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에너지 섭취 과잉이 주 원인이나, 최근에는 영양소의 불균형, 특히 높은 나트륨·낮은 칼륨 섭취도 비만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균형적인 나트륨-칼륨 섭취를 위한 식사지침이 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비만은 에너지 섭취 과잉이 주 원인이나, 최근에는 영양소의 불균형, 특히 높은 나트륨·낮은 칼륨 섭취도 비만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균형적인 나트륨-칼륨 섭취를 위한 식사지침이 요...
비만은 에너지 섭취 과잉이 주 원인이나, 최근에는 영양소의 불균형, 특히 높은 나트륨·낮은 칼륨 섭취도 비만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균형적인 나트륨-칼륨 섭취를 위한 식사지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Na/K 섭취비와 비만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비만여부에 따른 음식군의 섭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7기(2013-2018) 의 30-49세 중 영양조사자료에 결측치가 있는 자를 제외하여 7,523명으로 하였다. 비만의 기준은 BMI ≥25 kg/m2 와 허리둘레기준 남성 ≥90cm, 여성≥85cm으로 하였다. Na/K 섭취비는 24 시간 회상법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국영양학회에서 제공하는 음식군 분류체계에 따라 총 24개의 음식군으로 분류하였다. 통계분석은 Na/K 섭취비와 비만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Na/K 섭취비는 3 분위하였으며, Generalized Linear Model(GLM) 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Na/K 섭취비와 비만과의 관련성 분석 결과, BMI 기준에서 T1 보다 T3 가 1.273배(CI: 1.125-1.440, P<0.001), 허리둘레 기준에서 T3가 1.244배 (CI: 1.089-1.422, P=0.005) 로 나타났다. 또한 Na/K 섭취비가 1 이상인 자 중 비만여부에 따라 총 에너지섭취 대비 음식군 섭취비율을 분석한 결과 비만군에서 섭취비율이 높은 음식군은 음료·주류·차류, 면·만두류, 국·탕류, 튀김류 및 김치류로 나타났다 (P<0.005).
본 연구결과 Na/K 섭취비가 높을수록 비만의 위험도가 높고, 특히 Na/K 섭취비가 높은 비만인의 경우 음료·주류·차류, 면·만두류, 국·탕류, 튀김류 및 김치류로 섭취하는 에너지섭취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5). 이를 통해 단순히 적절한 에너지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외에도 적절한 Na/K 섭취비를 위한 식생활 실천 지침 등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utrient imbalance, exceptionally high sodium, and low potassium intake have been reported to cause obesit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K intake ratio and obe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23 persons aged 30-49...
Nutrient imbalance, exceptionally high sodium, and low potassium intake have been reported to cause obesit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K intake ratio and obe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23 persons aged 30-49 from the 6th~7th period (2013-2018)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2 and waist circumference ≥ 90cm for men and ≥85cm for women. The Na/K intake ratio was based on 24-hour recall data. A total of 24 food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system provided by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K intake ratio and obesity,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K intake ratio and obesity, T3 was 1.273 times (CI: 1.125-1.440, P<0.001) T1 in BMI criteria, and T3 was 1.244 times in waist circumference (CI: 1.089-1.422, P=0.005). Also, among those with a Na/K intake ratio of 1 or higher, food intake to total energy intake was analyzed according to obesity. The food group with the highest intake ratio in the obese group wa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tea, noodles, dumplings, soups, fried foods, and kimchi (P<0.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ontents of an appropriate Na/K intake ratio and energy intake control during weight control education for obese people.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미정 ; 김영미, "한국인의 성별에 따른 나트륨 섭취태도 및 식행동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6 : 183-197, 2018
2 이유신 ; 이심열, "한국 성인의 식이 나트륨칼륨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16-124, 2020
3 박은옥, "한국 성인의 비만과 대사증후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44-150, 2020
4 장미라 ; 홍미선 ; 최부철 ; 한성희 ; 이경아 ; 김리라 ; 이집호 ; 김정헌 ; 정권, "서울지역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0 (30): 189-195, 2015
5 김상만, "비만의 현황과 원인, 평가" 3-15, 1999
6 유현정 ; 김양하,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1 (41): 510-517, 2008
7 김현정,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관련 위험지표의 유병률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2015
8 조미진 ; 허영란, "광주지역 성인의 나트륨 배설량과 비만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3 (23): 38-47, 2018
9 Queiroz, A,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and dietary sources of sodium in Maputo, Mozambique" 9 (9): 830-, 2017
10 Mendonça, R.,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 the University of Navarra Follow-Up(SUN)cohort study" 104 (104): 1433-1440, 2016
1 윤미정 ; 김영미, "한국인의 성별에 따른 나트륨 섭취태도 및 식행동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6 : 183-197, 2018
2 이유신 ; 이심열, "한국 성인의 식이 나트륨칼륨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16-124, 2020
3 박은옥, "한국 성인의 비만과 대사증후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44-150, 2020
