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르틴 하이데거,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2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3 정상준, "한국의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김용권, "한국에서의 미국학: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5 김우창, "한국시와 형이상—하나의 관점—최남선에서 서정주까지" 1968
6 김현,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가을) : 1977
7 빌 레딩스, "폐허의 대학" 책과함께 2015
8 김우창, "지상의 척도" 민음사 1973
9 김우창, "주체의 형식으로서의 문학—작품해석의 전제에 대한 한 성찰" (겨울) : 1975
10 유종호, "전체성으로의 지름길" 1977
1 마르틴 하이데거,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2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3 정상준, "한국의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김용권, "한국에서의 미국학: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5 김우창, "한국시와 형이상—하나의 관점—최남선에서 서정주까지" 1968
6 김현,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가을) : 1977
7 빌 레딩스, "폐허의 대학" 책과함께 2015
8 김우창, "지상의 척도" 민음사 1973
9 김우창, "주체의 형식으로서의 문학—작품해석의 전제에 대한 한 성찰" (겨울) : 1975
10 유종호, "전체성으로의 지름길" 1977
11 백낙청,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시인사 1979
1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21
13 황호덕, "쓺, 2018년 하권" 2018
14 "신시 60주년 『한국시선)』 발간"
15 "신문학 60년 맞아 고조되는 문학전집 붐"
16 "신문학 60년 기념 대표작전집 발간"
17 김우창, "시인과 현실—신경림시집 『농무』의 세계와 한국시의 방향" 1973
18 김우창, "시와 정치—한국 현대시의 한 측면에 대한 고찰" (겨울) : 1979
19 백낙청, "시민문학론" (여름) : 1969
20 백낙청,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봄) : 1966
21 도정일, "사유의 공간" 생각의 나무 2004
22 라즈미그 쾨세양, "사상의 좌반구" 현실문화 2020
23 문광훈, "사무사: 김우창의 『궁핍한 시대의 시인』 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2
24 박연희,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6 (26): 427-454, 2022
25 제임스 밀러,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개마고원 2010
26 김우창, "민족문학과 양심의 이념" (여름) : 1978
27 권석우, "미국학(미국문화연구)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하여: 패링턴으로부터 신화상징학파, 새로운 미국학에서 다문화주의에 이르기까지"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217-258, 2005
28 봉준수, "로버트 프로스트와 월러스 스티븐스: 국외 연구동향 1990~2004" 영미문학연구회 (17) : 125-150, 2004
29 허은, "냉전시대 동아시아 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 네트워크’ 구축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60 (60): 104-143, 2017
30 김우창, "나와 우리—문학과 사회에 대한 한 고찰" (봄) : 1975
31 손유경, "김우창 초기 비평의 ‘미니마 모랄리아’" 인문학연구소 34 : 119-143, 2020
32 김우창, "김우창 전집6 : 보편 이념과 나날의 삶" 민음사 2015
33 김우창, "김우창 전집11: 문학의 경계와 지평" 민음사 2016
34 이찬, "김우창 비평에 나타난 문학과 철학의 관련 양상- “구체적 전체성”과 “교양”의 문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6) : 101-135, 2014
35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1973
36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37 백낙청, "궁핍한 시대와 문학정신—문명의 위기와 문학인의 입장" 1965
38 김건우, "국학, 국문학, 국사학과 세계사적 보편성 - 1970년대 비평의 한 기원" 한국현대문학회 (36) : 525-545, 2012
39 안서현,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1966~1980년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40 황호덕, "가죽각반과 단독강화, 김우창의 미국문학론과 한국문학비평 -한 보편주의자의 신비평적 읽기, 수평적 초월론에서 내재적 초월론까지-" 반교어문학회 (62) : 157-197, 2022
41 김우창, "The Idea of Community in Wallace Stevens’ “Sunday Morning”" 한국영어영문학회 44 : 1972
42 김우창, "Poetry, Politics & Culture: A Study of the Poetry of Wallace Stevens" Harvard University 1974
43 "Campus Unrest: Timeline and Photos" University at Buffalo University Libraries
44 "60년의 출판계"
45 이현석, "4.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 한국현대문학회 (35) : 223-254, 2011
46 박연희, "1970년대 제3세계적 시각과 세계문학론- 김우창과 『세계의 문학』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5) : 269-302, 2015
47 이현석, "1970년대 서사담론과 ‘문학 주체’ 재현의 논리" 한국문예창작학회 13 (13): 137-166, 2014
48 백지은, "'문학과 정치' 담론의 행방과 향방- 2000년대 중후반의 비평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6) : 103-12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