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중세 漕運史 시기 구분 試論 = An Essay on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Marine Transportation History during the Middle Ag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3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a period classification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hich was the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age in Ko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rine transportati...

      This study attempted a period classification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hich was the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age in Ko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rine transportation history during the middle age in Korea can be classified as following. The 1st period is Jeonunsa (marine transportation officer, 轉運使) system, the 2nd period is Jochang (marine transportation warehouse, 漕倉) system, the 3rd period is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led by county/province, the 4th period is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supported by navy and the 5th period is marine transportation by renting private vessels. However, this classification has limitation in explaining the marine transportation policy direction of the royal government at the time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marine transportation systems.
      Accordingly, this study reestablished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marine transportation history based on the Jochang (marine transportation warehouse, 漕倉) system, which had absolute position in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e new classification is as following. The 1st period is Jochang system preparation period, the 2nd period is Jochang system establishmentㆍdevelopment period, the 3nd period is Jochang system decline period, the 4nd period is Jochang system recovery period, the 5nd period is Jochang system weakening period. The Jochang system changes period began form 14th century. Until the 13th century, the Jochang system was dominating marine transportation; however, during the Jochang system changes period from 14th century till 19th century, the Jochang system and other marine transportation systems were operated in parallel. For example, counties and provinces took the role of Jochang (warehouse) in the 3rd period. Likewise, navy took the role of Jochang (warehouse) in the 4th period and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ent on by renting private vessels during the 5th period.
      Meanwhile, the royal government during early Joseon period actively pushed marine transportation policy for the recovery of Jochang system; however, the Jochang system could not settle down as dominating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reason is believed that the Jochang system could not secure stable supply of labor required for marine transporation system.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Jochang-min people, who were on similar social status with the Bugok-in people, did the labor required for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However, the Bugok system was abolished in Joseon period and common people were mobilized for the labor required for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erefore, it became very difficult to get required labor. Accordingly, navy supported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during the 4th period. In the end of 16th century, government changed its marine transportation policy and rented private vessels for the operation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度支志"

      2 박종기, "한국해양사 Ⅲ(고려시대)" 한국해양재단 2013

      3 김점용, "조선시대 전라도 조창의 운영과 그 실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4 한정훈, "조선 전기 ‘官船漕運制’연구에 대한 재검토" 역사문화연구소 (51) : 3-34, 2014

      5 한정훈,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진단학회 (120) : 55-78, 2014

      6 문경호,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 역사문화학회 17 (17): 65-102, 2014

      7 정요근, "고려전기의 驛屬層과 지방 행정단위로서의 驛" 진단학회 (101) : 195-223, 2006

      8 윤용혁, "고려의 뱃길과 섬, 최근의 연구 동향" 도서문화연구원 (42) : 105-132, 2013

      9 채웅석,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本貫制’의 시행과 지방지배질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0 문경호, "고려시대 조운제도의 연구와 교재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 "度支志"

      2 박종기, "한국해양사 Ⅲ(고려시대)" 한국해양재단 2013

      3 김점용, "조선시대 전라도 조창의 운영과 그 실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4 한정훈, "조선 전기 ‘官船漕運制’연구에 대한 재검토" 역사문화연구소 (51) : 3-34, 2014

      5 한정훈,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진단학회 (120) : 55-78, 2014

      6 문경호,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 역사문화학회 17 (17): 65-102, 2014

      7 정요근, "고려전기의 驛屬層과 지방 행정단위로서의 驛" 진단학회 (101) : 195-223, 2006

      8 윤용혁, "고려의 뱃길과 섬, 최근의 연구 동향" 도서문화연구원 (42) : 105-132, 2013

      9 채웅석,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本貫制’의 시행과 지방지배질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0 문경호, "고려시대 조운제도의 연구와 교재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1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혜안 2013

      12 김동수, "고려 중ㆍ후기의 監務 파견" 3 : 1989

      13 최봉수, "고려 성종 10도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2) : 1-28, 2013

      14 六反田豊, "高麗末期の漕運運營" 2 : 1993

      15 "高麗史節要"

      16 "高麗史"

      17 "輿地圖書"

      18 "續大典"

      19 "經國大典"

      20 "磻溪隧錄"

      21 "潛谷遺稿"

      22 六反田豊, "海運判官小考-李朝初期におけるその職掌と創設背景-" (創刊) : 1990

      23 "東國輿地勝覽"

      24 北村秀人, "朝鮮歷史論集 上" 1979

      25 六反田豊, "朝鮮成宗代の漕運政策論議(上ㆍ下)" 136ㆍ137 : 1999

      26 崔完基, "朝鮮後期 船運業史硏究; 稅穀運送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9

      27 崔完基, "朝鮮前期의 穀物賃運考" 23 : 1979

      28 崔完基, "朝鮮前期 漕運試考" 20 : 1976

      29 金容坤, "朝鮮前期 漕軍 ; 漕運과 관련하여" (창간) : 1983

      30 六反田豊, "朝鮮初期漕運制における船卒ㆍ船舶の動員制" 4 : 1997

      31 方相鉉, "朝鮮初期 水軍制度" 民族文化社 1991

      32 "成宗實錄"

      33 "定宗實錄"

      34 崔完基, "官漕에서의 私船活動-특히 16世紀를 중심으로-" 28 : 1978

      35 "太祖實錄"

      36 "太宗實錄"

      37 "大典續錄"

      38 "大典後續錄"

      39 "增補文獻備考"

      40 김덕진, "全羅道 順天 海倉의 설치와 풍경" 호남사학회 (22) : 227-252, 2004

      41 "中宗實錄"

      42 "三國遺事"

      43 안길정, "『조행일록』으로 본 19세기 조운의 운영실태" 수선사학회 (29) : 127-154, 2008

      44 崔完基, "17世紀 稅穀賃運活動의 一面" (창간) : 1983

      45 문광균, "17~18세기 경상도 세곡운송체계의 변화와 三漕倉의 설치" 대동문화연구원 (86) : 261-29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4 1.55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