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과학3 물질의 구성 관련 학생들의 개념 분석 = An Analysis of Students' Conceptions on the Chapter “Construction of Matter”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1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pupils' conceptions a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chapter “Construction of Matter” in the 3rd-grade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Pupils have developed a misconception of a scientific thesis from the chapter, which is further embodied in their daily lives. Only a few pupils can distinguish the material from immateriality. Mostly, they define the word “matter” with the five senses. They sketch the arrangement of particles in matter as they see it in the textbook without understanding how it works. Some of them apply macroscopic properties to microscopic objects such as an atom.
      They have the misconception that atoms in a reagent or reactant have come out or have been changed into other forms by heat when they are burned. The pupils even explain molecules with “Dolton's atomic theory,” without understanding what a molecular model is.
      In conclusion, many middle school pupils have misconceptions of material, atoms, chemical changes, and molecules, which are fundamental conceptions in studying “Construction of Matter.” That is why teachers have to consider the pupils' conceptions from this study before setting up teaching strategies. Teachers should develop appropriate instruction based on this result, and study it more to prove its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y should analyz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their pupils' conceptions in various grades and chapters when they plan and design a less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pupils' conceptions a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chapter “Construction of Matter” in the 3rd-grade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Pupils have developed a misconception of a scientific thesis from...

      In this study,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pupils' conceptions a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chapter “Construction of Matter” in the 3rd-grade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Pupils have developed a misconception of a scientific thesis from the chapter, which is further embodied in their daily lives. Only a few pupils can distinguish the material from immateriality. Mostly, they define the word “matter” with the five senses. They sketch the arrangement of particles in matter as they see it in the textbook without understanding how it works. Some of them apply macroscopic properties to microscopic objects such as an atom.
      They have the misconception that atoms in a reagent or reactant have come out or have been changed into other forms by heat when they are burned. The pupils even explain molecules with “Dolton's atomic theory,” without understanding what a molecular model is.
      In conclusion, many middle school pupils have misconceptions of material, atoms, chemical changes, and molecules, which are fundamental conceptions in studying “Construction of Matter.” That is why teachers have to consider the pupils' conceptions from this study before setting up teaching strategies. Teachers should develop appropriate instruction based on this result, and study it more to prove its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y should analyz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their pupils' conceptions in various grades and chapters when they plan and design a les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구성주의 심리학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자가 선행 경험에 바탕을 두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선행 지식은 수업의 진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수업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사전 개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3 물질의 구성 단원에 초점을 맞추어 단원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개념 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 교사들이 편리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단원의 필수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수업 전과 수업 후에 투입해 보았다.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구체적인 경험과 직관적인 사고로 인하여 물질의 구성 단원과 관련된 물질, 입자, 입자 모형에 대해 비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다. 물질과 비물질을 바르게 분류하는 학생은 많지 않았으며 물질을 정의할 때 감각적 지각에 의존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학생들에게는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배치를 표현할 때 물질의 거시적 성질을 원자라는 미시적 세계에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소와 같은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 반응물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이 열로 변하거나 없어지거나, 다른 원자로 변한다는 오개념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연구 대상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또한 분자 모형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분자를 설명할 때 돌턴의 원자설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질량 보존의 법칙과 원자론을 혼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개념유형을 수업 전과 후의 빈도수로 비교해 본 결과, 학생들의 오개념은 쉽게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할 때는 반드시 학생들의 개념유형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의미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구성주의 심리학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자가 선행 경험에 바탕을 두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선행 지식은 수업의 진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

      구성주의 심리학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자가 선행 경험에 바탕을 두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선행 지식은 수업의 진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수업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사전 개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3 물질의 구성 단원에 초점을 맞추어 단원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개념 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 교사들이 편리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단원의 필수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수업 전과 수업 후에 투입해 보았다.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구체적인 경험과 직관적인 사고로 인하여 물질의 구성 단원과 관련된 물질, 입자, 입자 모형에 대해 비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다. 물질과 비물질을 바르게 분류하는 학생은 많지 않았으며 물질을 정의할 때 감각적 지각에 의존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학생들에게는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배치를 표현할 때 물질의 거시적 성질을 원자라는 미시적 세계에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소와 같은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 반응물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이 열로 변하거나 없어지거나, 다른 원자로 변한다는 오개념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연구 대상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또한 분자 모형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분자를 설명할 때 돌턴의 원자설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질량 보존의 법칙과 원자론을 혼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개념유형을 수업 전과 후의 빈도수로 비교해 본 결과, 학생들의 오개념은 쉽게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할 때는 반드시 학생들의 개념유형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의미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대상
      • 2. 검사 도구의 개발
      • 3. 연구 절차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대상
      • 2. 검사 도구의 개발
      • 3. 연구 절차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1. 연구 대상의 인지 수준
      • 2. 물질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 3. 입자들의 배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 4. 연소 시 입자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 5. 수소와 산소의 입자 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교재연구실, "화학관련 오개념 모음집" 이화여자대학교 2009

