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1970년대 김우창의 미국학과 문학론 -『궁핍한 시대의 시인』(1977)이 남긴 시의 정치성에 관한 물음들 = Uchang Kim’s American Studies and Literary Theories in 1970s: Questions about the Political Nature of Poetry in The Poet in Time of Need(197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5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contextualize the questions that Uchang Kim’s early literary theories tried to clarify in the social and literary history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Uchang Kim as a literary researcher or literary theorist who pon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and to reveal the fact that repeated question in his literary theory—How can an individual be reborn as a political subject?—has been raised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universities and American society in a period of upheaval after 1968 and the Korean criticism field, where the controversy over the “Literature-Subject” was ongoing. To this end, I reviewed his essays about the United States, researches on American Literature, and also his literary theories including Chapter 4 of The Poet in Time of Need (1977) which were mainly written in the 1970s. Uchang Kim, who discover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ical task of reconstructing political subjects and communities by witnessing the scene of the U.S. 68 Movement, explored how the language of poetry can intervene in such matters in his literary theories after returning to the field of Korean Literarature. As a result, Uchang Kim’s early literary theories moved toward discussing the politics inherent in literary language itself based on the post-structuralist thought, but ironically, it stopped at the point of reaffirming the ga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The questions of literary theory left unresolved by Uchang Kim in the 1970s reappear similarly among later Korean critics, and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reevaluated as a forgotten pre-history of the “literature and politics” discourse that has developed since the 1990s.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re-contextualize the questions that Uchang Kim’s early literary theories tried to clarify in the social and literary history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shed l...

      This article aims to re-contextualize the questions that Uchang Kim’s early literary theories tried to clarify in the social and literary history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Uchang Kim as a literary researcher or literary theorist who pon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and to reveal the fact that repeated question in his literary theory—How can an individual be reborn as a political subject?—has been raised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universities and American society in a period of upheaval after 1968 and the Korean criticism field, where the controversy over the “Literature-Subject” was ongoing. To this end, I reviewed his essays about the United States, researches on American Literature, and also his literary theories including Chapter 4 of The Poet in Time of Need (1977) which were mainly written in the 1970s. Uchang Kim, who discover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ical task of reconstructing political subjects and communities by witnessing the scene of the U.S. 68 Movement, explored how the language of poetry can intervene in such matters in his literary theories after returning to the field of Korean Literarature. As a result, Uchang Kim’s early literary theories moved toward discussing the politics inherent in literary language itself based on the post-structuralist thought, but ironically, it stopped at the point of reaffirming the ga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The questions of literary theory left unresolved by Uchang Kim in the 1970s reappear similarly among later Korean critics, and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reevaluated as a forgotten pre-history of the “literature and politics” discourse that has developed since the 199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김우창의 초기 문학론이 해명하고자 했던 물음들을 1960~70년대 한국과 미국의 사회사 및 문학사 속에 재맥락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시와 정치’ 사이의 관계를 고민했던 문학연구자 혹은 문학이론가로서 김우창을 조명하고자 하며, 그의 문학론에서 거듭 반복되는 ‘개인은 어떻게 정치적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 김우창이 몸담고 있었던 1968년 이후 격변기의 미국 대학 및 미국 사회, ‘문학 주체’ 논쟁이 지속되고 있었던 한국 비평장의 영향 아래 제기되어 온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1970년대에 작성된 김우창의 미국 체험 에세이 및 미국문학 연구논문, 󰡔궁핍한 시대의 시인󰡕 4장을 비롯한 문학론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미국 68운동의 현장을 목격함으로써 정치적 주체 및 공동체의 재구성이라는 당대의 정치철학적 과제를 발견해 낸 김우창은, 한국문학장으로 돌아온 이후 자신의 문학론에서 시의 언어가 어떻게 그러한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지를 탐구했다. 결과적으로 김우창의 초기 문학론은 후기구조주의적 사유에 바탕하여 문학(어) 자체에 내재한 정치성을 논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시와 정치 사이의 간극을 재확인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1970년대 김우창이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둔 문학론의 질문들은 후대의 비평가들 사이에서 유사한 형태로 다시 출현하는바, 그의 물음을 1990년대 이후 전개된 ‘문학과 정치’ 담론의 잊혀진 전사로서 재평가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김우창의 초기 문학론이 해명하고자 했던 물음들을 1960~70년대 한국과 미국의 사회사 및 문학사 속에 재맥락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시와 정치’ 사이의 관...

      이 글은 김우창의 초기 문학론이 해명하고자 했던 물음들을 1960~70년대 한국과 미국의 사회사 및 문학사 속에 재맥락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시와 정치’ 사이의 관계를 고민했던 문학연구자 혹은 문학이론가로서 김우창을 조명하고자 하며, 그의 문학론에서 거듭 반복되는 ‘개인은 어떻게 정치적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 김우창이 몸담고 있었던 1968년 이후 격변기의 미국 대학 및 미국 사회, ‘문학 주체’ 논쟁이 지속되고 있었던 한국 비평장의 영향 아래 제기되어 온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1970년대에 작성된 김우창의 미국 체험 에세이 및 미국문학 연구논문, 󰡔궁핍한 시대의 시인󰡕 4장을 비롯한 문학론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미국 68운동의 현장을 목격함으로써 정치적 주체 및 공동체의 재구성이라는 당대의 정치철학적 과제를 발견해 낸 김우창은, 한국문학장으로 돌아온 이후 자신의 문학론에서 시의 언어가 어떻게 그러한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지를 탐구했다. 결과적으로 김우창의 초기 문학론은 후기구조주의적 사유에 바탕하여 문학(어) 자체에 내재한 정치성을 논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시와 정치 사이의 간극을 재확인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1970년대 김우창이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둔 문학론의 질문들은 후대의 비평가들 사이에서 유사한 형태로 다시 출현하는바, 그의 물음을 1990년대 이후 전개된 ‘문학과 정치’ 담론의 잊혀진 전사로서 재평가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틴 하이데거,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2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3 정상준, "한국의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김용권, "한국에서의 미국학: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5 김우창, "한국시와 형이상—하나의 관점—최남선에서 서정주까지" 1968

