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동기술 습득 중 절차기억과 서술기억의 상호조절 작용 = Reciprocal Interaction of Procedural Memory and Declarative Memory during Motor Skill Acquis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0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절차기억과 서술기억으로 구성된 과제의 연습 후, 이차적으로 제시된 과제의 절차기억 형성으로 인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과제에 관한 절차기억의 형성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

      본 연구는 절차기억과 서술기억으로 구성된 과제의 연습 후, 이차적으로 제시된 과제의 절차기억 형성으로 인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과제에 관한 절차기억의 형성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제시된 과제의 절차기억이 선행 학습된 과제 내의 서술기억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역시 살펴보았다. 피험자들은 우선 동일한 순서를 가진 순차적 반응시간 과제를 1차로 연습했으며, 5분 후 각각 10명씩 암묵적, 무선적, 그리고 외현적 연습 집단으로 무선 배정되어 각 연습 조건에서 새로 제시된 순서의 순차적 반응시간 과제(2차)를 수행 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1차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 파지검사(절차기억 측정)와 자유회상검사(서술기억 측정)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2차 과제의 절차기억 습득 수준은 암묵집단과 외현집단이 무선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차 과제 기억 형성에 대한 2차 과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 간 절차기억 습득 수준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에 따른 자유회상의 차이는 1차 과제의 순서 조합에 대해 암묵집단이 무선집단, 외현집단 보다 서술기억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선행 학습된 절차 기억이 뒤이은 다른 종류의 절차 기억 형성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이로 인해 서술적 기억 역시 상대적인 변화를 경험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al and declarative memory formation when secondary procedural memory was introduced. After an initial sequential reaction time task practice session, Three groups of subjects p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al and declarative memory formation when secondary procedural memory was introduced. After an initial sequential reaction time task practice session, Three groups of subjects practiced another task with a newly prescribed sequence in 3 different (implicit, explicit, and random) practice conditions. Upon completion of the second task practice, subjects waited 12 hours, and performed a retention test measuring response time (reflecting the procedural memory formation) and a free recall test (declarative memory 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amount of the procedural memory gain during the second task was the greatest in implicit and explicit group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experimental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procedural memory acquisition influenced by the second task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Finally, implic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declarative memory retention performance (free recall) when compared to the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mation of procedural memory can be inhibited by introduction of another procedural memory. Further, because of there reciprocal interaction, changes in the procedural memory also can be reflected in the declarative memory 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혜,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이 순차적 타이밍과제의 학습 및효과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193-213, 2007

      2 송용관, "연습시간의 배분에 따른 양팔협응 패턴의 안정성과 학습의 효과" 한국체육학회 46 (46): 191-203, 2007

      3 이상열, "연속 반응 시간 과제 수행의 행위 관찰과 운동 상상이 거울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5 (5): 395-404, 2010

      4 김안나, "순차적 반응시간 과제 학습 시 발생하는 절차적 기억과 서술적 기억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5 고영규, "분산연습에서 24시간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23-33, 2012

      6 윤영진, "박사학위논문발표: 탭핑 반응 과제 학습 시 연습 정도에 따른 절차적 운동 기억공고화의 변화에 관한 연구" 39-52, 2010

      7 Squire, L. R.,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memory" 44 : 453-495, 1993

      8 Shea, C. H., "Spacing practice sessions across days benefits the learning of motor skills" 19 : 737-760, 2000

      9 Cipolli, C, "Sleep, dreams and memory : an overview" 4 (4): 2-9, 1995

      10 Smith, C., "Sleep states and memory processes" 69 : 137-145, 1995

      1 정민혜,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이 순차적 타이밍과제의 학습 및효과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193-213, 2007

      2 송용관, "연습시간의 배분에 따른 양팔협응 패턴의 안정성과 학습의 효과" 한국체육학회 46 (46): 191-203, 2007

      3 이상열, "연속 반응 시간 과제 수행의 행위 관찰과 운동 상상이 거울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5 (5): 395-404, 2010

      4 김안나, "순차적 반응시간 과제 학습 시 발생하는 절차적 기억과 서술적 기억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5 고영규, "분산연습에서 24시간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23-33, 2012