4 장미라 ; 홍미선 ; 최부철 ; 한성희 ; 이경아 ; 김리라 ; 이집호 ; 김정헌 ; 정권, "서울지역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0 (30): 189-195, 2015
5 김상만, "비만의 현황과 원인, 평가" 3-15, 1999
6 유현정 ; 김양하,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1 (41): 510-517, 2008
7 김현정,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관련 위험지표의 유병률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2015
8 조미진 ; 허영란, "광주지역 성인의 나트륨 배설량과 비만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3 (23): 38-47, 2018
9 Queiroz, A,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and dietary sources of sodium in Maputo, Mozambique" 9 (9): 830-, 2017
10 Mendonça, R.,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 the University of Navarra Follow-Up(SUN)cohort study" 104 (104): 1433-1440, 2016
11 Yeseung Jeong ; Eui Su Kim ; Lee Jounghee ; Kim Yuri, "Trends in sodium intake and major contributing food groups and dishe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7" 한국영양학회 15 (15): 382-395, 2021
12 Oliveira, L., "Sodium/potassium urinary ratio and consumption of processed condiments and ultraprocessed foods" 36 (36): 125-132, 2019
13 Yoon, Y., "Sodium density and obesit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67 (67): 141-146, 2013
14 Morrissey, 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ratio in adults(18-90 y) : findings from the irish national adult nutrition survey" 12 (12): 938-, 2020
15 Yang, Q.,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mortality among US adults : prospective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71 (171): 1183-1191, 2011
16 Moosavian, S., "Salt and obesi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68 (68): 265-277, 2017
17 Mohammadbeigi, A., "Fast food consumption and overweight/obesity prevalence in students and its association with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59 (59): 236-240, 2018
18 Climent, B., "Effects of obesity on vascular potassium channels" 12 (12): 438-452, 2014
19 Rowe, J., "Effect of experimental potassium deficiency on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29 (29): 498-502, 1980
20 Okayama, A., "Dietary sodium-to-potassium ratio as a risk factor for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and all-cause mortality in Japan : the NIPPON DATA80 cohort study" 6 (6): 11632-, 2016
21 Zhu, H., "Dietary sodium, adiposity, and inflammation in healthy adolescents" 133 (133): 635-642, 2014
22 부소영 ; Myung-Hwa Kang ; Eun-Jin Kim ; 최미경, "Dietary Intake Ratios of Calcium-to-Phosphorus and Sodium-to-Potassium Are Associated with Serum Lipid Levels in Healthy Korean Adul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7 (17): 93-100, 2012
23 Binia, A., "Daily potassium intake and sodiumto-potassium ratio in the reduction of blood pressure :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33 (33): 1509-1520, 2015
24 Choi, M., "Contribution of food groups to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by their ratio in Korean adults" 21 (21): 285-293, 2019
25 Libuda, L., "Consumption of dietary salt measured by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status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15 (15): 433-441, 2012
26 Peniamina, R., "Comparison of 24-h Diet Records, 24-h urine, and duplicate diets for estimating dietary intakes of potassium, sodium, and iodine in children" 11 (11): 2927-, 2019
27 He, F., "Beneficial effects of potassium on human health" 133 (133): 725-735, 2008
28 Elfassy, T., "Associations of sodium and potassium with obesity measures among diverse US Hispanic/ Latino adults : results from the Hispanic Community Health Study/Study of Latinos" 26 (26): 442-450, 2018
29 Murakami, K., "Ability of self-reported estimates of dietary sodium, potassium and protein to detect an association with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 comparison with the estimates derived from 24 h urinary excretion" 113 (113): 1308-1318, 2015
30 대한비만학회, "2021 비만 팩트 시트" 대한비만학회 2021
31 질병관리청, "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청 2022
복합소비공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를 중심으로
SNS 루머에 대한 패션 기업의 대응전략은 효과적인가? : 루머 대응전략, 소비자 감동, 신뢰 및 기업 명성에 관한 연구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과 개인적 성장의 매개효과
모두에게 필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connects us all)
K-MOOC 호남대학교 장윤경, 이문영, 이성아모두에게 필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connects us all)
K-MOOC 호남대학교 장윤경, 이문영, 이성아모두에게 필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connects us all)
K-MOOC 호남대학교 장윤경, 이문영, 이성아모두에게 필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connects us all)
K-MOOC 호남대학교 장윤경, 이문영, 이성아비만의 사회학
K-MOOC 경희대학교 박승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