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동화가 특수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A Hermeneutic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Influences of the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Exceptiona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experience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b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I tried to find some momentu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underdeveloping level, to naturally accept right senses of value and various emotional transitions in the proces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by the systematic story-telling instruction. Story-telling-through-media, a genre of literature to be easily related with limited ordinary liv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fers them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and some appropriate chances to extend and fortify their morality, emotional stability, and sensibility.
      In the study, I used hermeneutic method in which I could inquire into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tory-telling-tjrough-media activities by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aking efforts to broaden and deepen new horizons through open and reflective thought and praxis. By hermeneutic method I understood and interpreted some text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as followed:
      First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uld acquire some clues to go beyond the limited ego-centric liv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story-telling-with-media activities.
      Second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uld, by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stabilize their basic life manners, experience fantastic worlds indirectly, and express their emotion positively.
      Third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ransformed their process to express their emotion from thinking in ego-centric way to appreciating dwelling with others as base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being happy.
      Lastly, by hermeneutic method, I could observe and interpret various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acknowledging emotional, cognitive, and bodil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ir life-world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experience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b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I tried to find some momentu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underdeveloping level, to...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experience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b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I tried to find some momentu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underdeveloping level, to naturally accept right senses of value and various emotional transitions in the proces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by the systematic story-telling instruction. Story-telling-through-media, a genre of literature to be easily related with limited ordinary liv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fers them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and some appropriate chances to extend and fortify their morality, emotional stability, and sensibility.
      In the study, I used hermeneutic method in which I could inquire into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tory-telling-tjrough-media activities by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aking efforts to broaden and deepen new horizons through open and reflective thought and praxis. By hermeneutic method I understood and interpreted some texts of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as followed:
      First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uld acquire some clues to go beyond the limited ego-centric liv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story-telling-with-media activities.
      Second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uld, by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stabilize their basic life manners, experience fantastic worlds indirectly, and express their emotion positively.
      Third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ransformed their process to express their emotion from thinking in ego-centric way to appreciating dwelling with others as base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being happy.
      Lastly, by hermeneutic method, I could observe and interpret various story-telling-through-media activities acknowledging emotional, cognitive, and bodil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ir life-worl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성숙 단계에 있는 장애 아동에게 체계적인 동화 교수․학습 활동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동화에 반영되어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다양한 정서변화 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매체를 활용한 동화는 특수 아동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문학의 한 장르로서 제한적인 삶을 살아가는 장애아동들에게 다양한 간접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화에 내재된 다양한 정서적인 경험을 통한 올바른 도덕성, 정서적인 안정감, 그리고 풍부한 감수성을 신장시킬 수 있게 해준다.
      연구자는 동화활동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열린 사고와 지평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비판을 통하여 새로운 지평을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아동과의 상호 주관적인 관계를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해석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가 해석학적인 방법으로 매체를 활용한 동화활동을 통해 얻은 텍스트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들은 매체 동화활동 경험을 통하여 제한적인 자기중심적 생활 속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특수아동들은 매체 동화활동을 통하여 생활습관을 익히고 미지의 환상적인 세계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다양한 감정표현을 통한 능동적인 의사표현을 할 수 있었다. 셋째, 매체 동화 활용에 따르는 정서 표현과정은 특수아동들이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과 함께 함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고 자아와 타아가 같이 행복해짐을 알게 되는 과정으로 발전하였다. 끝으로, 매체 동화활용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특수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아동의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하여 정서적 발달을 인정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성숙 단계에 있는 장애 아동에게 체계적인 동화 교수․학습 활동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동화에 반영되어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다양한 정서변화 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계...

      본 연구는 미성숙 단계에 있는 장애 아동에게 체계적인 동화 교수․학습 활동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동화에 반영되어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다양한 정서변화 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매체를 활용한 동화는 특수 아동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문학의 한 장르로서 제한적인 삶을 살아가는 장애아동들에게 다양한 간접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화에 내재된 다양한 정서적인 경험을 통한 올바른 도덕성, 정서적인 안정감, 그리고 풍부한 감수성을 신장시킬 수 있게 해준다.
      연구자는 동화활동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열린 사고와 지평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비판을 통하여 새로운 지평을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아동과의 상호 주관적인 관계를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해석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가 해석학적인 방법으로 매체를 활용한 동화활동을 통해 얻은 텍스트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들은 매체 동화활동 경험을 통하여 제한적인 자기중심적 생활 속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특수아동들은 매체 동화활동을 통하여 생활습관을 익히고 미지의 환상적인 세계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다양한 감정표현을 통한 능동적인 의사표현을 할 수 있었다. 셋째, 매체 동화 활용에 따르는 정서 표현과정은 특수아동들이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과 함께 함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고 자아와 타아가 같이 행복해짐을 알게 되는 과정으로 발전하였다. 끝으로, 매체 동화활용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특수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아동의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하여 정서적 발달을 인정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8

      2 진권장, "지방자치제 실시에 대비한 교육과정 정책연구" 국교육개발원 1989

      3 이상금, "이상금" 교문사 1986

      4 손영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생활세계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대구효성카돌릭대학교 대학원 2000

      5 손영수, "유아는 온몸으로 생활한다 질적연구방법 의한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 현장에서 아동세계이해하기" 공동체 2006

      6 유영미, "동화 들려주기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7 진권장, "교수․학습 과정의 재 개념화 해석학적 관점에서의 반성적 이해" 한국방송통신학교 출판부 2005

      8 Gadamer, H. G, "Truth and Method, translated by J. Weinsheimer & D. G. Marshall" Sheed &Ward 1993

      9 Langeveld,M.J, "Studien zur Anthropologie des kindes" Max Niemeyer Veralg 1956

      10 Merleau-Ponty,M,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2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8

      2 진권장, "지방자치제 실시에 대비한 교육과정 정책연구" 국교육개발원 1989

      3 이상금, "이상금" 교문사 1986

      4 손영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생활세계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대구효성카돌릭대학교 대학원 2000

      5 손영수, "유아는 온몸으로 생활한다 질적연구방법 의한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 현장에서 아동세계이해하기" 공동체 2006

      6 유영미, "동화 들려주기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7 진권장, "교수․학습 과정의 재 개념화 해석학적 관점에서의 반성적 이해" 한국방송통신학교 출판부 2005

      8 Gadamer, H. G, "Truth and Method, translated by J. Weinsheimer & D. G. Marshall" Sheed &Ward 1993

      9 Langeveld,M.J, "Studien zur Anthropologie des kindes" Max Niemeyer Veralg 1956

      10 Merleau-Ponty,M,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2

      11 Husserl, E, "Experience and judgement: Investigation in a genealogy of logic"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12 Heideggar, M, "Being and time" Harper & Row 1962

      13 Lukens.RJ, "A critical handbook of children's literature" Harper Collins College Pub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