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suggests that we need to use ‘support’ instead of ‘disability’ and ‘individualized support’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ized support was related with human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87504
허승준 (광주교육대학교)
2020
Korean
the pedagogy of differences ; differentiation ; identity thought ; Homo sacer ; support ; special education ; 차이의 교육 ; 차이화 ; 동일성 사유 ; 호모 사케르 ; 개별화지원 ; 특수교육
KCI등재
학술저널
1-18(1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suggests that we need to use ‘support’ instead of ‘disability’ and ‘individualized support’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ized support was related with human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Research suggests that we need to use ‘support’ instead of ‘disability’ and ‘individualized support’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ized support was related with human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uman differences and suggested what the general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support were.
Identifying things with notions is called the thought of identification. For example, the notion of ‘disability’ confines an individual human in the disability notion. It’s same as in the case of ‘without disability’ or ‘non-disability’. However ‘without disability’ is a notion for the human without disabilities to emphasize their superiorities that they are free from the disability stigma. This dichotomy of notion disregards the difference which is the basis of existence of human being by transferring human individuality to an identity.
Deleuze emphasizes the difference itself is the being and the being itself is the difference. The being is revealed by the difference. Therefore a pedagogy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 means one without considering the being. The main example of this kind of pedagogy is human grouping by dichotomy. The difference is a natural and value-neutral phenomenon, and the value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The pedagogy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at is, the pedagogy of difference aims at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means differenti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differentiation is the individualized support suggested for the altern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constructing the various support system should take precedence in the basis of building a mono-system of pedagogy. We also should analyze the individuality of students not by diagnosing the disabilities but by analyzing their needs and construct the system of universal design of learning. Finally, we should construct a cooperation system among various professional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successfully.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대신‘지원’,‘특수교육’ 대신‘개별화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차이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근거한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에 대한 ...
‘장애’대신‘지원’,‘특수교육’ 대신‘개별화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차이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근거한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통해 개별화지원이 인간의 차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사물과 개념을 동일시하는 것을 동일성 사유라고 한다. 예컨대‘장애’라는 개념은 이 개념이 포함하는 개별 인간들을 동일시하여‘장애’라는 개념 속에 가둬버린다. 이는‘비장애’도 마찬가지다. 그러나‘비장애’는 이 개념에 포함되는 인간들이 자신들은‘장애’라는 낙인으로부터 자유로운 우월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러한 이분법적 개념 구분은 인간의 개별성을 동일성으로 전환함으로써 인간의 존재 근거인 차이를 무시한다. 들뢰즈는 차이가 존재고 존재가 차이라고 말한다. 차이로 인해 모든 존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은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이 된다. 이러한 교육의 대표 사례가 장애/비장애와 같은 이분법적 집단 구분이다. 차이는 자연스럽고 가치중립적 현상이며, 이때 가치는 상대적 가치가 아니라 절대적 가치다. 차이를 고려하는 교육, 즉 차이의 교육은 인간의 차이를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이를 실현하는 것을 차이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차이화를 위한 교육적 지원이 특수교육 대안 용어로 제시한 개별화지원이다.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체제가 일원화된 상태에서 다양한 지원체제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 진단이 아닌 요구 분석 체제를 갖추어 학생의 개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는 원리인 보편적 설계를 교육에 적용한 보편적 학습설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체제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Agamben, G.,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Homo sacer –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새물결 2008
2 허승준, "통합교육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한계와 당면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65-84, 2012
3 허승준, "차이의 교육과 정의: 민주주의적 교육 정의 모색을 위한 특수교육 체제 개혁" 1-14, 2019
4 이정우, "차이에서 차이생성으로" 국제한인문학회 1 (1): 127-149, 2017
5 최화(최정식), "지속과 ‘차이의 존재론’ - 베르크손과 들뢰즈(II)" 철학사상연구소 (61) : 339-366, 2016
6 황순영,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93-109, 2015
7 한현민, "장애와 특수교육요구: 개념적 고찰" 1 (1): 39-63, 2000
8 허승준,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의 해체와 대안"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203-223, 2018
9 허승준,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99-120, 2016
10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방안" 34 (34): 29-71, 1999
1 Agamben, G.,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Homo sacer –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새물결 2008
2 허승준, "통합교육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한계와 당면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65-84, 2012