      6 김현,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가을) : 1977

      7 빌 레딩스, "폐허의 대학" 책과함께 2015

      8 김우창, "지상의 척도" 민음사 1973

      9 김우창, "주체의 형식으로서의 문학—작품해석의 전제에 대한 한 성찰" (겨울) : 1975

      10 유종호, "전체성으로의 지름길" 1977

      1 마르틴 하이데거,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2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3 정상준, "한국의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김용권, "한국에서의 미국학: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5 김우창, "한국시와 형이상—하나의 관점—최남선에서 서정주까지" 1968

      6 김현,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가을) : 1977

      7 빌 레딩스, "폐허의 대학" 책과함께 2015

      8 김우창, "지상의 척도" 민음사 1973

      9 김우창, "주체의 형식으로서의 문학—작품해석의 전제에 대한 한 성찰" (겨울) : 1975

      10 유종호, "전체성으로의 지름길" 1977

      11 백낙청,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시인사 1979

      1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21

      13 황호덕, "쓺, 2018년 하권" 2018

      14 "신시 60주년 『한국시선)』 발간"

      15 "신문학 60년 맞아 고조되는 문학전집 붐"

      16 "신문학 60년 기념 대표작전집 발간"

      17 김우창, "시인과 현실—신경림시집 『농무』의 세계와 한국시의 방향" 1973

      18 김우창, "시와 정치—한국 현대시의 한 측면에 대한 고찰" (겨울) : 1979

      19 백낙청, "시민문학론" (여름) : 1969

      20 백낙청,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봄) : 1966

      21 도정일, "사유의 공간" 생각의 나무 2004

      22 라즈미그 쾨세양, "사상의 좌반구" 현실문화 2020

      23 문광훈, "사무사: 김우창의 『궁핍한 시대의 시인』 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2

      24 박연희,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6 (26): 427-454, 2022

      25 제임스 밀러,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개마고원 2010

      26 김우창, "민족문학과 양심의 이념" (여름) : 1978

      27 권석우, "미국학(미국문화연구)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하여: 패링턴으로부터 신화상징학파, 새로운 미국학에서 다문화주의에 이르기까지"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217-258, 2005

      28 봉준수, "로버트 프로스트와 월러스 스티븐스: 국외 연구동향 1990~2004" 영미문학연구회 (17) : 125-150, 2004

      29 허은, "냉전시대 동아시아 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 네트워크’ 구축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60 (60): 104-143, 2017

      30 김우창, "나와 우리—문학과 사회에 대한 한 고찰" (봄) : 1975

      31 손유경, "김우창 초기 비평의 ‘미니마 모랄리아’" 인문학연구소 34 : 119-143, 2020

      32 김우창, "김우창 전집6 : 보편 이념과 나날의 삶" 민음사 2015

      33 김우창, "김우창 전집11: 문학의 경계와 지평" 민음사 2016

      34 이찬, "김우창 비평에 나타난 문학과 철학의 관련 양상- “구체적 전체성”과 “교양”의 문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6) : 101-135, 2014

      35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1973

      36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37 백낙청, "궁핍한 시대와 문학정신—문명의 위기와 문학인의 입장" 1965

      38 김건우, "국학, 국문학, 국사학과 세계사적 보편성 - 1970년대 비평의 한 기원" 한국현대문학회 (36) : 525-545, 2012

      39 안서현,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1966~1980년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40 황호덕, "가죽각반과 단독강화, 김우창의 미국문학론과 한국문학비평 -한 보편주의자의 신비평적 읽기, 수평적 초월론에서 내재적 초월론까지-" 반교어문학회 (62) : 157-197, 2022

      41 김우창, "The Idea of Community in Wallace Stevens’ “Sunday Morning”" 한국영어영문학회 44 : 1972

      42 김우창, "Poetry, Politics & Culture: A Study of the Poetry of Wallace Stevens" Harvard University 1974

      43 "Campus Unrest: Timeline and Photos" University at Buffalo University Libraries

      44 "60년의 출판계"

      45 이현석, "4.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 한국현대문학회 (35) : 223-254, 2011

      46 박연희, "1970년대 제3세계적 시각과 세계문학론- 김우창과 『세계의 문학』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5) : 269-302, 2015

      47 이현석, "1970년대 서사담론과 ‘문학 주체’ 재현의 논리" 한국문예창작학회 13 (13): 137-166, 2014

      48 백지은, "'문학과 정치' 담론의 행방과 향방- 2000년대 중후반의 비평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6) : 103-12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