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베트남전쟁'의 정치와 영화적 재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90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 경험과 이후 이어진 기억의 정치를 재현한 영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가 참전을 계기로 구성해 온 자의식의 정체와 그 궤적을 탐색하였...

      본 논문은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 경험과 이후 이어진 기억의 정치를 재현한 영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가 참전을 계기로 구성해 온 자의식의 정체와 그 궤적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전쟁을 다룬 한국영화의 범주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넘어서서 공식적 담론과 대항 담론이라는 이데올로기적 틀로는 포착되지 않는 다양한 영화적 양식과 제작 주체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작품의 유형을 새로운 기준에 따라 배치하고 분류하였으며, 연구의 대상 시기 또한 참전 시기부터 종전 이후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시적으로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에서의 재현을 통해 수행되어 온 한국 ‘베트남전쟁’ 정치의 양상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베트남전쟁 참전의 역사와 관련하여 현재에도 전개되고 있는 논쟁과 실천의 장에서 문화 연구가 담당할 자리를 모색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은 반공주의와 개발독재를 이념적 바탕으로 하고 ‘월남 특수’에의 욕망이라는 사회적 공감대를 동력으로 삼아 이루어진 최초의 해외 파병이었다. 한국 ‘베트남전쟁’이 지닌 이와 같은 특성들은 박정희 정부의 참전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영화에서부터 파월 군인‧노동자 가족을 재현한 대중적인 멜로드라마에 이르기까지, 베트남 난민이나 라이따이한 문제를 다룬 영화에서부터 참전 군인의 트라우마를 재현하거나 민주화운동 세대의 비판적 담론을 담아낸 영화에 이르기까지 널리 공유된 전쟁 인식을 구성하는 조건이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러한 경향은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가 공론화된 이후 제작된 일련의 영화들에서 비로소 새로운 국면을 형성한다. 이는 한국 ‘베트남전쟁’의 정치와 영화적 재현의 사례들에 통시적으로 접근하는 동시에, ‘베트남전쟁 영화’의 범주를 전쟁의 현장이나 남성 참전 군인 인물을 뚜렷하게 드러낸 영화에 한정하지 않고 젠더와 세대, 계층, 국적 등의 차원에서 다각화하여 확장할 때 포착할 수 있는 바다.
      2장에서는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 시기에 제작된 영화들을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우선 박정희 군사정부가 베트남전쟁 참전의 의의를 남한의 발전 및 국제적 위상과 결부함으로써 파병에 대한 국민 대중의 긍정적인 심상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한 공보 전략을 당대에 유행한 유람형 문화영화의 양식적 특성과 관련하여 논한다. 이어 파병을 준비하는 군사 훈련 과정을 다룬 극영화들이 파월 군인을 가부장적 남성 국민 주체로서 구성하는 한편으로, 베트남전쟁을 계기로 한 국민 총화를 위해 요구되는 성역할 분배를 재현하는 극적 양상을 살펴본다. 한편 파월 복무를 끝내고 제대한 군인들을 다룬 파병 시기의 영화들은 이들을 ‘조국 근대화’를 지도할 남성 청년 주체로 내세우며 전쟁 경험의 의의를 확장하려 시도하는데, 이 영화들은 앞서 다룬 영화들에서 선전된 참전의 정당성을 발전된 조국의 청사진과 결부하여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일정 정도 실패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실패는 우리도 잘살 수 있게 되리라는 희망을 품고 월남 특수를 기대하며 떠났던 개인들을 재현한 대중적인 멜로드라마 영화에서 한층 문제적으로 드러난다. 이 영화들은 주변화된 남성 주체들의 좌절과 남겨진 여성들의 눈물을 통해, 베트남전쟁을 둘러싸고 구성되었던 지배적인 허구의 성립 불가능성을 에둘러 폭로하고 있다.
      3장에서는 해외에서 벌어진 전쟁으로서의 한국 ‘베트남전쟁’을 재현한 영화들을 참전 시기와 종전 시기, 한-베 재수교 시기의 영화들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영화들은 전쟁의 현장인 베트남으로 카메라를 돌려 베트남(인)과 한국(인) 간의 관계에 대한 젠더화된 상상력을 보여준다. 파병 시기에 제작된 베트남 현지 로케이션 극영화들은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를 가부장적인 위계에 따라 재현하면서 베트남을 여성적으로 대상화하고 파월 한국군의 남성성을 과시한다. 그러나 이 영화들은 가족 멜로드라마와 이성애 로맨스를 서사화하는 과정에서 남성성 구성의 균열점들을 노출함으로써, 베트남전쟁을 중심으로 한 당대의 군사주의가 성별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적 상상력의 공모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불안정한 것이었음을 드러낸다. 한편 종전 후 한국에 유입된 베트남 난민들은 ‘월남 패망’의 프레임 속에서 ‘나라 잃은 사람들’로 표상되면서 여성과 어린이의 모습으로 젠더화‧연령화된다. 종전 후 한국 ‘베트남전쟁’을 재현한 영화들은 이들의 처지를 반면교사로 내세우며 반공주의를 강화하거나, 불쌍한 난민을 구해주는 온정적이고 시혜적인 자아상을 부풀리는 동시에 ‘패전’이라는 기억을 지우고 참전국으로서의 책임 문제를 은폐하고 있었다. 한편 탈냉전과 재수교의 시기에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른 라이따이한을 다룬 영화들은 이들의 존재를 파월 한국군이 저지른 과오의 결과로 재현하는데, 그와 같은 인도적 양심의 발현은 베트남에 대한 경제적 (재)진출에의 욕망 및 부계 혈통에 대한 집착과 접합하면서 참전 시기에 구성되었던 한-베 관계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반복하거나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4장에서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이후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영화들이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이라는 과거를 비판적으로 재현하는 양상을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과거사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해진 민주화 직후에는 ‘월남 패망’ 이후 군사독재 시기 내내 적극적으로 망각되어 왔던 베트남전쟁의 기억에 대한 영화적 재현이 줄을 이었다. 이 영화들은 우선 오랫동안 비가시화되어 있었던 참전 군인들의 트라우마를 본격적으로 재현하면서 기존의 공식적 기억에 도전하였다. 그러나 해당 영화들은 전쟁 트라우마의 문제를 남성성의 훼손과 그에 대한 보상의 문제로 축소하는 한편, 베트남(인)을 여성적으로 성애화하고 한국인 남성 군인 개인의 고통에 주목함으로써 피해자의 자리를 전유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베트남전쟁 참전의 경험을 역사적 트라우마로서 다룬 일군의 영화들은 1980년대를 거치며 형성된 반독재‧반미 의식 및 탈식민주의를 바탕으로 베트남전쟁의 구조적 문제를 조망하였는데, 이러한 통찰은 당대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자국중심적이고 젠더 무감각한 세계 인식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참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결정적인 사각지대를 내보였다. 이와 같은 한계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가 대두되고 파월 한국군의 피해자성과 가해자성이 복합적으로 성찰되는 2000년대에 들어 극복되기 시작한다. 