3 허승준, "차이의 교육과 정의: 민주주의적 교육 정의 모색을 위한 특수교육 체제 개혁" 1-14, 2019
4 이정우, "차이에서 차이생성으로" 국제한인문학회 1 (1): 127-149, 2017
5 최화(최정식), "지속과 ‘차이의 존재론’ - 베르크손과 들뢰즈(II)" 철학사상연구소 (61) : 339-366, 2016
6 황순영,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93-109, 2015
7 한현민, "장애와 특수교육요구: 개념적 고찰" 1 (1): 39-63, 2000
8 허승준,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의 해체와 대안"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203-223, 2018
9 허승준,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99-120, 2016
10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방안" 34 (34): 29-71, 1999
11 허승준, "인공지능 시대의 능력과 장애의 재해석: 센(Amartya Sen)의 역량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55-77, 2018
12 허승준, "인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교육: 공평한 교육 지원을 위한 능력과 필요의 적용 원리"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69-84, 2017
13 강순전,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 - 헤겔 변증법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헤겔학회 (19) : 69-102, 2006
14 김종기, "아도르노 비동일자의 니체적 토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77-108, 2012
15 Thousand, J., "수업 차이화하기: 보편적 학습설계와 통합교육 수업 계획[Differentiating instruction: Planning for universal design and teaching for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학지사 2019
16 Adorno, T. W., "부정변증법[Negative dialektik]" 도서출판 한길사 1999
17 윤진숙, "본질주의 비판과 차이의 철학" 16 : 153-182, 2006
18 조선화,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 통합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51-84, 2011
19 이미숙, "미국 특수교육학계의 장애 명칭붙임 논의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75-97, 2010
20 Hughes, J.,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입문[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서광사 2014
21 박치완, "동일성의 폭력과 차이의 허구" 한국현상학회 (23) : 275-300, 2004
22 Heidegger, M., "동일성과 차이[Identitat und Differenz]" 민음사 2000
23 이영철, "“정신지체”라는 명칭의 해체를 위한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23-42, 2007
24 Abaglo, P., "Using labeling : A study of client preference" 84 (84): 218-220, 1990
25 Rose, D. 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15 (15): 67-70, 2000
26 Norwich, B., "The connotation of special education labels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26 (26): 179-183, 1999
27 Phipps, P. M., "The LD learner is often a boy-Why?" 17 : 425-430, 1983
28 Rose, D. H.,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CD 2002
29 Wolman, C., "Stability of categorical design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 A longitudinal study" 23 (23): 213-222, 1989
30 Reschly, D. J., "Special education in transition: Functional assessment and noncategorical programming" Sopris West 1999
31 Ysseldyke, J. E., "Qualitative differences in reading and math instruction received by handicapped children" 10 : 14-20, 1989
32 Lauchlan, F., "Is the use of labels in special education helpful?" 22 (22): 36-42, 2007
33 Sands, D. J., "Inclusive education for the 21th century" Wadworth/Thomson Learning 2000
34 Moberg, S., "Impact of teachers' dogmatism and pessimistic stereotype on the effect of EMR-class label on teachers' judgments in Finland" 30 (30): 141-150, 1995
35 Kershaw, P.,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s this a useful category?" 15 : 45-56, 1988
36 Weisel, A., "Effects of labels and personal contact on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10 (10): 1-10, 2002
37 Cartwright, G. P., "Educating special learners" Wadsworth Publishing Co 1995
38 Kirk, S. A.,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Houghton, Mifflin 1985
39 Thousand, J., "Differentiating instruction:Collaborative planning and teaching for universally designed learning" Cowin Press 2007
40 Hall, T.,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implications for UDL implementation: Effective Classroom Practice Report" National Center on Accessing the General Curriculum (NCAC) 2003
41 Kuther, T. L.,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children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it be eliminated?"
42 Taylor, S., "Critical issues in the live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Brookes 235-328, 1991
43 Stainback, W., "Controversial issues confronting special education: Divergent perspectives" Ally and Bacon 1992
44 Scruggs, T. E., "Co-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s :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73 (73): 392-416, 2007
45 Keogh, B. K., "Classification, compliance, and confusion" 16 (16): 25-, 1983
46 Triano, S., "Categorical elig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enshrinement of the medical model in disability policy" 20 (20): 399-412, 2000
47 Hocutt, A. M., "Case studies of the application of categorical and non-categorical special education" 5 : 199-222, 1995
48 Gross, J., "Asperger syndrome: A label worth having?" 10 (10): 104-110, 1994
49 Sands, D. J., "A statewide exploration of the nature and use of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62 : 68-83, 1995
50 Wang, M. C., "A scenario for better-not-separate-special education" 50 (50): 35-38, 1992
51 Rose, D. H., "A practical reader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rvard Education Press 2006
52 이영철, "'지적장애' 용어의 변화와 최근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24, 2010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개성조사’연구: 학적부 기록 방식의 변천과 결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3-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5 | 1.7 | 1.914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