      6 윤영진, "박사학위논문발표: 탭핑 반응 과제 학습 시 연습 정도에 따른 절차적 운동 기억공고화의 변화에 관한 연구" 39-52, 2010

      7 Squire, L. R.,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memory" 44 : 453-495, 1993

      8 Shea, C. H., "Spacing practice sessions across days benefits the learning of motor skills" 19 : 737-760, 2000

      9 Cipolli, C, "Sleep, dreams and memory : an overview" 4 (4): 2-9, 1995

      10 Smith, C., "Sleep states and memory processes" 69 : 137-145, 1995

      11 Wagner, U., "Sleep inspires insight" 427 : 352-355, 2004

      12 Anderson, J. R, "Skill acquisition : compilation of weak-method problem solutions" 94 (94): 192-210, 1987

      13 Hennevin, E., "Processing of learned information in paradoxical sleep: relevance for memory" 69 : 125-135, 1995

      14 Cohen, N. J., "Preserved learning and retention of pattern analyzing skill in amnesia : dissociation of knowing how and knowing that" 210 (210): 207-209, 1980

      15 Walker, M. P., "Practice with sleep makes perfect : Sleep-dependent motor skill learning" 35 : 205-211, 2002

      16 Brown, R. M., "Off-line processing :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declarative and procedural memories" 27 (27): 10468-10475, 2007

      17 Squire, L. R., "Memory, hippocampus, and brain systems, In The cognitive neurosciences" MIT Press 1995

      18 Milner, B., "Les troubles de la memoire accompagnant des lesions hippocampiques bilaterales. In: Physiologie de l’Hippocamp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57-272, 1962

      19 Anderson, J. R., "Language, memory, and though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6

      20 Poldrack, R. A., "Interactive memory systems in the human brain" 414 (414): 546-550, 2001

      21 Voermans, N. C.,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hippocampus and the caudate nucleus during route recognition" 43 (43): 427-435, 2004

      22 Brown, R. M., "Inducing motor skill improvements with a declarative task" 10 : 148-149, 2007

      23 Fischer, S., "Implicit learning—Explicit knowing : A role for sleep in memory system interaction" 18 : 311-319, 2006

      24 Gabrieli, D. E., "Impaired rotary pursuit and intact mirror tracing skill in patients with Huntington’s disease : evidence for dissociable skill learning memory systems" 11 (11): 272-281, 1997

      25 Heindel, W. C., "Impaired learning of a motor skill in patients with Huntington’s disease" 102 (102): 141-147, 1988

      26 Curran, T, "Higher order associative learning in amnesia : evidence from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9 (9): 522-533, 1997

      27 Grafton, S. T., "Functional anatomy of sequence learning in normal humans" 7 (7): 497-510, 1995

      28 Robertson, E. M, "From creation to consolidation : A novel framework fo memory processing" 7 (7): 11-19, 2009

      29 Dail, T. K., "Distribution of practice and metacognition in learning and long-term retention of a discrete motor task" 75 : 148-155, 2004

      30 Walker, M. P., "Dissociable stages of human memory consolidation and reconsolidation" 425 (425): 616-620, 2003

      31 Reber, P. J., "Dissociable properties of memory systems : Differences in the flexibility of declarative and nondeclarative knowledge" 110 (110): 861-871, 1996

      32 Galea, J. M., "Disruption of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facilitates the consolidation of procedural skills" 22 (22): 1158-1164, 2010

      33 Willingham D. B., "Direct comparison of neural systems mediating conscious and unconscious skill learning" 88 : 1451-1460, 2002

      34 Robertson, E. M., "Current concepts in procedural consolid-ation" 5 : 576-582, 2004

      35 Krakauer, J. W., "Consolidation of motor memory" 29 : 58-64, 2006

      36 Brashers-Krug, T., "Consolidation in human motor memory" 382 (382): 382-252, 1996

      37 Nissen, M. J., "Attentional requirements of learning : evidence from performance measures" 19 (19): 1-32, 1987

      38 Hazeltine, E., "Attention and stimulus characteristics determine the locus of motor-sequence encoding. A PET study" 120 : 123-140, 1997

      39 Schendan, H. E., "An fMRI study of the role of the medial temporal lobe in implicit and explicit sequence learning" 37 (37): 1013-1025, 2003

      40 Walker, M. P., "A refined model of sleep and the time course of memory formation. The Behavioral and Brain Sc" 28 (28): 51-64, 2005

      41 Knowlton, B. J., "A neostriatal habit learning system in humans" 273 (273): 1399-1402,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