이와 관련한 영화적 도약은 이전까지의 한국 ‘베트남전쟁’ 영화들에서 얼굴과 목소리를 지닌 주체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베트남인의 모습을 전경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 전쟁 피해생존자의 증언, 사후세대의 시선, 페미니스트의 관점, 비장애중심적 전쟁 인식의 돌파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천은 베트남전쟁에 대한 한국 측의 자기중심적인 기억 재현을 넘어서서 상호 소통의 태도를 지향하고, 과거사로서의 참전을 현재의 쟁점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을 가능하게 했던 이념적 바탕과 욕망의 정체를 현재적 시점에서 다시금 돌아보는 한편, 한국 ‘베트남전쟁’에 대한 기억의 정치가 나아갈 바를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한국 ‘베트남전쟁’ 영화들은 각각의 전쟁 인식과 구체적인 재현 양상에 있어 때로는 대동소이한, 때로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면서도 참전 당시의 가부장적 발전주의와 남성중심적 군사주의의 근본적인 자장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다. 2018년이 되어서야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법정’이 열리고, 1990년생 페미니스트 감독의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어 베트남전쟁을 전혀 경험하지 못한 사후세대 관객들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그러한 세계관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세대가 출현하기까지 그만큼의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이 이를 전쟁 경험 세대와 사후세대 간의 본질적인 윤리적 격차에서 비롯한다고 보는 것은 아니다. 공식적 담론과 대항 담론의 대결이라는 기존의 암묵적인 이해를 넘어서서 포괄적이고 통시적인 분석을 시도하였을 때 알 수 있는 것은, 한국 ‘베트남전쟁’의 정치와 영화적 재현이 일방적인 공보나 선전으로 수행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합과 협상의 장에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우리가 한국 ‘베트남전쟁’ 영화를 통해 새로운 정치적‧윤리적 실천을 모색할 수 있는 여지는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생겨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nature and trajectory of the sense of identity that Korean society constructed on the occasion of it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through an analysis of cinematic texts that represent Korean troops’ experience of...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nature and trajectory of the sense of identity that Korean society constructed on the occasion of it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through an analysis of cinematic texts that represent Korean troop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and the politics of memory in its aftermath. Stepping beyond received ideas of what qualifies as a treatment of the Vietnam War in Korean film, my analysis deals comprehensively with a variety of cinematic modes and agents of production that do not fit within the purview of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official narratives and counternarratives, employs new criteria to arrange and classify the types of film at hand, and broadens the temporal range of research objects to span the wartime period,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and the present. This analysis builds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Korean ‘Vietnam War’ politics as performed throughrepresentation in media, especially film, and creates a place for cultural studies amid the continuing discursive controversies and forms of action surrounding Korea’s history of Vietnam War participation.
      The participation of Korean troops in the Vietnam War was Korea’s first case of overseas deployment, undergirded by the ideologies of anticommunism and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powered by a social consensus in the form of a desire for ‘special procurements’ from the Vietnam War.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Vietnam War’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have strongly conditioned a widely shared conceptualization of the war, one that cuts across films as varied as the war ideology propaganda films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popular melodramas featuring the families of soldiers or laborers dispatched to Vietnam, films, dealing with Vietnamese refugees or Lai Daihans, films representing war veterans’ trauma, and films that incorporate critiques from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generation. This shared tendency takes a new turn only through a number of films produced after the publicization of the civilian massacres perpetrated by Korean troops during the Vietnam War. Such a development becomes visible not only by approaching Korean ‘Vietnam War’ politics and cases of cinematic representa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but also by moving beyond a narrow view of the ‘Vietnam War film,’ previously defined by direct presentations of scenes of war or male troops participating therein, toward a diversified expansion of the category itself in terms of gender,generation, class, nationality, and more.
