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尤庵 宋時烈의 碑誌文 硏究 = Study on the Woo-am Song Si-yeol's In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51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studying inscription of Si-Yeol, Song with the pen name of Woo Am(1607 - 1689), a scholar of metaphysics and writer in 17th century. So far, Si-Yeol, Song has been regarded as the scholar studying the ethics. Furthermore, he vigorou...

      This paper aims at studying inscription of Si-Yeol, Song with the pen name of Woo Am(1607 - 1689), a scholar of metaphysics and writer in 17th century. So far, Si-Yeol, Song has been regarded as the scholar studying the ethics. Furthermore, he vigorously wrote many books as seeing SongJaDaeJeon. He produced 500 inscriptions, which are the largest volume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 of works. However, his literary ability has not been recognized rightly until now. Thus, as a reaction to this tendency mentioned above, his inscriptions were fully discussed. Numerous inscriptions will be a steppingstone to judge the level of artistic achievement. He wrote about the matters of common people, women, servants as well as the royal family and high-class group. He not only describe the things as they are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inscription, but also pursued to write in literary style. His writing style was influenced by Han Yoo, one of eight writers in the Dang dynasty and writer of GuyanhsangesaㆍLeewonbeanyuepye and Yang-Soo, Goo, a writer of Sangangteaenpye. He even received the style of Joo Ja's inscription called the ideological root of his writing. However, his imitative style goes beyond the style of the original works and transformed them into his own style. So he constantly created and achieved the artistic technique. He also changed the inscription regarded as a practical writing into an artistic form of writing. Therefore, he is believed to be a scholar studying the ethics. Evermore, he must be in a permanent position in the prose in 17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비지문의 적극적 창작활동
      • 3. 비지문의 특징
      • 4. 결 론
      • 참고문헌
      • 1. 서 론
      • 2. 비지문의 적극적 창작활동
      • 3. 비지문의 특징
      • 4.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成龍, "송시열 산문의 권위적 성격에 대한 연구" 21 : 243-272, 1998

      2 "退溪의 碑誌文字論硏究序說」 안동대 퇴계학연구소" 2 : 1990127137-, 1990

      3 제5호, "退溪의 碑誌不作論」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연구회" 1991199213-, 1991

      4 "退溪의 碑文修辭에 대하여」 안동대 퇴계학연구소" 3 : 1991.pp29~60.

      5 "朝鮮後期文學思想의 展開와 天氣論」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2.

      6 鄭敬薰, "尤庵碑誌文에 나타난 韓愈文수용양상" 6집 : 85-115, 2002

      7 "尤庵碑誌文美學的檢討" 9집 : 113-155, 2003

      8 "尤庵宋時烈의 碑誌文硏究195"

      9 李香培, "尤庵宋時烈의 文學論硏究" 1996

      10 金龍泰, "尤庵宋時烈의 文學思想硏究」" 1995.

      1 金成龍, "송시열 산문의 권위적 성격에 대한 연구" 21 : 243-272, 1998

      2 "退溪의 碑誌文字論硏究序說」 안동대 퇴계학연구소" 2 : 1990127137-, 1990

      3 제5호, "退溪의 碑誌不作論」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연구회" 1991199213-, 1991

      4 "退溪의 碑文修辭에 대하여」 안동대 퇴계학연구소" 3 : 1991.pp29~60.

      5 "朝鮮後期文學思想의 展開와 天氣論」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2.

      6 鄭敬薰, "尤庵碑誌文에 나타난 韓愈文수용양상" 6집 : 85-115, 2002

      7 "尤庵碑誌文美學的檢討" 9집 : 113-155, 2003

      8 "尤庵宋時烈의 碑誌文硏究195"

      9 李香培, "尤庵宋時烈의 文學論硏究" 1996

      10 金龍泰, "尤庵宋時烈의 文學思想硏究」" 1995.

      11 "尤庵宋時烈의 ‘傳’ 文學硏究」" 1993-539569,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