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BS 교양 제작팀의 제작진을 대상으로 디지털방송의 혁명적인 6mm 디지털카메라 사용이 TV 프로그램 제작과정과 제작진의 역할에 미친 영향과 문제점 그리고 방송 제작시스템이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BS 교양 제작팀의 제작진을 대상으로 디지털방송의 혁명적인 6mm 디지털카메라 사용이 TV 프로그램 제작과정과 제작진의 역할에 미친 영향과 문제점 그리고 방송 제작시스템이 기...
본 연구는 SBS 교양 제작팀의 제작진을 대상으로 디지털방송의 혁명적인 6mm 디지털카메라 사용이 TV 프로그램 제작과정과 제작진의 역할에 미친 영향과 문제점 그리고 방송 제작시스템이 기존 ENG 제작시스템에서 6mm PD 1인 제작 시스템으로 변하는 이유와 그에 대한 제작 PD들에 대한 만족도, 그로인한 방송제작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6mm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은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PD 들의 6mm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이용과 충족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방송을 제작하는 방송사PD들의 영역은 어디까지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하며 연출을 하는 감독자의 입장이다.
즉 이렇듯 완벽히 분업화된 기존 방송제작 시스템에서 PD들의 6mm 1인 제작시스 템으로 제작환경이 변해가고 있는 것은 PD를 방송제작에 있어 6mm 디지털카메라의 수용자로 볼 수 있으며 수용자인 PD는 단순히 6mm 디지털카메라의 장점중 하나인 방송사의 제작비절감으로 인한 이윤창출의 극대화로 인해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본 많은 장점들을 적극 활용 PD가 의도했던 가장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제작할수 있기에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에서 6mm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방송제작 시스템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먼저<연구문제 1>의 SBS내의 6mm 디지털카메라의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SBS 교양제작국에서 제작하는 프로그램 중 90% 이상이 6mm 제작시스템으로 구축되었다.
6mm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기획된 프로그램도 있지만 과거 ENG 시스템으로 제작했던 많은 프로그램역시 6mm 제작시스템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mm 디지털카메라 촬영시스템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탄생시켰으며, 대부분 소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연출력보다는 현장성과 기동성 그리고 밀착성을 요구하는 사실적이고 순간포착적인 프로그램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과거 ENG카메라의 서브역할이었던 6mm 디지털 카메라는 이제 방송사에서 새로운 촬영매체로서 그 위치를 잡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방송의 제작시스템과 패러다임을 바꾸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연구문제 2> SBS 방송국내 PD들의 6mm 디지털카메라의 이용동기 결과분석를 살펴보면 6mm 디지털 카메라의 기동성 증가와 밀착취재에 적합한 특성과 장비와 인력의 간소화로 인해 6mm 시스템 에서는 카메라맨이 배제된 채 연출진 1-2명이 취재와 촬영에 임하게 된다.
즉 촬영의 영역이 기존 촬영팀에서 연출팀으로 넘어오게 되었고 이에 따라 카메라맨과의 커뮤니케이션 단계가 생략되어 언제나 연출자 혼자 시간에 관계없이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촬영일정도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연출진이 직접 촬영할 수 있다는 것은 ENG 카메라맨과 촬영할 때의 시간적 제약이 약화됨을 의미하여 이에 따라 PD들은 자신이 원하는 때에 원하는 만큼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1,2인 촬영하는 6mm 시스템은 섭외를 용이하게 하고 출연자와 제작진과의 긴밀함과 방송에 대한 권위가 사라짐으로 해서 사람들을 카메라 앞에 끌어내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소재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의 경우 과거 소재와 촬영의 한계에 의해 시도하지 못했던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많은 6mm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탄생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밀착 취재의 증가로 인해 소재가 연성화 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6mm 카메라를 연출진이 따라 , 사전준비 작업이 축소되거나 생략되면서 제작 일정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6mm 촬영이 ENG와 대비되는 것은 취재를 하면서 출연자와 제작진과의 유대감과 촬영에 대한 격식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즉 ENG 카메라가 방송사의 권위를 상징 한다면 6mm 디지털 카메라는 출연자로 하여금 방송에 대한 친밀감을 가지게 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일상에서 PD원하는 영상을 담을 수 있게 되어 좀 더 사실적인 방송을 하게 되었었다.
