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혼의 자유와 이혼 후 부양에 관한 검토- 파탄주의로 전환을 위한 부부간 부양의무의 재해석 - = Review on Freedom of Divorce and Post-divorce Support - Reinterpreting the Duty of Support between Couples for Converting to No-fault Divorce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riage can be define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man and a woman sharing life and enjoying sex. Children born through the institution of marriage between a man and woman are officially recognized as the legal children of the couple, and the co...

      Marriage can be define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man and a woman sharing life and enjoying sex. Children born through the institution of marriage between a man and woman are officially recognized as the legal children of the couple, and the couple formulate an economic community. If any part of the couple dies, then his or her possessions are inherited by the surviving spouse and children. Marriage is a sexual and economical union of a man and woman that is socially accepted. The legal character of marriage is a legal continuous status agreement that combines a socially accepted spouse agreement that a man and woman can engage in exclusive sex, give birth to children, and raise them; an in-law agreement to pledge to treat the family members of the spouse’s siblings as one’s own family; and a support agreement to work together for the needs that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survival.
      The freedom of marriage includes the freedom to freely form marital relations (freedom of marriage), engage in independent marriage life, and the freedom to dissolve marital relations (freedom of divorce). As long as marriage is viewed as a lasting contract while allowing its dissolution, if there is value of remaining assets to be shared and protected fairly when the economical community is dissolved, then it is necessary to give consideration for survival after divorce (support after divorc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for the reason of divorce according to court rulings pursuant to Civil Act Article 840 No. 6,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en banc is that unlike foreign countries, Korean laws cannot be interpreted as the so-called ‘no-fault divorce’ system because there are no systems in place for support after marriage. However, the nature of marriage can be reviewed again, and the interpretation of Civil Act Article 826 Paragraph 1, which prescribes the duty of support between spouses, and Civil Act Article 977, which prescribed the level and method of support, can also be realized in our legislation after divorce. The freedom of marriage also includes the freedom of divorce, and the freedom of divorce can only be fair to both parties when there is consideration for survival after divorce (support after divor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freedom of marriage that includes support after divorce and the freedom of divorce will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Constitution Article 36 Paragraph 1 through the feasible interpretation of our Civil 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남녀가 삶을 공유하고 성을 향유하는 것을 제도화한 것을 혼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남녀가 혼인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낳은 자녀는 부부의 법적인 자녀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부부는 경제적...

      남녀가 삶을 공유하고 성을 향유하는 것을 제도화한 것을 혼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남녀가 혼인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낳은 자녀는 부부의 법적인 자녀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부부는 경제적 공동체를 형성한다. 부부 일방이 사망하면 그 재산은 생존한 배우자와 자녀에게 상속된다.
      혼인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남녀의 성적·경제적 결합이다. 혼인의 법적 성질은 남녀가 성행위를 독점하고 자녀를 낳아 기를 수 있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배우자 계약, 배우자의 형제자매 등 피붙이를 내 피붙이와 같이 인정하겠다는 인척 계약 및 생존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요를 공동으로 도모하겠다는 부양 계약이 결합된 법정의 계속적 신분 계약이다. 그리고 혼인은 시간적 한계를 정하지 않은 유효기간이 일생 동안인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정신적·육체적·경제적 결합이다.
      혼인의 자유는 자유롭게 혼인관계를 형성하고(결혼의 자유), 주체적으로 혼인생활을 영위하며, 혼인관계를 해소(이혼의 자유)할 수 있는 자유를 포함한다. 혼인을 항구적인 신분 계약으로 보면서도 그 해소를 허용하는 이상 경제적 공동체를 해소할 때 잔존 재산을 공정하게 나누고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경우 이혼 후 생존에 대한 배려(이혼 후 부양)가 필요하다.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은 민법 제840조 제6호의 재판상 이혼사유의 해석과 관련하여 우리 법제에서는 외국과 달리 이혼 후 부양이라는 제도가 없다는 이유로 이른바 파탄주의로 해석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혼인의 본질에 대하여 다시 검토하고, 부부간 부양의무를 규정한 민법 제826조 제1항과 부양의 정도와 방법에 관하여 규정한 민법 제977조의 해석을 통하여 우리 법제에서도 이혼 후 부양을 실현할 수 있다. 혼인의 자유에는 결혼의 자유뿐만 아니라 이혼의 자유도 포함되고, 이혼의 자유는 이혼 후 생존에 대한 배려(이혼 후 부양)가 전제되어야 양 당사자에게 공정할 것이다. 우리 민법의 합리적인 해석을 통하여 이혼 후 부양 제도를 정립하고, 이혼의 자유가 헌법 제36조 제1항의 취지에 맞게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희, "혼인의 헌법적 보장-헌법 제36조 제1항을 중심으로-" 헌법재판연구원 2017

      2 차선자, "혼인계약에서 정의의 원칙" 한국가족법학회 25 (25): 1-32, 2011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4 김학성, "헌법학원론" 진원사 2014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6 김광재,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30년 ‘인권과 정의를 세우다’" 윌비스 2019

      7 신옥주, "헌법상 혼인과 가족제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9 (9): 151-179, 2015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9 남효순, "프랑스민법상의 이혼의 원인과 절차" 한국민사법학회 54 (54): 287-336, 2011

