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World Religion’ in Daesoon Jinriho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선민사상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인류와 세계를 구제하겠다는 세계종교의 보편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세계종교의 보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수성과 보편성의 논리는 단지 대순진리회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들이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고 하는 이중성을 보여 왔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근대 일본에서 형성된 교파신도다. 근대 일본 정부가 국가신도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교파신도는 총 13개 종파가 형성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민족적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종교라고 하면서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세계종교를 표방하면서 해외포교에 나선다. 그렇다면 이처럼 민족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했던 교파신도의 해외포교는 어떻게 귀착되었고, 이들의 세계종교화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처럼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이중성을 보여 왔던 교파신도의 사례를 통해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지향해야 하는 길에 대해 약간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민족종교’론 또는 ‘민중종교’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한국에서 민족종교이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례도 점검하는 것으로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경계에 서 있는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지향점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esoon Jinrihoe tends to be perceived as a ‘nationalistic religion’ by both internal members of the religious body and outside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e character of this particular nationalistic religion is rather complex. On t...

      Daesoon Jinrihoe tends to be perceived as a ‘nationalistic religion’ by both internal members of the religious body and outside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e character of this particular nationalistic religion is rather complex. On top of emphasizing the special status of the Korean ethnic group while focusing on nationalism as a nationalistic religion, Daesoon Jinrihoe futrther asserts an implication of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aiming to bring relief to humankind and the world. This dynamic is one of the specificity of nationalistic religion and also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However, this dual logic of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is not characteristic of only Daesoon Jinrihoe. Many religions in the world have also exhibited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nd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Sectarian Shinto as it formed in modern Japan. Kyoha Shinto formed when the modern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Shinto system which had a total of 13 sects. Most of them do not only call themselves a nationalistic religion, inheriting the ethnic tradition of Japanese people, but also jump into overseas missionary work. This started during the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With that in mind, how did the overseas missionary work of Sectarian Shinto aspire for status as a world religion while maintaining their identities as nationalistic religions? Furthermore, how did their movements fare in their efforts to become world religions? Thu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Daesoon Jinrihoe becoming a world religion through some cases of Sectarian Shinto that showed the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lso, this thesis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such,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new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it stands on the borderline between being a nationalistic religion and a world religion. This is don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ory regarding ‘nationalistic religion’ or ‘minjung religion’ which have long been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lso examined is the case of Won Buddhism which likewise aims to simultaneosuly be both a nationalistic religion in Korea and a world religion abroa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민족종교’의 범주와 대순진리회의 정체성
      • Ⅲ. 근대 ‘교파신도’의 탄생과 세계종교의 지향
      • Ⅳ. 세계종교로서 대순진리회의 가능성
      • Ⅴ. 나가는 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민족종교’의 범주와 대순진리회의 정체성
      • Ⅲ. 근대 ‘교파신도’의 탄생과 세계종교의 지향
      • Ⅳ. 세계종교로서 대순진리회의 가능성
      • Ⅴ. 나가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서, "현대 신종교의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2 류병덕, "한국종교연구의 현황과 과제-종교학 방법의 성찰과 개발" 3 : 1973

      3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2" 집문당 1988

      4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3" 집문당 1991

      5 노길명, "한국의 종교운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6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도서출판 대흥기획 1992

      7 류병덕,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8 이경원, "한국민족종교의 특성과 대순사상" 한국신종교학회 18 (18): 209-249, 2008

      9 윤이흠, "한국민족종교의 역사적 실체" 23 : 1998

      10 윤이흠, "한국민족종교운동사"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

      1 김종서, "현대 신종교의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2 류병덕, "한국종교연구의 현황과 과제-종교학 방법의 성찰과 개발" 3 : 1973

      3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2" 집문당 1988

      4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3" 집문당 1991

      5 노길명, "한국의 종교운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6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도서출판 대흥기획 1992

      7 류병덕,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8 이경원, "한국민족종교의 특성과 대순사상" 한국신종교학회 18 (18): 209-249, 2008

      9 윤이흠, "한국민족종교의 역사적 실체" 23 : 1998

      10 윤이흠, "한국민족종교운동사"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

      11 김홍철, "한국문화와 민족종교" 3 : 1987

      12 류병덕, "한국근세종교의 민중사상연구" 14 : 1989

      13 류병덕, "한국 신흥종교의 유사종교 규정에 관한 연구" 4 : 1969

      14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집문당 1992

      15 노길명, "증산의 민족 주체사상" 6 : 1980

      16 이정립, "증산교요령" 1966

      17 장병길, "장병길교수논집 한국종교와 종교학" 도서출판 청년사 2003

      18 추헌수, "자료 한국독립운동 1" 연세대학교출판부 1971

      19 "일본 문화청 종교 통계자료"

      20 황선명, "민중운동과 종교-종교운동의 본질에 관한 고찰" 2 : 1979

      21 유흔우,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보편화 가능성" 2000

      22 강돈구, "민족종교와 민중종교" 1 (1): 1989

      23 김낙필, "민족종교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 9 : 2001

      24 "대순지침"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25 김석근,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원불교사상연구원 (74) : 149-191, 2017

      26 민동근, "계룡산 일대 종교의 실태조사" 8 : 1969

      27 류남상, "계룡산 신흥종교의 계보와 교리 연구" 8 : 1969

      28 권동우, "神道의 조선 유입에 관한 재검토 : 교파신도의 조선포교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76) : 415-451, 2018

      29 諸井慶五郞, "海外布敎論" 501 : 1927

      30 社說, "歲端の希望" 169 : 1906

      31 記者, "朝鮮布敎異聲問答" 713 : 1937

      32 牧野榮一, "朝鮮布敎の實際" 497 : 1927

      33 朝鮮總督府學務局宗敎課, "朝鮮ニ於ケル宗教及享祀一覧" 朝鮮總督府 1928

      34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教" 朝鮮総督府 1935

      35 朝鮮總督府警務局,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状況ー昭和八年ー" 巖南堂書店 1933

      36 井上順孝, "教派神道の形成" 弘文堂 1991

      37 新田邦光, "敎道大意 1권" 修成講社 1873

      38 宍野半, "扶桑教" 扶桑敎會講學堂 1882

      39 小熊英二, "単一民族神話の起源" 新曜社 1995

      40 不動, "全国教導職に告ぐ" 124 : 1906

      41 天理教校, "伝道地誌" 天理教道友社 1938

      42 안연희, "‘세계종교’와 종교 가르치기" 종교문화비평학회 29 (29): 47-78, 2016

      43 대순진리회 교무부, "Q&A 게시판 : 대순진리회는 왜 민족종교라고 하나요?" (177) : 2016

      44 이재헌, "1970년대 이후 한국 신종교연구의 현황과 전망" 3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진학술원 -> 대순사상학술원
      영문명 : Institute of Daesoonjinri of Daejin University ->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2009-06-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순사상학술원 -> 대진학술원
      영문명 : Daesoon Religious Academy -> Institute of Daesoonjinri of Daejin Universi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