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실현 조건 = The Realization Requirement of Community Care Through Social Agri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65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revitalize such social agriculture as a way to fill the care gap in rural areas. This is because social agriculture is most effective in actively utilizing rural resources and providing rural care because it is friendly...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revitalize such social agriculture as a way to fill the care gap in rural areas. This is because social agriculture is most effective in actively utilizing rural resources and providing rural care because it is friendly to rural residents.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 the reality of rural care. Second, the possibility of social agriculture is confirmed through case studies. Third, check the conditions for realizing community care through social agriculture, check the current state, and find practical tasks to supplement.
      The practice cases for the stud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 ‘Happy Care Farm’, ‘KI-WOOL Cooperative’, and the ‘Yeomin-Dongrak Community’, which are carrying out caring activities among domestic social farms and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exploring social care practices through social agriculture, focusing on cases that have practiced social agricul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have established a founda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excluded weak are actively engaged in integration, social return, and self-reliance.
      However, in order for social agriculture to exist as a key entity that can practice community care and solve rural care problems, several principles and practical tasks are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artyality so that the reciprocal solidarity between the care provider and the beneficiary is possible. Second, by spreading the public value of care, it was emphasized to approach care as a concept of community created by local residents, not by the government. It was proposed to revitalize the social economy as an ideological and practical measure for these practices. Third, it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community, it will be possible to reproduce the rurality in which villages become one and take care of each o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촌의 돌봄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농업의 활성화와 공동체 돌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적농업은 농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농촌 지역의 거주...

      이 연구는 농촌의 돌봄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농업의 활성화와 공동체 돌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적농업은 농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농촌 지역의 거주자들에게 친근하여 접근성이 높으며 농촌다운 공동체 돌봄을 제공하기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농촌 돌봄의 어려운 현실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적 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가능성을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한다. 셋째, 공동체 돌봄을 실현할 수 있는 조건들을 확인하면서 보완해야 할 실천과제들을 찾아본다. 연구 사례는 충남 홍성의 행복농장, 전북 완주의 키울협동조합, 전남 영광의 여민동락 공동체이다. 이들 사례는 비교적 오랫동안 농업의 다(多)기능적 측면을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배제된 약자들의 통합과 사회복귀, 자립을 위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업의 생산활동을 통해 치유의 가능성과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돌봄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농업이 공동체 돌봄을 실천하고 농촌의 돌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주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해야 할 과제들이 있었다. 첫째, 돌봄 제공자와 수혜자의 호혜적 연대가 가능하도록 당사자성이 지켜져야 한다. 둘째, 돌봄 서비스의 공공성과 지역성의 가치가 확산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이 만들어가는 커먼즈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농업의 가치가 마을로 확산되어 새로운 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래야 마을이 하나가 되어 서로 돌보는 농촌다움(rurality)을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복농장 홈페이지"

      2 김남훈, "제3장 주민이 함께하는 농촌 공동체 돌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3 통계청, "장례인구추계(2020_2070년) 보도자료"

      4 "여민동락공동체 홈페이지"

      5 김정섭,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6 신소희, "돌봄농업 실천 매뉴얼"

      7 김남훈, "농촌형 커뮤니티 케어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8 김남훈, "농촌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형 개발 및 확산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9 지역농업연구원, "농업과 복지의 결합 ‘사회적농업’ 키울협동조합" 지역농업연구원 28 : 2020

      10 "국가통계포털"

      1 "행복농장 홈페이지"

      2 김남훈, "제3장 주민이 함께하는 농촌 공동체 돌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3 통계청, "장례인구추계(2020_2070년) 보도자료"

      4 "여민동락공동체 홈페이지"

      5 김정섭,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6 신소희, "돌봄농업 실천 매뉴얼"

      7 김남훈, "농촌형 커뮤니티 케어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8 김남훈, "농촌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형 개발 및 확산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9 지역농업연구원, "농업과 복지의 결합 ‘사회적농업’ 키울협동조합" 지역농업연구원 28 : 2020

      10 "국가통계포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