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의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dministrative Outcomes Recogniz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dministrative outcomes recogniz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For this, all private and public members in 230 were surveyed by using an electronic internet survey tool and 362 samples were colle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controlling fo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dministrative outcomes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In other words, strong beliefs and confidences between members, well-organized network among organizations, and well-recognized norms and regulations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could increase the administrative outcomes in the committees. Based on that this study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in promoting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dministrative outcomes recogniz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For this, all private and public members in 230 were surveyed by using an electroni...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dministrative outcomes recogniz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For this, all private and public members in 230 were surveyed by using an electronic internet survey tool and 362 samples were colle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controlling fo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dministrative outcomes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In other words, strong beliefs and confidences between members, well-organized network among organizations, and well-recognized norms and regulations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could increase the administrative outcomes in the committees. Based on that this study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in promoting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치성, "한국의 행정학/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의 자리 찾기" 한국정책학회 19 (19): 115-154, 2010

      2 송경재, "한국의 지역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133-164, 2006

      3 전지현,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가족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4 황영호, "충청ㆍ호남지역의 사회자본의 실태와 형성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4 (14): 183-209, 2004

      5 이영글,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31-259, 2011

      6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19-144, 2004

      7 김용민,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249-284, 2007

      8 이현주, "지역사회복지협체의 의미와 적용방안 탐색: 참여의 기제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가능성" 67-103, 2003

      9 태동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연구 -상근간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237-255, 2010

      10 박주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과에 관한 연구 : 로컬거버넌스 개념 측정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1 박치성, "한국의 행정학/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의 자리 찾기" 한국정책학회 19 (19): 115-154, 2010

      2 송경재, "한국의 지역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133-164, 2006

      3 전지현,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가족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4 황영호, "충청ㆍ호남지역의 사회자본의 실태와 형성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4 (14): 183-209, 2004

      5 이영글,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31-259, 2011

      6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19-144, 2004

      7 김용민,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249-284, 2007

      8 이현주, "지역사회복지협체의 의미와 적용방안 탐색: 참여의 기제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가능성" 67-103, 2003

      9 태동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연구 -상근간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237-255, 2010

      10 박주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과에 관한 연구 : 로컬거버넌스 개념 측정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구축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62-269, 2009

      12 윤춘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거버넌스와 네트워크요인이 통합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13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거버넌스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40): 131-157, 2012

      14 이강,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생활 민관협의체의 통합방안 - 전라남도 목포시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31-53, 2009

      15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직, 인력, 사업, 재정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4 (34): 195-236, 2012

      16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19-346, 2010

      17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1

      18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조의 현황과 과제" 17-58, 2011

      19 초의수,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24): 1-26, 2008

      20 이용돈,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의 효과성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공공·민간부문종사자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1 지은구, "지역사회 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19 : 47-75, 2006

      22 박세경, "지역복지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형성의 실태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23 이재완, "지역복지협의체 신설 무엇이 문제인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2001

      24 김형모,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18 (18): 561-584, 2006

      25 최영광, "장애인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직업재활 조직의 특성, 네트워크, 성과의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26 송경재, "인터넷 사회자본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정보화진흥원 12 (12): 3-22, 2005

      27 박희봉, "우리나라지역사회의 사회자본증진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측정과 분석을 위한 시도" 34 (34): 219-237, 2000

      28 소진광, "성남지역사회의 사회적자본" 경원대학교성남발전연구소 2003

      29 진관훈, "사회적 자본이 복지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30 남상우,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사회 거버넌스 모형에 관한 연구 : 충북 청주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1 안태숙, "사회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경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32 박희봉, "사회자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시론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317-333, 2005

      33 성도경,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증진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대한정치학회 12 (12): 419-437, 2004

      34 강철희, "사회복지서비스 기기관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의 질 산출(qualrity output)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343-378, 2002

      35 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37 : 65-93, 1998

      36 이성로, "로컬거버넌스로서의 사회복지협의체 경북북부지역 사례"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281-307, 2009

      37 김창기, "로컬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지역복지협의체의 의미와 역할"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22): 175-192, 2007

      38 김종득, "기업전략, 인적자원관리, 역할행동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39 배병룡,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서울행정학회 15 (15): 2005

      40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1986

      41 Ports, A, "The Two Meanings of Social Capital" 15 (15): 1-12, 2000

      42 Adler, P. S., "Social capital: Prosepects for a new concept" 27 (27): 17-40, 2002

      43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44 Veenstra, G., "Home is where the governing is: social capital and regional health governance" 5 (5): 1-12, 1999

      45 Putnam, R. D, "Bowling Alone" 6 (6): 65-78, 1995

      46 Levi, Margaret, "A stateoftrust, In Trustand Governance" Russell Sage Foundation 77-101, 1998

      47 Basil S. Georgoulous, "A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2 (22): 534-536,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