      Chapter 2 examines films produced contemporaneously with the Korean troop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from four vantage points. First, it discusses the press strategies employed by the Park administration to construct a favorable image of the overseas dispatch in the national imagination,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was associated with South Korea’s national progress and international prestige, in relation 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tic cultural films popular in the era. Second, it examines how dramatic films dealing with troop training and preparation constructed the dispatch troops as patriarchal male citizen subjects, and how they simultaneously represented the distribution of gender roles required for the agenda of total national unity that the Vietnam War heralded. The chapter goes on to discuss films of this era that dealt with discharged troops returning from Vietnam, and how they sought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war experience, promoting the returnees as youthful male subjects at the forefront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These films are notable in that, to a certain extent, they failed to concretely figure the legitimacy of war participation, so strongly advertised in the aforementioned films, in relation to a solid blueprint for national progress. This failure surfaces even more acutely in the popular melodrama films that represented individuals who head to Vietnam with an eye to the ‘special procurements’that Vietnam was supposed to offer, in hopes that they could manage to put together a better living. Albeit in a roundabout manner, these films unmasked the spuriousness of the dominant fiction constructed around the Vietnam War, through the despair of marginalized male subjects and the tears of the women left behind.
      In Chapter 3, films representing the Korean ‘Vietnam War’ as a war taking place oversea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in turn: films of the wartime period, films of the posttermination period, and films made in the period after the recommencement of Korea-Vietnam diplomatic relations. These films focused the camera on Vietnam as the actual locale of war, and exhibited a gendered imagination in conceiving of relations between Vietnam and Korea, or between its people. Dramatic works filmed on site in Vietnam during the dispatch period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according to a patriarchal hierarchy, feminizing and objectifying Vietnam while emphasizing the masculinity of dispatched Korean troops. However, in the process of narrativizing family melodrama and heterosexual romance, these films exposed fissures in the construction of this masculinity, and thus reveal the instability of the contemporary militarism centered on the Vietnam War, which is found to be sustainable only through the collusion of gender binarism and heteronormative imagination. In another vein, Vietnamese refugees entering Korea after the end of the war were pinned down in terms of gender and age as women and children, cast as ‘people who have lost their country’ within the frame of the ‘fall of Vietnam.’ Films representing the Korean ‘Vietnam War’ produced in the aftermath of the war often presented the plight of these people as negative exempla to push an anticommunist agenda, or glorified the patronizing self-image of the generous Korean helping poor refugees while erasing the memory of ‘defeat’ and obscuring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as a nation that has participated in the war. Later films featuring Lai Daihans, a new topic of interest in the post-Cold War period after the recommence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Vietnam, treated their existence as the result of Vietnam dispatch troops’ misdeeds. This manifestation of humanitarian conscience coalesced with patrilineal obsession and the desire for economic (re)entry into Vietnam, and in the end merely repeated or reinforced attitudes toward Korean-Vietnamese relations developed during the wartime period.
