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아동 방과후 경험을 통해 본 돌봄의 장기적 성과 -지난 10년간 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 Have Children’s After-school Experiences Been Changed by Ever-expanding Social Care Services in Past 10 Years? -Focused on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strata over the past dec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how the change in child welfare policy has affected children's lives since 2006 when the government declared the country as a social investment state, and whether the effects of the policy have been reflected in changes in children's lives in both child and adolescence age groups. To this end, we specifically looked at changes in the experience of children after school,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strata. Specifically, the change in after-school activities fo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as approved using the Chow-test using the first and 10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and after-schoo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fourth and 13th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sadvantage of taking 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 absence of adults to supervise such as a single parent family disappeared in the 10th year compared to the first year.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 level was reduced. It also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taking class in private institution among income strata disappeared after 10 yea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olic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disappeared and the gap according to income strata was widening. This can be seen as a part of positive results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the education gap accoring to income strata. In other words, while the government's efforts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results. Howeve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stata are widening when child become older because of lack of social service for adolescence.
      번역하기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how the change in child welfare policy has affected children's lives since 2006 when the government declared the country as a social investment state, and whether the effects of the policy have been reflected in changes in...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how the change in child welfare policy has affected children's lives since 2006 when the government declared the country as a social investment state, and whether the effects of the policy have been reflected in changes in children's lives in both child and adolescence age groups. To this end, we specifically looked at changes in the experience of children after school,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strata. Specifically, the change in after-school activities fo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as approved using the Chow-test using the first and 10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and after-schoo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fourth and 13th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sadvantage of taking 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 absence of adults to supervise such as a single parent family disappeared in the 10th year compared to the first year.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 level was reduced. It also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taking class in private institution among income strata disappeared after 10 yea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olic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disappeared and the gap according to income strata was widening. This can be seen as a part of positive results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the education gap accoring to income strata. In other words, while the government's efforts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results. Howeve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stata are widening when child become older because of lack of social service for adolesc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가 사회투자국가를 선언한 2006년 이후 아동복지정책의 변화가 아동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령기와 청소년기 연령대에 따라 또 소득계층에 따라 아동복지정책 변화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동 방과 후 경험의 변화를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복지패널 1차와 10차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4,5,6학년 방과후 활동 변화를 4차와 13차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 방과 후 활동 변화를 Chow-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1차년도(2005년)에 비해 모·부자 가족 혹은 조손가정의 지도 감독할 성인의 부재로 인한 돌봄상 불리함이 10차년도(2014년)에는 사라졌으며, 부모 교육수준의 영향력 크기도 감소하였다. 또한 계층간 학원수강여부의 유의도가 이 기간 동안에 사라진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중학생의 경우는 초등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정책의 긍정적인 효과가 모두 사라지고 오히려 계층간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것은 그동안의 아동돌봄과 계층간 교육격차 감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저소득층 초등학생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있다. 즉, 초등학생 중심의 정부 노력의 성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계층 간 격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더욱 크게 벌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투자 즉 인적자본투자전략으로서 아동복지정책의 변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부가 사회투자국가를 선언한 2006년 이후 아동복지정책의 변화가 아동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령기와 청소년기 연령대에 따라 또 소득계...

      본 연구는 정부가 사회투자국가를 선언한 2006년 이후 아동복지정책의 변화가 아동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령기와 청소년기 연령대에 따라 또 소득계층에 따라 아동복지정책 변화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동 방과 후 경험의 변화를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복지패널 1차와 10차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4,5,6학년 방과후 활동 변화를 4차와 13차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 방과 후 활동 변화를 Chow-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1차년도(2005년)에 비해 모·부자 가족 혹은 조손가정의 지도 감독할 성인의 부재로 인한 돌봄상 불리함이 10차년도(2014년)에는 사라졌으며, 부모 교육수준의 영향력 크기도 감소하였다. 또한 계층간 학원수강여부의 유의도가 이 기간 동안에 사라진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중학생의 경우는 초등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정책의 긍정적인 효과가 모두 사라지고 오히려 계층간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것은 그동안의 아동돌봄과 계층간 교육격차 감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저소득층 초등학생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있다. 즉, 초등학생 중심의 정부 노력의 성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계층 간 격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더욱 크게 벌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투자 즉 인적자본투자전략으로서 아동복지정책의 변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하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별과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4 (24): 741-753, 2015

      2 이재희, "초등자녀방과후 돌봄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8

      3 박현숙,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 영향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7 (37): 754-761, 2007

      4 좌현숙, "청소년 가출 예측요인 성별 차이 -차우 검정 및 유사 차우 검정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30, 2014

      5 김선숙, "지역사회 및 가구의 특성이 아동의 방과 후 시간사용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 185-199, 2018

      6 보건복지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2016년 12월 기준)" 2016

      7 백병부,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7-85, 2011

      8 김연명, "우리나라에서의 사회투자정책 적용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중앙대 사회복지학과 2007

      9 김진석, "온종일돌봄체계구축 운영" 2017

      10 정선영, "어머니의 취업이 청소년 자녀의 비만 및 과체중에 미치는 영향-TV시청과 인터넷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1) : 39-66, 2013

      1 정하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별과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4 (24): 741-753, 2015

      2 이재희, "초등자녀방과후 돌봄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8

      3 박현숙,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 영향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7 (37): 754-761, 2007

      4 좌현숙, "청소년 가출 예측요인 성별 차이 -차우 검정 및 유사 차우 검정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30, 2014

      5 김선숙, "지역사회 및 가구의 특성이 아동의 방과 후 시간사용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 185-199, 2018

      6 보건복지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2016년 12월 기준)" 2016

      7 백병부,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7-85, 2011

      8 김연명, "우리나라에서의 사회투자정책 적용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중앙대 사회복지학과 2007

      9 김진석, "온종일돌봄체계구축 운영" 2017

      10 정선영, "어머니의 취업이 청소년 자녀의 비만 및 과체중에 미치는 영향-TV시청과 인터넷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1) : 39-66, 2013

      11 정수정,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유형의 영향요인과 발달결과" 이화여자대학교 2017

      12 오정수, "아동복지론" 학지사 2017

      13 유봉애,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511-538, 2013

      14 조혜영, "사교육시간, 개인공부시간, 학교수업참여도의 실태 및 주관적 학업성적향상효과"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9-56, 2005

      15 정재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 : 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회 45 (45): 197-225, 2011

      16 정혜지, "가구소득이 아동의 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16

      17 정해련, "가구소득에 따른 자기보호 아동의 방과후 생활시간 사용 양태" 서울대학교 2016

      18 Esping-Andersen, G.,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University Press 2002

      19 Gujarati, D., "Use of Dummy Variables in Testing for Equality between Sets of Coefficients in Two Linear Regressions: A Note" 24 (24): 50-52, 1970

      20 Giddens, Anthony, "The Third Way: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Polity Press 1998

      21 Chow, G. C., "Tests of equality between sets of coefficients in two linear regression" 591-605, 1960

      22 Shirley L. Porterfield, "Teen time use and parental education: evidence from the CPS, MTF, and ATUS" 37-57, 2007

      23 OECD,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06

      24 Lister, R., "Investing in the citizen-workers of the future: Transformations in citizenship and the state under new labor" 37 (37): 427-443, 2003

      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스마트폰과의존실태조사"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