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의 재현기간 추정 = Estimating the Return Period for Statistical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5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simple alternative to statistically estimate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The PMP is the upper limit of physical rainfall depth and is contradictory to the concept of probability. However, since the upper limit of ph...

      This study proposes a simple alternative to statistically estimate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The PMP is the upper limit of physical rainfall depth and is contradictory to the concept of probability. However, since the upper limit of physical rainfall depth cannot be identified clearly from observed data, it was judged that making a probabilistic estimation of PMP might be reasonable.
      Hershfield's km, calculated from the daily rainfall depth recorded at 80 stations of the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with more than 10 years of observations, was fitted to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with a shape parameter given as a linear function of the average of the annual maximum of the time series at each observation site. Data from the oldest 15 sites in Korea (1961-2017, 57 years) were used to verify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Hershfield's statistical PMPs and the hydro-meteorological PMPs were somewhat different; however, the return period for the PMPs in terms of daily rainfall depth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0,000,000 years at all sites stud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을 통계학적으로 추정하는 간단한 대안이 제시된다. PMP는 물리적인 강우량 상한계로, 확률론적 개념과는 모순적이지만, 관측자료...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을 통계학적으로 추정하는 간단한 대안이 제시된다.
      PMP는 물리적인 강우량 상한계로, 확률론적 개념과는 모순적이지만, 관측자료로부터는 물리적인 강우량의 상한계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기 때문에, PMP를 확률론적으로 구하는 방법이 합리적일 수도 있다고 판단하였다. 10년 이상의 관측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ASOS 80개 지점의 일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Hershfield의 km은 각 관측 지점의 연 최대 시계열의 평균의 선형함수로 주어지는 형상 매개변수를 가지는 GEV 분포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15개 지점 자료(1961-2017, 57년)가 이용되었다. Hershfield의 통계학적 PMP와 수문기상학적인 PMP는 지점별로 다소 상이하였으나, 적용된 지점들 모두에서 일 강우량 PMP의 재현기간은 대략 20,000,000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규범,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가능최대강수량 산정을 위한 최소관측기간의 결정" 한국방재학회 17 (17): 369-375, 2017

      2 김영규, "시 ·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유역규모의 PMP 산정방법 개발" 한국방재학회 16 (16): 51-61, 2016

      3 이옥정, "기후변화를 고려한 핵발전소 지역의 PMP 추정" 한국방재학회 17 (17): 549-557, 2017

      4 이옥정,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충주댐 유역 미래 PMP 산정" 한국방재학회 17 (17): 365-373, 2017

      5 Austin, B. N., "Radar-based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flood" Salford University 153-, 1995

      6 이옥정,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이슬점온도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한국방재학회 16 (16): 505-514, 2016

      7 이옥정,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량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9 (49): 107-119, 2016

      8 Lee, O., "Projection of Korea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2016 : 2016

      9 Hershfield, D. M., "Method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rainfall" 57 (57): 965-972, 1965

      10 World Meterological Organization (WMO), "Manual 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2009

      1 심규범,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가능최대강수량 산정을 위한 최소관측기간의 결정" 한국방재학회 17 (17): 369-375, 2017

      2 김영규, "시 ·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유역규모의 PMP 산정방법 개발" 한국방재학회 16 (16): 51-61, 2016

      3 이옥정, "기후변화를 고려한 핵발전소 지역의 PMP 추정" 한국방재학회 17 (17): 549-557, 2017

      4 이옥정,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충주댐 유역 미래 PMP 산정" 한국방재학회 17 (17): 365-373, 2017

      5 Austin, B. N., "Radar-based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flood" Salford University 153-, 1995

      6 이옥정,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이슬점온도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한국방재학회 16 (16): 505-514, 2016

      7 이옥정,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량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9 (49): 107-119, 2016

      8 Lee, O., "Projection of Korea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2016 : 2016

      9 Hershfield, D. M., "Method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rainfall" 57 (57): 965-972, 1965

      10 World Meterological Organization (WMO), "Manual 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2009

      11 Lee, J. S., "Hydrology" Goomibook 2006

      12 Lee, O., "Estimation of futur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multiple regional climate models" 10 (10): 2018

      13 Hershfield, D. M., "Estimating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87 : 99-106, 1961

      14 Fontaine, T. A., "Estimating probabilities of extreme rainfalls" 115 (115): 1562-1575, 1989

      15 Koutsoyiannis, D., "Analysis of a long record of annual maximum rainfall in Athens, Greece, and design rainfall inferences" 22 (22): 29-48, 2000

      16 심규범, "AR5 RCPs에 따른 우리나라 1일 가능최대강우량 산정" 한국방재학회 15 (15): 273-280, 2015

      17 Koutsoyiannis, D., "A probabilistic view of Hershfield’s method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35 (35): 1313-1322, 1999

      18 Foufoula‐Georgiou, E., "A probabilistic storm transposition approach for estimating exceedance probabilities of extreme precipitation depths" 25 (25): 799-815, 1989

      19 Papalexiou, S. M., "A probabilistic approach to the concept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7 : 51-54, 2006

      20 최유진, "1일 가능최대강수량 추세분석" 한국방재학회 15 (15): 369-37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