      Chapter 4 tracks the threefold ways in which films produced since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up to the present sought to represent critically the nation’s past of having sent Korean troops to the Vietnam War. Immediately after democratization, a time when reflections on past history flourished, Korea saw a rush of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memories that had been actively dismissed during the entir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following the ‘fall of Vietnam.’ These films challenged the existing official memory of the war by representing in earnest the trauma of the dispatch veterans, which had long been rendered invisible. However, these films flattened the issue of war trauma into issues of injury to masculinity and its reparation, and also tended to feminize and sexualize Vietnam and its people, and to appropriate the status of victim by focusing on the suffering of the individual Korean male soldier. In addition, a set of films that dealt wit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as a historical trauma sought to survey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Vietnam War in terms of a postcolonialist and anti-dictatorship, anti-U.S. outlook developed during the 1980s. This approach was based on the worldview of contemporary progressive male national subjects, a view that was highly nationalist and uninformed by gender sensitivity, and resulted in crucial blind spots in the critique and self-examination of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ar. Films began to move beyond these limitations in the 2000s, when the issue of civilian massacres carried out by Korean troops during the Vietnam War was brought into the spotlight alongside more nuanced contemplations of the victimhood and perpetratorhood of Korean troops dispatched to Vietnam. The cinematic leap with regard to this change involves foregrounding the figures of Vietnamese people who had not been treated as subjects with faces and voices of their own in the Korean ‘Vietnam War’ films of the past. Especially in documentary films, the difference manifests itself in the testimony of surviving victims of the war, the viewpoints of later generations, feminist perspectives, and efforts to overcome ableist understandings of war. Such practices move beyond Korea-centric representations of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to call for an attitude of mutual communication, and lead to attempts to transform the issue of war participation from a thing of the past to a controversy of the current moment.
      Through these analyses, this dissertation reflects upon the nature of the ideological backdrops and desires that powered the participation of Korean troops in the Vietnam War from the viewpoint of the present, and also carves out a new path for approaching the politics of memory surrounding the Korean ‘Vietnam Wa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Films on the Korean ‘Vietnam War’ exhibited differences great and small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s of war and their concrete modes of representation, but generally failed to escape the fundamental magnetic field of the patriarchal developmentalism and male-centered militarism that was in force during the wartime period. Much time needed to pass before a new generation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is kind of worldview could arise, and thus it was not until 2018 that the ‘People’s Tribunal on War Crimes by South Korean Troops during the Vietnam War’ could take place, and a documentary on the Vietnam War created by a feminist director born in 1990 could meet a new generation of viewers on the screen. Nonetheless, this dissertation does not argue that such differences spring from some essential ethical disparity between the wartime generation and the later one. When one looks beyond the received understanding of conflict between official narratives and counternarratives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and diachronic analysis, what one finds is that Korean ‘Vietnam War’ politics and cinematic representation do not only involve one-sided propaganda, but instead take place in a diversified field of competition and negotiation. It is this enhanced understanding that compels us to seek new political and ethical practices through these Korean ‘Vietnam War’ fil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 1.2. 연구의 시각 및 대상 21
      • 2. 참전과 '조국 근대화'를 향한 기대와 좌절 32
      • 2.1. 유람형 영화의 심상지리 구성과 감성의 동원 32
      • 1. 서론 1
      •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 1.2. 연구의 시각 및 대상 21
      • 2. 참전과 '조국 근대화'를 향한 기대와 좌절 32
      • 2.1. 유람형 영화의 심상지리 구성과 감성의 동원 32
      • 2.2. 영웅적 군인의 훈련 공간과 국민 총화의 성역할 48
      • 2.3. 파월 제대 군인이 이끄는 근대화와 그 실패 65
      • 2.4. 멜로드라마의 '월남 특수'와 젠더화된 눈물 77
      • 3. 타자화된 베트남 표상의 구성과 반복 95
      • 3.1. 베트남 로케이션 영화와 파월 한국군의 남성성 95
      • 3.2. 전쟁 난민과 '나라 잃은 사람들'에의 투사 122
      • 3.3. 라이따이한 영화의 풍광화된 베트남 146
      • 4. 과거화된 전쟁의 영화화와 기억의 정치 164
      • 4.1. 개인적 트라우마의 가시화와 피해자성의 전유 164
      • 4.2.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전쟁 기억 만들기 192
      • 4.3. 베트남인의 얼굴과 '기억의 정치'의 도약 216
      • 5. 결론 226
      • 참고문헌 230
      • Abstract 24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석영, "?탑?, ??", 조선일보??, 1970

