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독구결 자료는 1992년 <글> 2.0에서 구결자의 입출력이 가능해진 이후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전산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글은 그동안 석독구결 자료를 전산 입력하고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11135
장경준 (고려대학교)
2011
Korean
석독구결 ; 전산 입력 ; 교감 ; Seokdok-kugyol ; computer input ; correction
911
KCI등재
학술저널
307-349(4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석독구결 자료는 1992년 <글> 2.0에서 구결자의 입출력이 가능해진 이후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전산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글은 그동안 석독구결 자료를 전산 입력하고 교...
석독구결 자료는 1992년 <글> 2.0에서 구결자의 입출력이 가능해진 이후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전산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글은 그동안 석독구결 자료를 전산 입력하고 교감해 온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고, 최신 입력 자료인 ‘sktot_2011_08’을 대상으로 하여 전산 입력 및 교감의 원칙과 내용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 것이다. 앞으로 현재의 입력 자료에 있을 오류 또는 견해 차이가 없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고 나아가 현재의 ‘원본’과 ‘교감본’에 더하여 ‘한문 원문’과 ‘현대어 번역본’을 추가하거나 원본 이미지를 연결하는 작업 등을 더하여 석독구결 연구의 기초를 든든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puterized Seokdok-kugyol materials have been widely used by the efforts of many researchers since 1992. In this article, a brief history of computerizng and correction of Seokdok-kugyol materials is overviewed. And then principles and contents ...
The computerized Seokdok-kugyol materials have been widely used by the efforts of many researchers since 1992. In this article, a brief history of computerizng and correction of Seokdok-kugyol materials is overviewed. And then principles and contents of computerizng and correction of 'sktot_2011_08', the latest version of computerized Seokdok-kugyol materials are fairly described. This version is needed to reverse of course and, hopefully, is needed to expand to new version which is linked with original Chinese texts, translated texts(into modern Korean), real images of Seokdok-kugyol material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식, "컴퓨터 입출력을 위한 口訣字의 코드체계에 대한 試論" 1 : 235-265, 1996
2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해독 방법 연구" 태학사 2007
3 황선엽, "석독구결사전" 박문사 2009
4 이은규, "석독 입겿 자료의 전산 처리" 11 : 333-373, 1996
5 정재영․박진호,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in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139-149, 2002
6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7 심재기․이승재, "華嚴經 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29-111, 1998
8 남성우, "舊譯仁王經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195-251, 1998
9 남풍현, "瑜伽師地論(卷20)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253-336, 1998
10 정재영, "合部金光明經(卷三)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113-193, 1998
1 이건식, "컴퓨터 입출력을 위한 口訣字의 코드체계에 대한 試論" 1 : 235-265, 1996
2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해독 방법 연구" 태학사 2007
3 황선엽, "석독구결사전" 박문사 2009
4 이은규, "석독 입겿 자료의 전산 처리" 11 : 333-373, 1996
5 정재영․박진호,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in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139-149, 2002
6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7 심재기․이승재, "華嚴經 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29-111, 1998
8 남성우, "舊譯仁王經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195-251, 1998
9 남풍현, "瑜伽師地論(卷20)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253-336, 1998
10 정재영, "合部金光明經(卷三)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3 : 113-193, 1998
11 김지오, "≪合部金光明經≫ 卷3의 誤記에 대하여" 2010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