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 = The effect of pain relieving intervention during infiltration among gamma knife surgery patients for stereotactic frame fix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0032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2.8 판사항(6)

      • DDC

        610.7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 104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현옥
        권말부록: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연구승인서 등
        참고문헌: 장 73-8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filtration anesthesia right before the stereotactic frame fixation for Gamma Knife Surgery causes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on pa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atients who were about to get Gamma knife surgeries. The three interventions were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Vasocoolant thereafter, n=26), EMLA cream plus 10% Lidocaine spray (Lidocaine thereafter, n=23), and EMLA cream only (EMLA thereafter, n=25) from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J City, South Korea. The study utilized the equivalent control-group posttest design. Pain was assessed in both subjectively (numeric rating scale) and objectively (Galvanic Skin Response tester). Subjective pain was assessed twice -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and after removing the screws - and objective pain was assessed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assess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3 to December 31, 2016 and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4.79, p<.001).
      2. The objective pain scores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5.34, p<.001).
      3.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removing the screw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of Vapocoolant, Lidocaine, and EMLA (F=2.10, p=.144).
      4.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systolic blood pressur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5.63, p=.005).
      5.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too. However, the differences of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ree groups were similar (F=3.08, p=.052).
      6. The heart rat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heart rat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6.42, p=.003).

      In conclusion,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to relieve pain and to lower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hanges due to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or stereotactic frame fixation was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Thu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pply vapocoolant spray in addition to EMLA cream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under Gamma knife surgeries.
      번역하기

      The infiltration anesthesia right before the stereotactic frame fixation for Gamma Knife Surgery causes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on pa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atients who were about to ...

      The infiltration anesthesia right before the stereotactic frame fixation for Gamma Knife Surgery causes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on pa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atients who were about to get Gamma knife surgeries. The three interventions were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Vasocoolant thereafter, n=26), EMLA cream plus 10% Lidocaine spray (Lidocaine thereafter, n=23), and EMLA cream only (EMLA thereafter, n=25) from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J City, South Korea. The study utilized the equivalent control-group posttest design. Pain was assessed in both subjectively (numeric rating scale) and objectively (Galvanic Skin Response tester). Subjective pain was assessed twice -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and after removing the screws - and objective pain was assessed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assess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3 to December 31, 2016 and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4.79, p<.001).
      2. The objective pain scores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5.34, p<.001).
      3.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removing the screw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of Vapocoolant, Lidocaine, and EMLA (F=2.10, p=.144).
      4.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systolic blood pressur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5.63, p=.005).
      5.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too. However, the differences of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ree groups were similar (F=3.08, p=.052).
      6. The heart rat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heart rat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6.42, p=.003).

      In conclusion,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to relieve pain and to lower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hanges due to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or stereotactic frame fixation was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Thu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pply vapocoolant spray in addition to EMLA cream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under Gamma knife surge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가설 4
      • 4. 용어정의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가설 4
      • 4. 용어정의 5
      • Ⅱ. 문헌고찰 8
      • 1. 감마나이프 수술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8
      • 2. 통증 완화 중재 11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9
      • Ⅳ. 연구방법 21
      • 1. 연구설계 21
      • 2. 연구대상자 21
      • 3. 연구도구 24
      • 4. 자료수집방법 27
      • 5. 자료분석방법 34
      • 6. 윤리적 고려 34
      • 7. 연구의 제한점 35
      • Ⅴ. 연구결과 3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36
      • 2.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38
      • 3.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사 42
      • 4. 가설검정 43
      • Ⅵ. 논의 61
      • 1.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통증 완화 중재가 통증에 미치는 영향 61
      • 2.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통증 완화 중재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66
      • Ⅶ. 결론 및 제언 69
      • 참고문헌 7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공은숙, 홍미순, 이영휘, 이강이, 박정숙, "건강사정(5th ed)", 현문사, 2013

      2 김동규, 정현태, "방사선수술 소개", 대한의사협회지, 51(1), 5-15, 2008

      3 김강미자, 황옥남, 조경순, 조경숙, 전시자, 이미화, 배영숙, 박정숙, 박순옥, 김희경, "성인간호학(제4판)", 서울: 현문사, 2005

      4 이은옥, 최명애, "통증 - 이론 및 중재-", 신광출판사, 1993

      5 金正澤, 申東均,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사, 최신의학, 21, 69-75, 1978

      6 문상은,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효과적인 마취법", 메디메디아코리아(주),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4), 29-31, 2004

      7 김병국, 임영관, "Myofascial Pain, and the Spraying and Stretching Technique",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5(3), 325-329, 2000

      8 신효연, 이명선,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 기본간호학회지, 12, 131-138, 2005

      9 이선희, "음악요법이 수술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04

      10 김동규, 정현태, 정상순, 백선하,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만족도 및 재원일수에 대한 고찰", 한국의료질향상학회, 한국의료QA학회지, 8(1), 74-83, 2001

      1 공은숙, 홍미순, 이영휘, 이강이, 박정숙, "건강사정(5th ed)", 현문사, 2013

      2 김동규, 정현태, "방사선수술 소개", 대한의사협회지, 51(1), 5-15, 2008

      3 김강미자, 황옥남, 조경순, 조경숙, 전시자, 이미화, 배영숙, 박정숙, 박순옥, 김희경, "성인간호학(제4판)", 서울: 현문사, 2005

      4 이은옥, 최명애, "통증 - 이론 및 중재-", 신광출판사, 1993

      5 金正澤, 申東均,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사, 최신의학, 21, 69-75, 1978