      2 임지현, "??기억 전쟁??", 휴머니스트, 2019

      3 안정효, "??하얀 전쟁??", 고려원, 1989

      4 박태균, "??베트남전쟁??", 한겨레출판, 2015

      5 이호걸, "??눈물과 정치??", 따비, 2018

      6 전혜은, "??섹스화된 몸??", 새물결, 2010

      7 장세진, "??슬픈 아시아??", 푸른역사, 2012

      8 김소연, "??실재의 죽음??", 도서출판b, 2008

      9 최현숙, "??할배의 탄생??", 이매진, 2016

      10 권명아, "??역사적 파시즘??", 책세상, 2005

      1 황석영, "?탑?, ??", 조선일보??, 1970

      2 임지현, "??기억 전쟁??", 휴머니스트, 2019

      3 안정효, "??하얀 전쟁??", 고려원, 1989

      4 박태균, "??베트남전쟁??", 한겨레출판, 2015

      5 이호걸, "??눈물과 정치??", 따비, 2018

      6 전혜은, "??섹스화된 몸??", 새물결, 2010

      7 장세진, "??슬픈 아시아??", 푸른역사, 2012

      8 김소연, "??실재의 죽음??", 도서출판b, 2008

      9 최현숙, "??할배의 탄생??", 이매진, 2016

      10 권명아, "??역사적 파시즘??", 책세상, 2005

      11 백문임, "??월하의 여곡성??", 책세상, 2008

      12 채명신, "??베트남전쟁과 나??", 팔복원, 2006

      13 오혜진, "??원본 없는 판타지??", 후마니타스, 2020

      14 황석영, "??무기의 그늘?? 上?下", 형성사, 1985

      15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16 이순진, "??지워진 한국영화사??", 한국영상자료원, 2014