      10 "프랑스 법령정보"

      1 이재희, "혼인의 헌법적 보장-헌법 제36조 제1항을 중심으로-" 헌법재판연구원 2017

      2 차선자, "혼인계약에서 정의의 원칙" 한국가족법학회 25 (25): 1-32, 2011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4 김학성, "헌법학원론" 진원사 2014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6 김광재,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30년 ‘인권과 정의를 세우다’" 윌비스 2019

      7 신옥주, "헌법상 혼인과 가족제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9 (9): 151-179, 2015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9 남효순, "프랑스민법상의 이혼의 원인과 절차" 한국민사법학회 54 (54): 287-336, 2011

      10 "프랑스 법령정보"

      11 이회규, "파탄주의에 관한 연구-독일 혼인법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 1999

      12 데즈먼드 모리스, "털 없는 원숭이" 문예춘추사 2006

      13 윤진수, "친족상속법 강의" 박영사 2020

      14 김주수, "친족·상속법" 법문사 2017

      15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03

      16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04

      17 윤진수, "주해친족법 제1권과 제2권" 박영사 [서울] 2015

      18 김주수, "주석민법[친족(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19 제레드 다이아몬드, "제3의 침팬지」" 문학사상 2013

      20 Marry Ann Glendon, "전환기의 가족법" 길안사 1996

      21 최은정, "재산분할의 기준 정립을 위한 방안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6

      22 "일본 법령정보"

      23 서종희, "이혼시 ‘가재도구(Haushaltsgegenstände)’ 분할 —신설된 독일민법 제1568b조를 참조하여—" 한국가족법학회 27 (27): 37-70, 2013

      24 표계학, "이혼부양제도의 입법론적 고찰-이혼피해자를 위한-" 한국가족법학회 (12) : 1998

      25 이홍민, "이혼급부에 대한 검토 ―재산분할, 부양료, 위자료 청구의 개별적 근거―" 한국가족법학회 24 (24): 33-60, 2010

      26 조은희, "이혼 후 배우자 부양에 관한 우리나라와 독일법의 비교법적인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2002

      27 오상호, "이혼 ‘후’ 배우자 부양의 법리 -가족법과 사회보장법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23 (23): 153-178, 2012

      28 김태환,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실무상 검토 ―대법원 2015.9.15. 선고 2013므568 전원합의체 판결과 이후 선고된 하급심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31 (31): 373-426, 2017

      29 강인정/오택현,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에 관한 소고"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7 : 2020

      30 이준영,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 - 대법원 2015. 9. 15. 선고 2013므568 전원합의체 판결-" 부설법학연구소 51 : 249-286, 2017

      31 방웅환,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사법발전재단 1 (1): 395-431, 2016

      32 "영국 법령정보"

      33 임종효, "양육비청구권에 관한 기초이론 및 실무상 쟁점" 법원도서관 51 : 2011

      34 제철웅, "부양청구권 및 부양비용 상환청구권에 관한 몇가지 해석론적 제안" 법학연구소 31 (31): 471-500, 2014

      35 이동수, "별거와 이혼의 경우 혼인주택의 이용관계: 독일 가족법의 경우" 한국가족법학회 34 (34): 221-278, 2020

      36 "법제처 세계법령정보"

      37 로빈 던바, "발칙한 진화론" 21세기북스 2011

      38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15

      39 이희배, "민법상 부양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법학회 (2) : 1988

      40 강현중, "미성숙 자녀의 양육과 부양" 대법원 12 : 1981

      41 "미국 연방대법원"

      42 "미국 법령정보"

      43 한상복,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44 한복룡, "독일의 이혼법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747-784, 2007

      45 "독일 법령정보"

      46 오영준, "고요한 정의의 울림(신영철 대법관퇴임기념논문집)" 사법발전재단 2015

      47 박선영, "개인의 존엄과 이혼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헌법 제10조와 제36조 제1항의 관점에서 본 대법원판례(2013므568)와 EU국가의 입법을 중심으로 -" 유럽헌법학회 (20) : 75-110, 2016

      48 이경희, "가족법(전정판)" 법원사 2013

      49 신영호, "가족법" 법원사 2018

      50 鄭貴鎬, "扶養에 관한 硏究: 韓國 扶養法理의 內包와 外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51 二宮周昌, "家族法" 新世社 2011

      52 大村敦志, "家族法" 有斐閣法律学叢書 2010

      53 朱丹颖, "中华人民共和国 婚姻法" 中国法制出版社 2017

      54 "http://www.statutelaw.gov.uk"

      55 Sang-Myeong LEE, "A Study on the Divorce Claim by Guilty Spouse"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36 (36): 153-174, 2019

      56 Kyung-Ae Cho, "A Small Comparative Study on No-Fault Grounds for Divorce"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Law 32 (32): 245-308, 2018

      57 안경희, "2007년 개정 독일부양법의 주요내용" 법학연구소 20 (20): 119-165, 2008

      58 안문희, "2004년 프랑스 이혼법 —이혼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7 (27): 1-36, 2013

      59 안문희, "2004년 프랑스 이혼법 -이혼사유를 중심으로-" 한국민사법학회 63 (63): 127-15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