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에서의 사무직원은 일반 행정조직과 달리 가치, 목표, 지위와 역할이 상이한 교원·학생·사무직원 등 상호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조직되어 있는 대학 특성상 구성원 상호간 또는 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960498
공주 :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 행정학전공 , 2003. 8
2003
한국어
350.1 판사항(4)
350 판사항(21)
충청남도
87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70-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립대학에서의 사무직원은 일반 행정조직과 달리 가치, 목표, 지위와 역할이 상이한 교원·학생·사무직원 등 상호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조직되어 있는 대학 특성상 구성원 상호간 또는 업...
국립대학에서의 사무직원은 일반 행정조직과 달리 가치, 목표, 지위와 역할이 상이한 교원·학생·사무직원 등 상호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조직되어 있는 대학 특성상 구성원 상호간 또는 업무수행과정에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국립대학에서 근무하는 사무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사무직원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역할갈등과 관련하여 이를 경험적으로 조사·분석하여 역할갈등의 수준 및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밝히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문헌과 연구보고서 등을 조사·정리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여기에서 제시된 역할갈등의 요인을 4가지 요인으로 추출하고 각 요인마다 각각의 하위 지표를 선정하여 분석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립대학 사무직원의 역할갈등의 수준을 알아보고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분석모형에 의한 역할갈등의 요인과 하위 지표는 다음과 같다.
가. 개인적 요인 : 성취동기, 지각의 차이.
나. 조직·구조적 요인 : 공식화, 참여, 의사전달, 한정된 자원배분.
다. 직무관련 요인 : 업무상호 의존성, 목표의 차이.
라. 대인관계 요인 : 교원과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위의 요인별 지표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수준이 비슷한 9개 국립대학 사무직원 30명씩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사무직원의 요인별 역할갈등의 수준은 개인적 요인에서는 지각의 차이보다 성취동기로 인한 역할갈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조적 요인은 한정된 자원배분이 가장 높게 나타나 아직도 사무직원에 대한 역할 확대와 업적에 의한 인센티브 및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반면에 정보화 사회의 다양한 정보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의사전달에 대한 역할갈등의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관련 요인에서는 업무의 상호의존성과 목표의 차이가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 요인에서는 지표별 높은 역할갈등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학생과의 관계에서 보다 교원과의 관계에서 더 높은 역할갈등의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사무직원을 동반자로서 인정하지 않음은 물론, 교원·학생·직원이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고 집단간 이기주의가 팽배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개인적 특성별 갈등요인과 역할갈등과의 ANOVA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적 요인의 성별과 연령에서는 성취동기가, 직종에서는 성취동기와 지각의 차이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처, 학력, 근무경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구조적 요인은 성별로는 한정된 자원배분, 직종에서는 공식화, 연령은 참여, 근무경력은 참여와 의사전달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처와 학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련 요인은 성별과 직종 및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요인은 성별에서는 학생과의 관계에서만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근무처와 연령에서는 교수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요인별 지표와 역할갈등과의 관계에서는 성취동기와 공식화는 낮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조사되었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참여와 의사전달은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무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지각의 차이, 한정된 자원배분, 업무의 상호 의존성, 목표의 차이, 교원과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에서 정의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지각의 차이, 업무의 상호의존성, 목표의 차이, 한정된 자원배분, 교원과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참여의 순으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할갈등을 설명할 수 있는 설명력은 업무의 상호 의존성 이외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학 사무직원의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무직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동기를 부여해야 할 것이며 능력과 적성에 맞는 업무분장, 상관의 민주적 리더쉽 발휘와 업무에 대한 정확한 편람 제공, 의사결정과정의 민주화·개방화를 통한 사무직원의 참여도 제고, 정보공유를 위한 장치 마련, 인사관리와 업적평가의 공정성·합리성 확보, 교원·학생의 사무직원에 대한 존재와 역할에 대한 인정과 인격적 대우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사무직원의 역할갈등을 줄이기 위한 바람직한 역할수행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대학 사무직원이 지각하는 역할갈등의 수준과 여러 요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지만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표본선정에서 전국대학중 규모가 비슷한 국립대학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규모가 작은 대학이나 사립대학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며, 앞으로 국·사립대와 지역간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할갈등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가 많을 것으로 생각되나 한정된 변수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위의 결론을 보편화 내지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설문을 Likert의 5단계 척도법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응답한 값이 중앙에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