      17 전진성, "??빈딘성으로 가는 길??", 책세상, 2018

      18 박노자, "??씩씩한 남자 만들기??", 푸른역사, 2009

      19 나병철, 이진경, "역, ??서비스 이코노미??", 소명출판, 2015

      20 권보드래,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21 권김현영,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22 김한상, "??조국근대화를 유람하기??", 한국영상자료원, 2007

      23 정영권, "??적대와 동원의 문화정치??", 소명출판, 2015

      24 전진성, "?이재원 편, ??기억과 전쟁??", 휴머니스트, 2009

      25 손희정, "?21세기 한국 영화와 네이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26 문승숙, 이현정, "역,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또하나의문화, 2007

      27 윤충로,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 푸른역사, 2015

      28 Connell, R.W., "안상욱?현민 역, ??남성성/들??", 이매진, 2010

      29 허은, "편, ??영상, 역사를 비추다?? Ⅶ", 도서출판 선인, 2017

      30 홍혜정, "?년대 청년영화의 감각성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1970

      31 이영미, "『동백아가씨는 어디로 갔을까』", 인물과사상사, 2017

      32 권용숙, "구술채록, 강범구 구술, ??강범구??", 한국영상자료원, 2011

      33 심주형,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기억의 정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 사학위논문, 2003

      34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푸른역사, 2016

      35 오카, "마리(岡 ?理), 김병구 역, ??기억?서사??", 소명출판, 2004

      36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편, ??쌈마이 블루스??", 아가서, 2004

      37 이한빛, "?가해자 됨을 묻기 위하여?, 사이間SAI?? 26", 국제한국문학문화 학회, 2019

      38 김우성, "?베트남 참전시기 한국의 전쟁 선전과 보도?", 서울대학교 언론 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39 신형기, "?베트남 파병과 월남 이야기?, ??동방학지?? 157", 연세대학교 국 학연구원, 2012

      40 김지미, "?~70년대 한국 영화의 여성 주체 재현 양상 연구?", 서울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1960

      41 박혜리, "?~80년대 소년소녀가장 담론과 ‘정상가족’ 기획?", 이화 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1970

      42 노영순, "?부산입항 년 베트남난민과 한국사회?, ??史叢?? 81호", 고려 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1975

      43 정종현, "?투쟁하는 청춘, 번역된 저항?, ??한국학연구?? 제36집", 인하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2015

      44 이승호, "?우리 나라 보안처분의 역사적 전개?, ??형사정책?? 7권", 한국형사 정책학회, 1995

      45 오영숙, "?년대 첩보액션영화와 반공주의?, ??대중서사연구?? 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1960

      46 주유신, "?민족 영화 담론, 그 의미와 이슈들?, ??현대영화연구?? 18", 한양 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47 권명아, "?여성?수난사 이야기의 역사적 층위?, ??상허학보?? 제10집", 상허 학회, 2003

      48 안지혜, "?시민사회의 성장과 한국 영화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연구?",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9 김엘리, "?초남성 공간에서 여성의 군인되기 경험?, ??한국여성학?? 28", 한 국여성학회, 2012

      50 정인섭, "?한국에서의 난민 수용 실행?, ??서울국제법연구?? 제16권 제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9

      51 김은하, "?남성성 획득의 로망스와 용병의 멜랑콜리아?, ??기억과 전망?? 3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4

      52 이화진, "?가난은 어떻게 견딜 만한 것이 되는가?, ??한국극예술연구?? 60 집", 한국극예술학회, 2018

      53 김주현, "?월남전 휴(종)전기의 정치경제적 심상?, ??한국문학논총?? 제72 집", 한국문학회, 2016

      54 윤충로,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의 전쟁 동원과 일상?, ??사회와 역사?? 95 호", 한국사회사학회, 2012