      2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연구실, "화학 오인 모음집" 한국교원대학교 1998

      3 송진웅,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주) 북스힐 2007

      4 서울대학교 물리학습연구실, "학생의 물리 개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91

      5 고숙영, "학생들의 학습 접근방식과 개념의 이해도와의 관계성 연구" 서울대학교 1994

      6 교육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III) -수학,과학,기술․가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9

      7 소현수, "중학교 과학 3" (주)두산 2004

      8 박봉상, "중학교 과학 3" (주)동화사 2004

      9 김정률, "중학교 과학 3" (주)블랙박스 2003

      10 정완호, "중학교 과학 3" (주)교학사 2004

      1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교재연구실, "화학관련 오개념 모음집" 이화여자대학교 2009

      2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연구실, "화학 오인 모음집" 한국교원대학교 1998

      3 송진웅,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주) 북스힐 2007

      4 서울대학교 물리학습연구실, "학생의 물리 개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91

      5 고숙영, "학생들의 학습 접근방식과 개념의 이해도와의 관계성 연구" 서울대학교 1994

      6 교육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III) -수학,과학,기술․가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9

      7 소현수, "중학교 과학 3" (주)두산 2004

      8 박봉상, "중학교 과학 3" (주)동화사 2004

      9 김정률, "중학교 과학 3" (주)블랙박스 2003

      10 정완호, "중학교 과학 3" (주)교학사 2004

      11 최돈형, "중학교 과학 3" 도서출판 대일도서 2003

      12 강만식, "중학교 과학 3" (주) 교학사 2003

      13 김찬종, "중학교 과학 3" (주)도서출판 디딤돌 2003

      14 이성묵, "중학교 과학 3" (주)금성출판사 2003

      15 이광만, "중학교 과학 3" (주)지학사 2003

      16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1학년 과학 ‘물질의 세 가지 상태’ 탐구수업 지도 자료" (주)서울 멀티넷 2003

      17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교재연구실, "중등학교 학생들의 화학 관련 오개념 모음집" 이화여자대학교 2001

      18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전기에 관한 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1998

      19 조희형,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전파과학사 1994

      20 Oxtoby, "일반화학" 청문각 1997

      21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역학편-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1993

      22 고재걸, "논리적 사고 수준에 따른 전류 개념에 대한 직관적 관념 분석" 10 (10): 106-113, 1996

      23 조희형,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20-836, 2002

      24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체" 교육과학사 2009

      25 교육부, "과학과 교육 과정 [별책 9]"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8

      26 최병순, "과학 오개념의 한․영(韓 ․英) 비교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보고서" 한국교원대학교. 1993

      27 강순희, "과학 교수 전략에서 학생의 인지 수준과 교과 내용의 인지 요구 수준" 이화교육총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002

      28 Shayer, M, "Towards a science of science teach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mand" Heinemann Educational Book 1981

      29 Chiappetta, E. 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developing fundamental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ing, 6th ed"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06

      30 Andersson, B., "Pupil’s conceptions of matter and its transformations" 18 : 53-85, 1990

      31 Nakhleh, M. B., "Middle School Students’ Beliefs About Matter" 42 (42): 581-612, 2005

      32 von Glasersfeld, E., "Introduction: Aspects of constructivism. In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6

      33 Gabel, D. L., "Handbook of research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77-210, 1993

      34 Fosnot, C. T.,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6

      35 Bodner, G. M., "Constructivism: A theory of knowledge" 63 (63): 873-878, 1986

      36 Lorsbach, A. & Tobin, K., "Constructivism as referent for science teaching"

      37 Lee, O., "Chang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Matter and Molecules" 30 (30): 249-270, 1993

      38 Osborne, J. F., "Beyond constructivism" 80 (80): 53-82, 1996

      39 Appleton, K., "Analysis and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a constructivist-based model" 34 (34): 303-318,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