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이 셀프리더십 정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이 셀프리더십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중 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82807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이 셀프리더십 정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이 셀프리더십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중 본 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이 셀프리더십 정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이 셀프리더십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회복탄력성은 성별(t=2.65, p=.009), 학년(F=3.80, p=.011)이 차이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은 학년(F=6.71, p<.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비판적사고, 주관적 행복감, 셀프리더십은 서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p<.050). 셋째,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452, p<.001), 주관적 행복감(β=.271, p<.001) 비판적 사고 성향(β=.224, p<.001), 학년(β=-.193, p=.001)순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비판적 사고를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높이기 위해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비판적 사고 증진을 위한 교육과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leadership. This study was c...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leader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4 nursing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8.0 program,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ilience demonstrated the strongest relative influence on self-leadership among all variables (β=.452, p<.001), second-year stud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rst-year students (β=-.193, p=.001), and followed b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24, p<.001), subjective happiness (β=.271, p<.001).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e more self-leadership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manag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o increase the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 and system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공동 제작 파트너십이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제작 참여 국가 수와 국가 간 문화 차이를 중심으로
언캐니의 확장을 통한 포스트드라마의 현존성 연구 -뒤샹의 《주어진 것(Étant donnés)》을 중심으로-
구급대원의 기초의학교육 현황과 팀단위 교육만족도, 교육필요도, 임무수행자신감 분석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의 섭식 문제에 대한 응용행동분석 기반 중재의 체계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