      55 오영숙, "?탈/냉전기 미국주의의 굴절과 영화표상?, ??한국문학연구?? 제46 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56 김예림, "?냉전기 아시아 상상과 반공 정체성의 위상학?, ??상허학보?? 제 20집", 상허학회, 2007

      57 이신재, "?남베트남 패망 시기 한국군의 인도주의적 구호활동?, ??군사?? 제99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58 권은선, "?년대 국책영화와 대중영화의 상관성 연구?, ??현대영화연 구?? 제15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1970

      59 이선화, "?미국과 한국의 베트남전쟁영화 비교연구 ? 인물과 서사를 중심 으로?",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60 이영재, "?유신과 깡패, 년대 액션영화와 범법의 서사?, ??한국극예술 연구?? 51집", 한국극예술학회, 2016, 1970

      61 박유희,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역사비평?? 통 권 99호", 역사비평사, 2012

      62 김청송, "?DSM의 변천사와 시대적 의미의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 제21권 3호", 한국심리학회, 2016

      63 강진석, "?박정희 정권기 지방흥행과 시리즈물 연구 : “팔도”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예술전문사 학위 논문, 2013

      64 김주현, "?파월 특파원 수기를 통해 본 한국의 베트남전쟁?, ??현대문학의 연구?? 54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65 조서연, "?년대 베트남전쟁 영화와 파월 한국군의 남성성?, ??민족문 학사연구?? 제68호", 민족문학사학회, 2018, 1960

      66 박원곤, "?미국의 대한정책 ~1975년: 포드 행정부의 동맹정책 전환 ?, ??세계정치?? 제14호",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0, 1974

      67 백승욱, "?‘해석의 싸움’의 공간으로서 리영희의 베트남전쟁?, ??역사문 제연구?? 32호", 역사문제연구소, 2014

      68 송아름, "?년대의 ‘청년’이 재구성한 ‘호스티스’의 의미?, ??개 신어문연구?? 제43집", 개신어문학회, 2018, 1970

      69 백태현, "?베트남전쟁의 재현 양식 연구 : 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1980

      70 백영주, "?이배용?김혜경?이소연, ??한국 여성정책 관련 사료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3

      71 조서연, "?‘월남 패망’의 한국적 전유와 타자화된 난민의 재현?, ??우리 문학연구?? 67집", 우리문학회, 2020

      72 권혁희, "?일제시대 사진엽서에 나타난 “재현의 정치학”?, ??한국문화인 류학?? 36권 1호", 한국문화인류학회, 2003

      73 백태현, "?베트남 참전시기~1973) 한국영화의 이데올로기 연구 : 베트남전 재현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박사학위논 문, 2019, 1964

      74 김미란, "?베트남전 재현 양상을 통해 본 한국 남성성의 (재)구성?, ??역 사문화연구?? 제36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75 김우영, "?베트남 전쟁을 기억하기, ‘추모’와 ‘망각’을 넘어서?, ??현 대문학의 연구?? 54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76 한영현, "?냉전과 근대화의 스펙터클한 유람 그리고 지워진 폭력의 민낯 ?, ??현대영화연구?? 제3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77 김소연, "?년대 영화운동 담론에 나타난 세계영화사와의 전이적 관 계 연구?, ??현대영화연구?? 15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1980

      78 서승희, "?전후(戰後) 한국의 부랑아 구호 담론과 문화적 표상의 변전?,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0호", 한국근대문학회, 2019

      79 김주현, "?월남전 후반기-1975) 귀환 서사에 담긴 ‘한국민 되 기’의 (불)가능성?, ??어문론집?? 제70집", 중앙어문학회, 2017, 1970

      80 문재철,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 년대 후반 에서 70년대까지?, ??영화연구?? 37", 한국영화학회, 2008, 1950

      81 김창남, "?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비극적 감정 구조 : 영화 주제곡들 을 중심으로?, ??대중음악?? 제17호", 한국대중음악회, 2016, 1960

      82 이승희, "?여성수난 서사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 년대 멜로드라마 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제10집", 상허학회, 2003, 1910

