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키아벨리와 정치적 주체로서 "인민"의 발견 = Machiavelli and Discovery of the People as a Political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4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마키아벨리의『군주』와『논고』에 나타난 "지배를 받는 자"의 정치적 주체성에 주목한다.그가 공화정을 지지했다는 대체적 합의 안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지배를 받는 자로서 "인민"은 누구이며, 이들의 정치적 위상은 어느 정도인가? 궁극적으로 그들은 정치적 주체였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본 논문에서는 인민의 주체성을 제도적인 측면과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첫째, 마키아벨리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제3의 중립기관으로서 파리고등법원, 탄핵제도, 임시독재집정관제도를 마련하여, 공적인 장을 통해 인민들이 정치적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둘째,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소극적으로는 인민의 동의를 적극적인 측면에서는 인민의 비르투(Virtu)를 강조했다.이것은 인민의 동의를 통해 통치의 정치적 권위 확보를 가능하게 했고, 좀 더 적극적인 의미에서 그들의 비르투를 정치의 무대에 올려놓음으로써 "무장한" 인민의 역량을 마음껏 발현하게 만들었다.결과적으로 마키아벨리의『군주』와『논고』에서의 인민은, 제도적이고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행위(행동)를 통해 정치적인 영역에서 행동의 주인"이 되고 지배자, 혹은 공동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적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마키아벨리의『군주』와『논고』에 나타난 "지배를 받는 자"의 정치적 주체성에 주목한다.그가 공화정을 지지했다는 대체적 합의 안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지배를 받는 자로서 "...

      이 논문은 마키아벨리의『군주』와『논고』에 나타난 "지배를 받는 자"의 정치적 주체성에 주목한다.그가 공화정을 지지했다는 대체적 합의 안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지배를 받는 자로서 "인민"은 누구이며, 이들의 정치적 위상은 어느 정도인가? 궁극적으로 그들은 정치적 주체였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본 논문에서는 인민의 주체성을 제도적인 측면과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첫째, 마키아벨리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제3의 중립기관으로서 파리고등법원, 탄핵제도, 임시독재집정관제도를 마련하여, 공적인 장을 통해 인민들이 정치적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둘째,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소극적으로는 인민의 동의를 적극적인 측면에서는 인민의 비르투(Virtu)를 강조했다.이것은 인민의 동의를 통해 통치의 정치적 권위 확보를 가능하게 했고, 좀 더 적극적인 의미에서 그들의 비르투를 정치의 무대에 올려놓음으로써 "무장한" 인민의 역량을 마음껏 발현하게 만들었다.결과적으로 마키아벨리의『군주』와『논고』에서의 인민은, 제도적이고 비제도적인 측면에서 "행위(행동)를 통해 정치적인 영역에서 행동의 주인"이 되고 지배자, 혹은 공동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적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takes note political subjecthood of "the Ruled" shown in 『The Prince』and 『Discourses on the First Ten Books of Titus Livius』.By general consent that he uphold the banner of the Republic, who are the people as the ruled who form society and how much political status do they have?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y were political subject or not.This study examined the people`s political subjecthood from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aspects.First, Machiavelli established "Paris High Court" as the third neutral institution, "The Complaint System", "Dictator System" from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insisted that we have to prepare the system that makes people possible to express their political opinion actively through the public section.Second, he emphasized "agreement of the people" in passive terms and "virtue" of the public in active from the noninstitutional aspect.It enabled rule to secure political authority through their agreement and in more active sense, it made "the armed" people`s ability to be fully expressed by putting their virtue on the political stage.As a result, the people, in Machiavelli`s 『The Prince』and 『Discourses』, have "become master of behavior by their own behavior in political field from the two aspects and established themselves as political subjects who might affect ruler or community".
      번역하기

      The study takes note political subjecthood of "the Ruled" shown in 『The Prince』and 『Discourses on the First Ten Books of Titus Livius』.By general consent that he uphold the banner of the Republic, who are the people as the ruled who form soc...

      The study takes note political subjecthood of "the Ruled" shown in 『The Prince』and 『Discourses on the First Ten Books of Titus Livius』.By general consent that he uphold the banner of the Republic, who are the people as the ruled who form society and how much political status do they have?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y were political subject or not.This study examined the people`s political subjecthood from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aspects.First, Machiavelli established "Paris High Court" as the third neutral institution, "The Complaint System", "Dictator System" from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insisted that we have to prepare the system that makes people possible to express their political opinion actively through the public section.Second, he emphasized "agreement of the people" in passive terms and "virtue" of the public in active from the noninstitutional aspect.It enabled rule to secure political authority through their agreement and in more active sense, it made "the armed" people`s ability to be fully expressed by putting their virtue on the political stage.As a result, the people, in Machiavelli`s 『The Prince』and 『Discourses』, have "become master of behavior by their own behavior in political field from the two aspects and established themselves as political subjects who might affect ruler or commun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