넷째, 설문지 문항 설정 전 사전조사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는 국립대학의 사무직원의 설문에만 의존하였으나 교원과 학생이 기대하는 사무직원의 역할을 함께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여 보면 집단 간의 인식차이와 사무직원이 구성원에게 제공해야할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명백해질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works at National Universities, experienced lots of complicated matters in carrying out their jobs and between the employees. These troubles a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niversity at which different and unc...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works at National Universities, experienced lots of complicated matters in carrying out their jobs and between the employees. These troubles a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niversity at which different and uncommon members work. The members of national university consist of teaching staffs, students, and official employees and especially administrative officials value, goal, position and role are different from other employees of administrative system.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condition of the conflictive factors in official employees' roles and influences on the conflictive roles by research and analysis which are related to them. The object of study is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work at national universities. To do so, theocratical background is at frist shown through researching and organizing the existing materials and researching reports. Based on these arrangements, 4 conflictive factors are extracted and, according to each factor, index is selected. Also, the model of analysis and hypothesi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by questionnaires. Thus, the following results are produced and presented below.
First, condition of conflictive factors in roles of official employees in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each factor differs from the personal condition. In personal factor, level of conflictive factor in role due to the motivation of achie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conflictive in role due to the difference of knowledge. Especially,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 is the highest factor in organizing and constructing so that incentive distribution of role enlargement and achievement and support in doing their jobs have not been properly realized yet. However, level of conflictive factor in communication is shown highly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media in society. In managing factor of their jobs, inter-dependence in doing their jobs is almost similar or a little higher than the difference of their goals. But in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hip, level of conflict in role is high in each index and also the relation of teaching staff shows higher level of conflict in roles rather than the relation of students. This means " Not admitting official employees as co-worker". Also, it shows teaching staffs, students and staffs have different purposes and selfishness among groups is widesprea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OVA analysi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flict in role, motif of achievement in personal factors is presented in sex and in age, and motif of achievement and difference of knowledge in jobs are shown. Place of employment, scholarly attainments, and record of work are not statistically important in the above factors. In organizing and constructing factors,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 is produced in sex, formalization in position, participation in sex, and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career of employment. Finally, in place of employment and scholarly attainments, nothing is statistically produced. The factor of their jobs is statistically shown in sex, position and scholarly attainments and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hip is only presented in sex. And the conflictive factor is statistically produced from the relation to professor according to place of employment and age.
Third, according to relation between index of each factors and conflict in role, motif of achievement and formalization is comparatively lowered, but significant results are not produced.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re shown as in relation between index of each factors and conflict in ro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of knowledge,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 inter-dependence of duty, difference of goals, relationship among teaching staffs and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ignificantly produce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shows that difference of knowledge, inter-dependence of duty, difference of goals,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staffs and relationship among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he conflictive factors by turns. However, beside inter-dependence of duty, they are hard to explain the conflictive factors in role.
To solve the conflict in role of official employees of national university, working condition should be promoted and motives should be provided for official employees in order to make them achieve the goals in doing their jobs. And work responsibility schedule suitable to their ability and aptitude should be given to them. Good and democratical leadership of senior officials should be carried out and correct manual of duties should be also provided. To participate in making a decision openly and democratically, the participants' condition should be reconsidered. And to share information, some provision is made and personnel management and achievement evaluation should be also carried out fairly and reasonably. Furthermore, their position and role for teaching staffs and students should be recognized and at the same time official employees should be treated properly and personably. Above all, reasonable method of carrying out their role should be made so as to decrease the conflictive factor of official employe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