시간제약 극복이 분명하게 드러나며, 연출자에게 시간의 통제력을 강화시켜 주고 있다. 또한 6mm 디지털 카메라사용이 전체적으로 제작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켰으며 제작관행에 있어서는 6mm카메라의 사용은 사전취재 단계를 간소화 하고 현장섭외 및 콘티없는 촬영이 늘어나게 하였다. 이는 6mm 카메라가 영상과 편집을 책임지는 연출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보완해야할 많은 문제점들이 생겼다
또한 연출진이 촬영에 얽매이다보니, 현장에서 여러 스태프와 공동 작업을 이끌어내는 본연의 역할대신 1인 제작 시스템으로 인해 PD들이 개인화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6mm 디지털 카메라의 도입은 PD가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지만 영상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시간적 제약의 극복이 오히려 주먹구구식의 제작으로 이어져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그리고 6mm 디지털 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인 제작비의 절감은 PD들에게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돈 걱정을 덜어준 측면도 있지만 제작비 절감차원에서 이용되는 6mm는 저임금의 VJ를 양산하고 프로그램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PD 스스로가 영상에 대한 통제력은 높아졌지만 오히려 PD의 개인화를 가져온 비판을 받기도 한다.
사전취재가 줄어든 반면 작가와 사후 구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PD가 원하는 영상을 구현하다보니 촬영량은 ENG 촬영 때보다2-3배 늘어났다.
촬영량이 증가되어 편집에 대한 시간이 늘어났으며 영상의 불안정성으로 거친 편집과 자막의 증가도 6mm 카메라 도입 이후 일어난 현상이며 앞으로 극복해야할 숙제이다.
<연구문제 3>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그만큼 6mm 시스템은 PD들에게 있어 자신이 구현하고 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PD가 6mm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장 목적은 좀 더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그중 6mm 디지털카메라의 최고 경쟁력은 ‘PD의 영상독점으로 인한 소재 선택의 폭’의 확대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도 6mm 디지털카메라의 ‘취재에 대한 거부감 해소와 이에 따른 섭외의 용이성과 촬영시간의 한계극복과 제작비절감 등의 다른 장점들이 맞물려 있을 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6mm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소재의 폭의 확대는 기존 프로그램에 목말라했던 PD들의 프로그램제작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결과를 맞이하였다.
<연구문제4>의 분석결과 6mm 디지털카메라의 등장은 제작 시스템에서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에 따라 제작진의 역할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촬영 영역이 연출영역으로 확대로 인해 기존 ENG 시스템에서는 많은 제작인원이 투입되었던 것이 6mm 시스템에서는 연출팀 약 1-2명이 취재하게 되었으며 6mm 디지털 카메라의 도입으로 사전준비 과정이 축소되고 아이템의 특성상 구성안이나 콘티없이 즉시 촬영이 가능해져 현장답사 개념도 변하였다. 대신 사후협의가 강화되어 촬영이후 구성을 잡고 편집을 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또한 6mm 프로그램의 증가로 외부인력이 늘어나고 낮은 연차 PD들의 프로그램 제작참여가 빨라지면서 중견PD의 경우 직접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보다는 관리형 PD가 늘어나게 되었다.
6mm 시스템에서는 작가의 영역이 상당히 높아졌다. 낮은 연차 PD의 제작참여가 빨라지면서 부족한 연출력을 보완해주는 제작시스템으로 바뀌게 되었다. 즉 6mm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은 촬영과 직접 관련이 없던 작가의 역할도 바꾸어 놓은 것이다.
6mm 시스템에서는 VJ라는 새로운 방송집단이 탄생되었다.
SBS 방송국내의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고 있다. 직접 프리랜서 PD로 방송코너를 제작하기도 하며 프로그램에 따라 6mm 제작시스템에서 PD의 촬영부분을 맡아하고 있다.
이러한 제작 과정과 제작진의 역할 변화는 프로그램 형식과 내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6mm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SBS교양 프로그램에서 스튜디오 위주의 방송은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스튜디오는 6mm 디지털카메라로 제작해온 코너를 방송하기 위한 부수적인 부분이지 절대적인 부분이 아닌 것이다.
이는 6mm 프로그램의 불안정한 앵글과 오디오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튜디오 방송보다는 계속되는 6mm 방송의 기획과 탄생으로 순환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