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명말 朱載堉의 樂律 성취와 청 왕조 康熙帝와 乾隆帝 시기의 악률 사업을 비교 고찰했다. 두 사업은 한 세기 이상의 시차가 있지만 古樂 복원을 놓고 벌어진 과학 이론 사이의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2290
문중양 (서울대학교)
2024
Korean
Ancient Music ; Equal Temperament ; Zhu Zaiyu ; Kangxi Emperor ; Qianlong Emperor ; 古樂 ; 평균율 ; 주재육 ; 강희제 ; 건륭제
KCI등재
학술저널
77-109(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명말 朱載堉의 樂律 성취와 청 왕조 康熙帝와 乾隆帝 시기의 악률 사업을 비교 고찰했다. 두 사업은 한 세기 이상의 시차가 있지만 古樂 복원을 놓고 벌어진 과학 이론 사이의 경...
이 논문은 명말 朱載堉의 樂律 성취와 청 왕조 康熙帝와 乾隆帝 시기의 악률 사업을 비교 고찰했다. 두 사업은 한 세기 이상의 시차가 있지만 古樂 복원을 놓고 벌어진 과학 이론 사이의 경쟁과도 같았다. 주재육과 강희제ㆍ건륭제 조정의 악률 전문가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평행선을 반대로 달리는 정반대의 논리를 펼쳤다. 마치 두 패러다임 사이의 ‘공약불가능성’을 보는 듯하다. 명말의 주재육과 청의 전문가는 역대의 악률에 대한 평가와 계승의 관점에서 완전히 달랐다. 그랬기 때문에 청 조정과 악률 전문가에게 주재육의 성취인 평균율의 수용은 근원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런데 상이한 관점을 피력했던 그들의 논거들이 今樂과 실험을 근거로 ‘참다운 律’(즉 고악)을 복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사한 논증을 펼치고 있음이 흥미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된 결정적인 차이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그들이 복원의 근거이자 기준으로 삼았던 今樂(즉 今尺)이 달랐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주재육에게 今尺은 명 건국초 洪武帝가 제정한 ‘營造尺’과 그것의 실증적 유물인 ‘大明寶鈔’였다. 청 조정의 악률 전문가에게 금척은 1713년 도량형 개혁을 통해서 강희제가 제정한 ‘工部營造尺’이었다. 청 조정에서 추진한 고악 복원 프로그램이 명 홍무제가 제정한 척도를 기준으로 했던 고악 복원 프로그램을 인정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강희제와 건륭제 조정의 악률 전문가들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주재육의 고악 복원 프로그램을 조목조목 따져 부정한 배경이 이러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musical achievements of Zhu Zaiyu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musical projects of the Kangxi and Qianlong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Despite the more than a century gap between these e...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musical achievements of Zhu Zaiyu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musical projects of the Kangxi and Qianlong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Despite the more than a century gap between these endeavors, they represent a competition of scientific theorie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music. Zhu Zaiyu and the musical experts of the Kangxi and Qianlong courts advanced fundamentally opposing theories regarding the same issues, akin to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two paradigms. Their divergent perspectives on the evaluation and succession of historical musical scales made the acceptance of Zhu Zaiyu's accomplishment of equal temperament fundamentally impossible for the Qing court and its musical experts.
Despite their divergent viewpoints, it is intriguing that both Zhu Zaiyu and the Qing court's musical experts presented similar arguments in asserting that they were restoring the ‘true ancient music’ based on contemporary music and empirical experiment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they arrived at completely different conclusions. The decisive difference lies in the contemporary standards they used as the basis for their restoration efforts. For Zhu Zaiyu, the contemporary standard was the ‘Yingzao chi’ (Construction Ruler) established by the Hongwu Emperor at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as well as its empirical relic, the ‘Daming Baochao’ (Great Ming Treasure Note). Conversely, for the Qing court's musical experts, the standard was the ‘Gongbu Yingzao chi’ (Ministry of Works Construction Ruler) instituted by the Kangxi Emperor during the 1713 reforms of weights and measures. Consequently, the Qing court's restoration program could not acknowledge the Ming Dynasty's restoration efforts based on the standards set by the Hongwu Emperor.
This fundamental discrepancy explains why the Qing court's musical experts meticulously scrutinized and ultimately rejected Zhu Zaiyu's restoration program. Their differing foundational standards led to the Qing court's systematic refutation of Zhu Zaiyu's methods and conclusions.
『구축된 도시 권력 공간』― 만주국 시기 신경의 도시개조사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