      6 문상은,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효과적인 마취법", 메디메디아코리아(주),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4), 29-31, 2004

      7 김병국, 임영관, "Myofascial Pain, and the Spraying and Stretching Technique",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5(3), 325-329, 2000

      8 신효연, 이명선,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 기본간호학회지, 12, 131-138, 2005

      9 이선희, "음악요법이 수술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04

      10 김동규, 정현태, 정상순, 백선하,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만족도 및 재원일수에 대한 고찰", 한국의료질향상학회, 한국의료QA학회지, 8(1), 74-83, 2001

      11 김귀옥, "학령전기 아동의 정맥천자통증과 어머니 불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3

      12 신옥영, 이현화, 이두익, "소아 편도선절제술 후 10% Lidocaine분무에 의한 통증감소 효과", 대한통증학회지, 8(1), 31-36, 1995

      13 박성희, "음악중재가 중환자실 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08

      14 신효연,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4

      15 김윤수, 박호란, "정맥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 142-14. http://dx.doi.org/ 10.4094/chnr.2014.20.3.142., 2014

      16 손병민, "작업부하와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르티솔농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2003

      17 윤지원, "급성기 뇌경색 및 뇌출혈 환자의 타액 코티졸 일주기 변 화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익산, 2008

      18 김미숙, "음악 간호중재요법이 부분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4

      19 김상태, 탁양주, 이근석, 신현정, "기관내삽관시 Lidocaine분무의 적정 시간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중환자의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 26(2), 89-93, 2011

      20 이지민, 홍해숙, "선호음악용법이 방광경시술시 불안, 통증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3, 44-52, 2011

      21 배경희, 정인숙, "중환자실 내 간호시술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44(4), 437-445. http://dx.doi.org/ 10.4040/jkan.2014.44.4.437., 2014

      22 이광래, "에틸클로라이드 분사가 침근전도 검사 시 유발되는 통증에 미치는 영향", 가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23 박 연, "음악요법이 위내시경검사 대상자의 불안과 불편감 감소에 미 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00

      24 김진연, 하혜림, 유영미, 배현주, 문성미, "혈액투석 환자의 동 정맥루 천자 시 간호중재요법에 따른 통증정도 비교",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연구, 17(2), 286-296, 2011

      25 김진선, 정용선, 박기원, "피부국소마취제가 아동의 정맥천자시 통증 경감과 불안감소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 12(2), 253-259, 2006

      26 김양원, 최준철, 차지훈, 윤우상, 신우성, 박득현, "응급실로 내원한 경증 외상환자에서 냉각 스프레이를 사용한 치료의 유용성", 대한응급의학회, 대한 응급의학회지, 23(1), 33-40, 2012

      27 백소영,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과 제거 시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0

      28 백소영, 최자윤,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과 제거 시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종양간호학회, 종양간호학회지. 12(4). 323-330. http://dx.doi.org/10.5388/acon.2012.12.4.323., 2012

      29 박정호, 이충원, "시험 스트레스 시 적대감이 혈청 크르티솔 농도와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영향", 계명의대논문집, 14(4), 309-329, 1995

      30 유지영, 조규종, "유지영 응급실에서 정맥주사 시행 시 9.6% 리도카인 표면국소마취제의 진통효과", 대한외상학회지, 20(2), 115-118, 2007

      31 김일석, 홍성준, 최은미, 신근만, 방경선, 박윤옥, "기관내 삽관시 후 두 및 기관내 분무한 10% Lidocaine 의 혈장 내 농도와 혈역학적 반응", 대한마취과학회지, 49(2). 152-156, 2005

      32 김경순, "혈액투석 환자의 동 정맥루 천자 시 국소마취제 연고와 온 요법의 통증완화 효과 비교",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11

      33 손근숙, 최성욱, 장성호, 임혜자, 이혜원, 윤석민, "중등도 진정상태 의 성형외과 수술 환자에서 국소마취제 침윤에 의한 통증에 대한 Remifentanil의 효과",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대한마취과학회지, 53(3), 318-324, 2007

      34 사인혜, "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에틸클로라이드 스프레이 분무 적용이 통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천, 2012

      35 권기원, 최승희, 송영혜,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시 통증완화를 위한 냉 요법과 에틸클로라이드 스프레이 분무 효과 비교", 투석 간호, 21, 69-84, 2010

      36 신종범, 최은경, 정지미, "신생아에서 근육 주사 및 발뒤꿈치 천 자 시 냉각 분사의 통증감소 효과: 냉각 분사와 30% 경구포도당 액의 비교",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5), 481-486, 2008

      37 김남초, 이영화, "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통증과 불안완화를 위한 2% 리도카인 피내주사와 10% 리도카인 분무 효과 비교", 임상간 호연구, 13 (2), 169-177, 2006

      38 최진호, "외래 여성 환자에서 경성 방광경(rigid cystoscopy) 검사 시 리도카인 스프레이와 기존 리도카인 젤을 이용한 요도 표면 마취 의 통증경감 효과의 비교", 한국의료QA학회, 3, 383-384,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