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산 생가 신자료는 2023년 심산김창숙선생기념사업회가 심산 김창숙 후손에게 기탁받은 고본 9책과 문서 219점 379장이다.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가 이용하였으나 그 전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2292
장유승 (성균관대학교)
2024
Korean
Kim Changsook ; Simsanyugo ; Lee Seungman ; the Liberal Party ; Korean Confucian ; 김창숙 ; 심산유고 ; 이승만 ; 자유당 ; 유림
KCI등재
학술저널
381-40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심산 생가 신자료는 2023년 심산김창숙선생기념사업회가 심산 김창숙 후손에게 기탁받은 고본 9책과 문서 219점 379장이다.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가 이용하였으나 그 전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
심산 생가 신자료는 2023년 심산김창숙선생기념사업회가 심산 김창숙 후손에게 기탁받은 고본 9책과 문서 219점 379장이다.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가 이용하였으나 그 전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심산 생가 신자료는 『심산유고』의 저본으로 추정되는 고본 및 고본의 초고로 추정되는 문서 형태의 원고이다. 이중에는 이승만과 자유당을 노골적으로 비판하여 『심산유고』 편찬 과정에서 산삭된 한시, 그리고 애초에 『심산유고』 수록 대상에서 배제된 해방 이후의 국한문혼용체 저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은 심산 생가 신자료의 현황을 개관하고, 새로 발굴한 심산의 한시 21제의 일부를 고찰하였다.
『심산유고』에 수록되지 못한 저술의 수습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본과 문서를 『심산유고』와 정밀히 대조하여 누락된 글을 찾아내고, 창작 시기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해방 이후 심산이 남긴 국한문혼용체 저술은 그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정리가 시급하다. 심산의 저술은 해방 이후 정치 상황과 유림 활동, 그리고 성균관대학교 校史를 증언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msan’s documents are books and documents donated to the Simsan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by descendants of Simsan Kim Changsook in 2023. Some researchers have used it, but its status is unknown. Simsan’s documents are manuscript books b...
Simsan’s documents are books and documents donated to the Simsan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by descendants of Simsan Kim Changsook in 2023. Some researchers have used it, but its status is unknown. Simsan’s documents are manuscript books believed to be the original of the publication, and documents believed to be the original of manuscript books. There are poems that were excluded from publication due to explicit criticism of Lee Seungman and the Liberal Party. Simsan’s documents also includes the writings of Korean mixed-text writings after liberation, which were initially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publication. This thesi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Simsan’s documents and examines some of the 21 newly discovered poems.
Based on this theseis,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ntrast documents with published books to find missing articles and to reveal the timing of creation.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organize the writings of Korean mixed-text writings after liberation. Simsan’s documents are a testimony to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liberation, Korean Confucian activities, and the history of Sungkyunkwan University.
『구축된 도시 권력 공간』― 만주국 시기 신경의 도시개조사업을 중심으로
강희제는 어떻게 朱載堉의 樂律을 부정했나― 명청대 眞律ㆍ眞尺 재현의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