 2.2.2. 마술적 이미지와 이성의 언어 = 12
      • 2.2.3 고전기의 주체형성과 언어 = 14
      • 2.2.4 메두사 도상의 상징성과 의의 = 17
      • 3. 연구범위 = 19
      • Ⅱ. 연구의 갈래들 = 21
      • 1. 자연/기상현상 = 22
      • 1.1 기상 = 22
      • 1.2 동식물 = 24
      • 2. 동방화 = 27
      • 2.1 이집트 유래설 = 27
      • 2.2 아시리아 유래설 = 30
      • 3. 액막이와 가면 = 33
      • 3.1 가면 = 33
      • 3.2 액막이 = 34
      • 4. 정리 = 36
      • 4.1 푸르트뱅글러의 양식분석 = 36
      • 4.2 해리슨의 계보학적 접근 = 38
      • Ⅲ. 상고기 유형 = 42
      • 1. 로도스 기법 접시 그림 = 43
      • 1.1 원시신앙의 여신들 = 43
      • 1.2 동방화의 흔적 = 45
      • 1.3 결론 = 48
      • 2. 코르푸,아르테미스 신전 박공 조각 = 49
      • 2.1 메도사 모티프 = 49
      • 2.2 박공 양쪽 모서리 모티프들 = 52
      • 2.3 결론 = 54
      • 2.3.1모티프들의 결합 = 54
      • 2.3.2. 여신-메두사 = 57
      • 3. 엘레우시스 암포라에서 베를린-화가의 범아테나 제전 암포라(Munich 2312)까지 = 57
      • 3.1 추격장면 = 58
      • 3.2 기형(器型)과 재현된 이미지 = 61
      • 4. 고르고네이온 = 64
      • 4.1 얼굴,가면,응시 = 64
      • 4.2 재현의 장(場)으로서의 도기 = 66
      • 4.2.1 톤도 = 66
      • 4.2.2 고르고네이온-스퀴포스 = 70
      • Ⅳ. 고전기 유형 = 76
      • 1. 메두사의 죽음 = 77
      • 1.1 도기 그림에 묘사된 메두사의 죽음 = 78
      • 1.2 몰입과 동일화 = 80
      • 2. 방패 = 82
      • 2.1 아테네와 아이기스 = 84
      • 2.2 에크세키아스와 방패 = 87
      • 2.3 죽음의 상징 = 90
      • 3. 아름다운 머리 = 94
      • 3.1 응시하지 않는 고르고네이온 = 94
      • 3.2 타르폴리-화가의 고르고네이온들 = 97
      • Ⅵ. 결론 = 100
      • 참고도판 = 107
      • 참고 문헌 = 125
      • ABSTRACT = 1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