      83 박진임, "?님은 먼 곳에 베트남전도 먼 곳에 - 〈님은 먼 곳에〉의 베트 남전 재현 연구?, ??문학과영상?? 9(3)", 문학과영상학회, 2008

      84 윤충로, "?베트남전쟁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지배 이데올로기 의 재생산?, ??경제와사회?? 제76호", 비판사회학회, 2007

      85 김권호, "?한국 전쟁영화의 발전과 특징 : 한국전쟁에서 베트남전쟁까지?,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9권 제2호", 역사문화학회, 2006

      86 조서연, "?영화 〈하얀 전쟁〉과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베트남전쟁 기 억 만들기?, ??한국극예술연구?? 64집", 한국극예술학회, 2019

      87 노영순, "?바다의 디아스포라, 보트피플: 한국에 들어온 2차 베트남난민 ~1993)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제14집", 전남대학교 세계 한상문화연구단, 2013, 1977

      88 김청강, "?‘위안부’는 어떻게 잊혀졌나? 년대 이전 대중영화 속 ‘위안부’ 재현?, ??동아시아문화연구?? 71집", 한양대학교 동아시 아문화연구소, 2017, 1990

      89 박진임, "?베트남전의 억압된 기억과 타자, 그리고 공포 영화 ? 공수창의 〈알 포인트〉 연구?, ??비교한국학?? 21",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90 윤충로, "?냉전기 한국의 베트남전쟁 ‘읽기’와 ‘상상지리’ : 년 대~1980년대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123권", 한국사회사학회, 2019, 1970

      91 박선영, "?두 개의 전쟁과 집합적 기억의 형성 : 베트남전쟁 시기 군영화 산업의 전개와 활용?, ??현대문학의 연구?? 71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92 이승환,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한국사회의 호명 - 〈하얀 전 쟁〉, 〈알 포인트〉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7", 한국영화학회, 2005

      93 윤충로, "?파월 기술자들의 베트남전쟁 경험과 생활세계의 변화 ? 빈넬 (Vinnell)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71호", 한국사회사 학회, 2006

      94 서연주, "?여성 소외계층에 대한 담론 형성 양상 연구: ??여원??에 나타난 사회현실 인식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8권", 한국여성문학 학회, 2007

      95 조서연, "?피해자의 자리를 전유하기 : 베트남전쟁 참전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재현의 국적과 젠더?, ??현대문학의 연구?? 71호", 한국문학 연구학회, 2020

      96 이승환, "?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 베트남전 소재의 영화들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44", 한국영화 학회, 2010

      97 조관연, "?‘조국 근대화’ 담론과 타문화 인식 : 국책영화 〈속 팔도강 산 - 세계를 간다〉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제39집", 한국외 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98 이길성, "?홍콩무협영화 수용을 통해 본 년대 하위문화 연구 : 하번 관 관람객의 감성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3권 제3호", 대 중서사학회, 2017, 1970

      99 조혜랑, "?'베트남전쟁 문화영화'의 역사적 배경 연구 - ~7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의 영상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27", 영상예술학회, 2015, 1960

      100 박선영, "?국가의 프레임으로 구획된 베트남전쟁 : 국립영화제작소와 국 군영화제작소의 베트남전쟁 영화를 중심으로?, ??사림??53", 수선사 학회, 2015

      101 심혜경, "?국가가 쓰는 영화 역사 : 년대 영화진흥공사 기관지 ??영 화??의 한국영화사 기술에 대한 소고?, ??한국극예술연구?? 제63집", 한국극예술학회, 2019, 1970

      102 신지영, "?‘피해자성을 내포한 가해자성’과 아시아 인민연대 : 오키나 와의 한국전쟁, 한국의 베트남 전쟁, 그리고 전시성폭력?, ??상허학 보?? 제58집", 상허학회, 2020

      103 오일환, "?윤병국?이준태, ?베트남 다크투어리즘 유산의 현황과 활용에 대한 연구 : 호치민 권역의 전쟁유산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진 지리학회지?? 제27권 제2호",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