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중고기 왕경의 숲 개간과 경관변화 = Forest clearing and Landscaping change of royal Capital in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58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orestry articles of the Gyeongju Basin from the view of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In previous studies, forest space was just a background of human history. From the view of socio-economic history, it ...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orestry articles of the Gyeongju Basin from the view of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In previous studies, forest space was just a background of human history. From the view of socio-economic history, it has been described as a subject that human beings must develop or overcome to promote agricultural production. However, recent accumulation of research has clarified that the state power seeks to take control of the forest space and its resources. In this paper, I tried to read the forest,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the existing viewpoint, into the historical space that interacted with human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the Gyeongju Basin is seen as a rare human space before the 4th century. As human intervention is rare, the forests in the Gyeongju Basin grew lushly. In the lower part of the Gyeongju Basin, wetland was formed as the groundwater level increased. Wetlands flourished in forests like ‘Su(藪)’ covered with vegetation.
      As the population migrated to the Gyeongju Basin increased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teel tools improved, the forests and wetlands of the Gyeongju Basin were cleared. In the early days, forests were cut down and wetlands were bur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dominant layer. However, as the grid-like road network gradually divided into the Gyeongju Basin, forests and wetlands became the subjects of full-scale clearing. The so-called ‘Ri-bang Local Administration(里坊制)’ reflected the natural view that the Gyeongju Basin’s forests and wetlands can be removed at any rate. The forest was originally considered a sacred “outside world” with limited human access. However, forests and wetlands have become fully developed, and development sites have become visible throughout the Gyeongju Basin. As a result, the fores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n ‘inner world’ in which human daily life takes pl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방룡, "황룡사와 신라왕경의 조성" 26-41, 2001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1" 24-, 1984

      3 황수영, "한국의 불교미술" 동화출판공사 157-, 1974

      4 한정수, "조선 태조~세종 대 숲 개발과 重松政策의 성립" 한국사학회 (111) : 41-82, 2013

      5 백선례, "일제 식민지시기 산불대책 –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온 산불" 한국역사연구회 (103) : 119-151, 2017

      6 최광식, "이차돈 순교설화에 대한 신고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창간) : 231-, 1985

      7 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시발굴조사보고서" 52-, 1985

      8 김용성,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한국고대사학회 (82) : 7-44, 2016

      9 생명의 숲 국민운동,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2007

      10 정연식, "역사음운학과 고고학으로 탐색한 閼川 楊山村" 한국고대사학회 (80) : 5-38, 2015

      1 박방룡, "황룡사와 신라왕경의 조성" 26-41, 2001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1" 24-, 1984

      3 황수영, "한국의 불교미술" 동화출판공사 157-, 1974

      4 한정수, "조선 태조~세종 대 숲 개발과 重松政策의 성립" 한국사학회 (111) : 41-82, 2013

      5 백선례, "일제 식민지시기 산불대책 –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온 산불" 한국역사연구회 (103) : 119-151, 2017

      6 최광식, "이차돈 순교설화에 대한 신고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창간) : 231-, 1985

      7 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시발굴조사보고서" 52-, 1985

      8 김용성,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한국고대사학회 (82) : 7-44, 2016

      9 생명의 숲 국민운동,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2007

      10 정연식, "역사음운학과 고고학으로 탐색한 閼川 楊山村" 한국고대사학회 (80) : 5-38, 2015

      1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1978

      12 "신증동국여지승람"

      13 신창수, "신라의 왕경"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7 : 185-196, 2002

      14 황보은숙, "신라왕경의 도시적 발달" 신라문화연구소 32 (32): 327-358, 2008

      15 오영훈, "신라왕경에 대한 고찰" 11 : 1992

      16 강봉원, "신라시대 경주 북천의 수리에 관한 역사 및 고고학적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25) : 337-360, 2005

