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중국전통 형사법의 근간이자 조선시대 형사법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 당률 중 특히 공범이론에 주목하여 唐律疏議의 공범관련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전통법의 공범이론을 짚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54968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3-170(38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중국전통 형사법의 근간이자 조선시대 형사법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 당률 중 특히 공범이론에 주목하여 唐律疏議의 공범관련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전통법의 공범이론을 짚어...
이 글은 중국전통 형사법의 근간이자 조선시대 형사법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 당률 중 특히 공범이론에 주목하여 唐律疏議의 공범관련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전통법의 공범이론을 짚어보고 그 법제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당률 공범이론의 핵심인 수종구분의 원칙은 국가적으로 중대한 범죄를 제외하고는 공범관련 규정 전반에 일관되어 있는바, 서구 대륙법의 공범이론과 달리 공범의 성립단계에서 반드시 범인의 주종을 구분하고, 그 구분에 있어 범행의사를 특히 중시하고 있다. 이는 한대로부터의 중국 전통형벌사상에서 근원하는 것으로 서양의 응보형사상과도 상통하는 면이 있다. 이러한 당률의 공범론은 대명률과 조선의 형사법에도 일관하여 계승됨으로써 중국과 조선의 형사법상 공범론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provisions of the Tang Code, especially focusing on accomplice liability in the ancient Chinese Code, The Tang Code which was enacted in 7th century as a model penal code of the Tang Dynasty substantially influenced the ...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provisions of the Tang Code, especially focusing on accomplice liability in the ancient Chinese Code, The Tang Code which was enacted in 7th century as a model penal code of the Tang Dynasty substantial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al criminal law in China and Korea, succeeded by the statutes of the Song(宋), Ming(明) and Joseon Dynasty. In this perspective, every single principle which originates from the Tang Code is considerably significant while you study East Asian legal history.
In the Tang Code, criminals" liabilities had to be grouped into two classes: a principal"s and accessories". In order to classify a principal and accessories, investigators should make it clear who initiated the mens rea amid all the parties to crime, while there were a few exceptions in a certain crimes like murder and larceny. An accessory"s liability was lower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a principal, confined to the degree of his or her own behavior. However, the general rule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defendant"s status in his or her family line and society.
I sorted out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punishment of complicity from the Commentary of the Tang Code in order to find a characteristic common to all and reached a conclusion. First, Tang Dynasty"s accomplice principle pursued the mens rea-oriented thought in the punishment, which dated back to legal thoughts in the Han (漢) Dynasty. Second, a legal thought that prevailed in the traditional criminal law of Western countries-a retribution in accordance with a deed-can also be a meaningful tool to understand it, because a accomplice"s liability should be limited to the degree of his or her deed itself. Finally, the Tang Dynasty sought after a criminal law guaranteeing its status system. The code laid harsh accomplice liability on the officials to keep official discipline, while it relieved an elder person"s one to preserve the patriarchal ord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약용, "흠흠신서․원문" 현대실학사 1999
2 김병준, "후한 법률가의 활동과 그 성격" 동양사학회 30 : 1989
3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0
4 김일수, "형법총론" 박영사 2006
5 박상기,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 제정 50년과 공범론의 전개" 한국형사법학회 (18) : 157-180, 2002
6 이용식, "형법에 있어서 인권보호-형법의 체계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14 (14): 8-301, 2002
7 나까무라 시게오, "판례를 통해서 본 청대형법" 서경 2004
8 니시다 다이이찌로, "중국형법사 연구" 신서원 1998
9 김택민, "중국고대형법-당제국의 형법총칙-" 아카넷 2002
10 서일교, "조선왕조 형사제도의 연구" 박영사 1974
1 정약용, "흠흠신서․원문" 현대실학사 1999
2 김병준, "후한 법률가의 활동과 그 성격" 동양사학회 30 : 1989
3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0
4 김일수, "형법총론" 박영사 2006
5 박상기,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 제정 50년과 공범론의 전개" 한국형사법학회 (18) : 157-180, 2002
6 이용식, "형법에 있어서 인권보호-형법의 체계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14 (14): 8-301, 2002
7 나까무라 시게오, "판례를 통해서 본 청대형법" 서경 2004
8 니시다 다이이찌로, "중국형법사 연구" 신서원 1998
9 김택민, "중국고대형법-당제국의 형법총칙-" 아카넷 2002
10 서일교, "조선왕조 형사제도의 연구" 박영사 1974
11 조지만, "조선시대의 형사법-대명률과 국전-" 경인문화사 2007
12 정약용, "역주 흠흠신서 2" 현대실학사 1999
13 정긍식, "대명률의 죄형법정주의 원칙" 법학연구소 49 (49): 110-158, 2008
14 정병준, "당률의 정신-‘原情論罪’" 동국사학회 30 : 1996
15 선종순, "국역 심리록 2" 민족문화추진회 1999
16 박찬수, "국역 심리록 1" 민족문화추진회 1998
17 조우영, "경국대전의 신분제도" 서울대학교 2003
18 滋賀秀三, "附錄 唐律における共犯 in 淸代中國の法と裁判" 創文社 1984
19 김택민, "譯註 唐律疏議-名例編-" 한국법제연구원 1994
20 김택민, "譯註 唐律疏議-各則(下)-" 한국법제연구원 1998
21 김택민, "譯註 唐律疏議-各則(上)-" 한국법제연구원 1997
22 仁井田陞, "中國法制史硏究" 岩波書 195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284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