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OpenAccess

      「逸士遺事」여성 기사로 본 韋庵 張志淵의 시각, 그 시대적 의미 = Chang, Ji-youen(張志淵)'s viewpoint through on descriptionof woman In 「Ilsayusa(逸士遺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3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eople have think so, but A truth was not that. We think that he is the greatest man in history, but it is not truth. It is the case with Chang, Ji-youen. He become known to a nationalist and a patriot. But the achievements of one’s lifetime is different the first half with the latter half. He is a feudalism. Specially the latter half is so that. This article is make a matter clear through on description of woman In Ilsayusa.
      The main features of description of woman In Ilsayusa is as follows. The first, he say over again on virtuous women that kill oneself because of a husband's death. The second, he deleted the proof of an event from the text. The third, he measure that virtuous women by feudalistic standard.
      This point of view play a part in the colonial period as follows. The first, he emphasized that woman's life is dependent on a husband's life. So if the husband died then hid wife should to died. Ultimately, it pressed woman for don't go out into the world. The second, he inculcated people with ideas it is right that woman's life is dependent on a husband's life by deletion the correct time. The third, the people were separated from society by fickleness on feudalistic standard. These points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colonial period.
      A man of today knows only part of Chang, Ji-youen's work. Some scholars layed excessive emphasis on his early works. So he become a nationalist and a patriot. It is necessary to rightful judge on Chang, Ji-youen.
      번역하기

      Many people have think so, but A truth was not that. We think that he is the greatest man in history, but it is not truth. It is the case with Chang, Ji-youen. He become known to a nationalist and a patriot. But the achievements of one’s lifetime is...

      Many people have think so, but A truth was not that. We think that he is the greatest man in history, but it is not truth. It is the case with Chang, Ji-youen. He become known to a nationalist and a patriot. But the achievements of one’s lifetime is different the first half with the latter half. He is a feudalism. Specially the latter half is so that. This article is make a matter clear through on description of woman In Ilsayusa.
      The main features of description of woman In Ilsayusa is as follows. The first, he say over again on virtuous women that kill oneself because of a husband's death. The second, he deleted the proof of an event from the text. The third, he measure that virtuous women by feudalistic standard.
      This point of view play a part in the colonial period as follows. The first, he emphasized that woman's life is dependent on a husband's life. So if the husband died then hid wife should to died. Ultimately, it pressed woman for don't go out into the world. The second, he inculcated people with ideas it is right that woman's life is dependent on a husband's life by deletion the correct time. The third, the people were separated from society by fickleness on feudalistic standard. These points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colonial period.
      A man of today knows only part of Chang, Ji-youen's work. Some scholars layed excessive emphasis on his early works. So he become a nationalist and a patriot. It is necessary to rightful judge on Chang, Ji-you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너무나 옳다고, 당연하다고 여겨온 사실들이 실은 잘못되어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발견한다. 학문의 영역, 역사적 평가의 영역에서 볼 때 위암 장지연 같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한다. 일반적으로 장지연은 구한말과 일제초기에 활동했던 민족주의자이며 애국자이자 계몽운동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지연의 실제 삶을 살펴보면 그는 이런 사람이 아니다. 아니 한일합방 이전까지만 그런 사람이었다. 이 글은 그가 엮은 일사유사에 나온 여성 기사 만에 한정하여 그의 의식과 활동의 사회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그는 남편을 위해 목숨을 버린 소위 ‘열녀’들만 집중적으로 반복해서 선별․기록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세 봉건주의자의 시각으로 이들의 행적을 평가하였다. 이런 특징은 당시 시대상황과 연결시켜볼 때, 여성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을 가정에만, 봉건적 윤리의식에만 묶어두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일제의 식민지 통치에 기여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친일행위자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이즈음에 장지연의 전 생애에 걸친 행적을 고려하여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너무나 옳다고, 당연하다고 여겨온 사실들이 실은 잘못되어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발견한다. 학문의 영역, 역사적 평가의 영역에서 볼 때 위암 장지연 같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

      지금까지 너무나 옳다고, 당연하다고 여겨온 사실들이 실은 잘못되어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발견한다. 학문의 영역, 역사적 평가의 영역에서 볼 때 위암 장지연 같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한다. 일반적으로 장지연은 구한말과 일제초기에 활동했던 민족주의자이며 애국자이자 계몽운동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지연의 실제 삶을 살펴보면 그는 이런 사람이 아니다. 아니 한일합방 이전까지만 그런 사람이었다. 이 글은 그가 엮은 일사유사에 나온 여성 기사 만에 한정하여 그의 의식과 활동의 사회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그는 남편을 위해 목숨을 버린 소위 ‘열녀’들만 집중적으로 반복해서 선별․기록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세 봉건주의자의 시각으로 이들의 행적을 평가하였다. 이런 특징은 당시 시대상황과 연결시켜볼 때, 여성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을 가정에만, 봉건적 윤리의식에만 묶어두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일제의 식민지 통치에 기여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친일행위자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이즈음에 장지연의 전 생애에 걸친 행적을 고려하여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연 시세계의 변모와 사상」 한국한문학연구 910합집" 한국한문학회 동아일보사 19871993

      2 "「계몽가형 애국지사-논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중심으로」" -5, 1971

      3 "장지연의 의식변화와 서사문학의 전개"

      4 "위암 장지연의 사상과 활동" 1993

      5 "열녀 향랑을 말하다" 보고사 1-218, 2004

      6 "애국계몽기 한문산문의 의식 지향 연구" 1-187, 2002.6

      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3

      8 "근대전화기 여성담론" 2004.2

      9 "개화기 열녀전 연구" 국어국문학회 132 : 187-211, 2002.12

      1 "「장지연 시세계의 변모와 사상」 한국한문학연구 910합집" 한국한문학회 동아일보사 19871993

      2 "「계몽가형 애국지사-논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중심으로」" -5, 1971

      3 "장지연의 의식변화와 서사문학의 전개"

      4 "위암 장지연의 사상과 활동" 1993

      5 "열녀 향랑을 말하다" 보고사 1-218, 2004

      6 "애국계몽기 한문산문의 의식 지향 연구" 1-187, 2002.6

      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3

      8 "근대전화기 여성담론" 2004.2

      9 "개화기 열녀전 연구" 국어국문학회 132 : 187-211, 2002.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