      17 김택규, "신라상대의 토착신앙과 종교습속" 5 : 213-214, 1984

      18 조법종, "신라사원노비의 기원문제에 관한 일고찰" 32 : 28-29, 1987

      19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29-, 1986

      20 김재홍, "신라 중고기의 저습지 개발과 촌락구조의 재편" 7 : 1995

      21 김낙중, "신라 월성의 성격과 변천" 27 : 228-229, 1999

      22 이근직, "신라 왕경의 성립과 전개" 15 (15): 2006

      23 이기봉, "신라 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 45 : 2002

      24 전덕재, "신라 왕경의 공간구성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7) : 175-207, 2005

      25 김재홍, "신라 왕경의 개발 과정과 발전 단계" 고려사학회 (52) : 197-229, 2013

      26 차순철, "신라 왕경과 북천 범람에 따른 상관관계 검토" 신라사학회 (23) : 145-189, 2011

      27 신동하,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8 한국습지학회, "습지학" 라이프사이언스 144-, 2016

      29 "삼국유사"

      30 "삼국사기"

      31 서민수, "삼국 초중기의 숲 인식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03) : 43-75, 2017

      32 이현태,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95-96, 2016

      33 김윤희, "근대 서울의 숲, 위험관리와 민족주의 정치기획- 공론화된 숲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1) : 83-124, 2013

      34 황상일,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대한지리학회 42 (42): 879-897, 2007

      35 이현혜, "고고학자료로 본 斯盧國 六村" 한국고대사학회 (52) : 193-232, 2008

      36 황상일, "경주지역 적석목곽분 형성에 미친 자연환경의 영향" 한국지형학회 21 (21): 15-33, 2014

      37 황상일, "경주선상지의 지형발달" 26 : 245-246, 2005

      38 황보은숙, "경주분지 내 원삼국시대 유적의 이해 - 황성동유적과 월성 주변유적을 중심으로 -" 경주사학회 (30) : 1-30, 2009

      39 국립경주박물관, "경주공업고등학교 내 유구수합조사보고서" 190-, 2011

      40 이희준, "경주 황성동유적으로 본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 사로국" 신라문화연구소 38 : 137-186, 2011

      4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황룡사연구센터 건립예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2011

      42 박종섭, "경주 탑동 21-3․4번지 유적, in 2010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Ⅳ 경북 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17-220, 2011

      43 경주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 Ⅶ" 18-, 2016

      44 박성현, "경주 월성 발굴의 의미와 성과" 68 : 158-, 2017

      4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Ⅱ 발굴조사보고서" 25-38, 2014

      4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Ⅰ 발굴조사보고서" 2012

      47 고태우, "개발과 이윤 추구에 갇힌 산림보호 – 식민지 임업가 사이토 오토사쿠(齋藤音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3) : 153-195, 2017

      48 이정호, "高麗時代 숲의 개발과 環境變化" 한국사학회 (111) : 1-40, 2013

      49 서영대, "葛蟠地小考: 소도의 불교적 변용" 2 : 38-, 1979

      50 한정호, "皇龍寺 中金堂址 佛像臺石에 대한 고찰" 미술사연구회 (24) : 39-59, 2010

      51 李恩碩, "東アジアの古代都城" 吉川弘文館 90-91, 2003

      52 여호규, "新羅 都城의 空間構成과 王京制의 성립과정" 서울학연구소 (18) : 35-79, 2002

      53 이현태, "新羅 王京의 里坊區劃 및 範圍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신라문화연구소 40 (40): 107-140, 2012

      54 이현태, "新羅 中古期 里坊制의 受容과 王京의 中心軸線" 한국고대학회 (32) : 275-300, 2010

      55 伊藤淸司, "中國の神獸․惡鬼たち: 山海經の世界" 東方書店 2-232, 1969

      56 김수진, "『三國遺事』 「皇龍寺丈六」條의 造像 과정 검토" 한국학연구소 43 : 33-66, 2015

      57 김동진, "15~19세기 한반도 산림의 민간 개방과 숲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03) : 77-11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