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关于韩国的企业城市建设及利用中华资本方案的研究: 以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事例为中心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nterprise Cities in Korea and Utilization of Chinese Capital: Focused on the Case of the Muan Korea.China International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32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면서 외국자본을 대량으로 유치하여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대규모 무역흑자 및 외국자본유치 등에 따라 외환보유고가 급속히 증가하며 외환보유에 따른 경제적 비용문제가 대두되어 2000년대부터 기업의 해외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2003년 이후부터 중국기업의 해외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2009년 6월말 현재 2조 1300억불로 중국정부는 과도한 외환보유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국 기업들의 해외투자를 적극 독려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투자독려정책은 해외경제협력단지를 지정하는 것으로 2007년 말 현재 19개 단지가 허가되어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향후 50개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한국시장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전라남도 무안에 한중국제산업단지를 승인하여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정부가 지정한 해외경제협력단지의 대부분은 자원개발형 성격으로 후진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선진국에 대한 투자는 한중국제산업단지가 유일하므로 중국정부가 거는 기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국제산업단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화자본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해외투자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는 2005년 이후 감소세에 들어섰다. 2002년 및 2005년에 중국의 경동방그룹, 상하이 자동차 등이 한국의 하이디스, 쌍용자동차 등을 인수하였으나 동 M&A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2005년 이후 중국의 대한국 제조업 투자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대기업이 M&A를 통한 기술습득 및 한국시장 진출을 시도하려 했으나, 노사문제 및 문화차이 등으로 기대만큼 효과가 크지 않자 전반적인 중국의 대한국 투자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한국 제조업 투자가 기술습득을 목표로 한 기업간 M&A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점을 감안할 때, 한중국제산업단지는 대규모의 중국 기업들을 위한 산업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고 기술습득이외에 중국 기업이 무역장벽을 회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중국 기업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과거 중국의 한국기업 인수가 대부분 대기업인수였던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의 자금력 있는 대기업이 한국의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 인수방식으로 전환한다면 중국의 M&A를 통한 제조업 투자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중국제산업단지에 기업이 입주할 시점에는 중국 및 한국의 거시 경제적 환경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된 유치 업종인 조선.자동차부품, IT, 바이오 산업 등의 산업전망도 전반적으로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전세계 반덤핑 제소, 제재 건수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무역마찰이 많은 국가로, 무역 제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산업 중 하나가 IT산업으로 한미FTA 체결로 인한 기대효과로 관세철폐뿐만 아니라 비관세 장벽도 완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로 수입량 쿼터제한 등의 무역마찰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국내외 중장기 경기 및 유치업종의 산업전망, 최근 중국의 투자환경 및 정책 변화, 중국 인기지역인 동부해안 주요 도시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입지여건, 한국의 브랜드 가치, 기술 및 노하우 습득 수요 등의 면에서 중국 기업들의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아 향후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 된다 ...
      번역하기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면서 외국자본을 대량으로 유치하여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대규모 무역흑자 및 외국자본유치 등에 따라 외환보유고가 급속히 증가...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면서 외국자본을 대량으로 유치하여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대규모 무역흑자 및 외국자본유치 등에 따라 외환보유고가 급속히 증가하며 외환보유에 따른 경제적 비용문제가 대두되어 2000년대부터 기업의 해외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2003년 이후부터 중국기업의 해외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2009년 6월말 현재 2조 1300억불로 중국정부는 과도한 외환보유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국 기업들의 해외투자를 적극 독려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투자독려정책은 해외경제협력단지를 지정하는 것으로 2007년 말 현재 19개 단지가 허가되어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향후 50개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한국시장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전라남도 무안에 한중국제산업단지를 승인하여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정부가 지정한 해외경제협력단지의 대부분은 자원개발형 성격으로 후진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선진국에 대한 투자는 한중국제산업단지가 유일하므로 중국정부가 거는 기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국제산업단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화자본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해외투자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는 2005년 이후 감소세에 들어섰다. 2002년 및 2005년에 중국의 경동방그룹, 상하이 자동차 등이 한국의 하이디스, 쌍용자동차 등을 인수하였으나 동 M&A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2005년 이후 중국의 대한국 제조업 투자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대기업이 M&A를 통한 기술습득 및 한국시장 진출을 시도하려 했으나, 노사문제 및 문화차이 등으로 기대만큼 효과가 크지 않자 전반적인 중국의 대한국 투자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한국 제조업 투자가 기술습득을 목표로 한 기업간 M&A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점을 감안할 때, 한중국제산업단지는 대규모의 중국 기업들을 위한 산업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고 기술습득이외에 중국 기업이 무역장벽을 회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중국 기업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과거 중국의 한국기업 인수가 대부분 대기업인수였던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의 자금력 있는 대기업이 한국의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 인수방식으로 전환한다면 중국의 M&A를 통한 제조업 투자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중국제산업단지에 기업이 입주할 시점에는 중국 및 한국의 거시 경제적 환경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된 유치 업종인 조선.자동차부품, IT, 바이오 산업 등의 산업전망도 전반적으로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전세계 반덤핑 제소, 제재 건수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무역마찰이 많은 국가로, 무역 제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산업 중 하나가 IT산업으로 한미FTA 체결로 인한 기대효과로 관세철폐뿐만 아니라 비관세 장벽도 완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로 수입량 쿼터제한 등의 무역마찰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국내외 중장기 경기 및 유치업종의 산업전망, 최근 중국의 투자환경 및 정책 변화, 중국 인기지역인 동부해안 주요 도시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입지여건, 한국의 브랜드 가치, 기술 및 노하우 습득 수요 등의 면에서 중국 기업들의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아 향후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 된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

      2 知识经济部网站, "知识经济部网站"

      3 金泰植, "对中国的海外直接投资情况分析-以对韩国的投资为中心-" 韩中社会科学学会 11 : 49-57, 2008

      4 国土海洋部网站, "国土海洋部网站"

      5 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网站, "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网站"

      6 务安郡厅网站, "务安郡厅网站"

      7 务安企业都市网站, "务安企业都市网站"

      8 李應權, "关于对中国经济和政治的分析和新展望的研究" 韓國通商情報学会 9 (9): 1-23, 2007

      9 崔洪錫, "中国的引进海外直接投资及发展趋势" 韓國经济通商学会 8 (8): 307-333, 1999

      10 朴承錄, "中国的世界企业收购情况和启示" 韩国亚洲学会 11 (11): 129-156, 2008

      1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

      2 知识经济部网站, "知识经济部网站"

      3 金泰植, "对中国的海外直接投资情况分析-以对韩国的投资为中心-" 韩中社会科学学会 11 : 49-57, 2008

      4 国土海洋部网站, "国土海洋部网站"

      5 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网站, "务安韩中国际产业园区网站"

      6 务安郡厅网站, "务安郡厅网站"

      7 务安企业都市网站, "务安企业都市网站"

      8 李應權, "关于对中国经济和政治的分析和新展望的研究" 韓國通商情報学会 9 (9): 1-23, 2007

      9 崔洪錫, "中国的引进海外直接投资及发展趋势" 韓國经济通商学会 8 (8): 307-333, 1999

      10 朴承錄, "中国的世界企业收购情况和启示" 韩国亚洲学会 11 (11): 129-156, 2008

      11 劉虎林, "中国企业集团的到海外投资的战略及启示" 韩中社会科学学会 8 : 1-25, 2006

      12 白權鎬, "中国企业的海外M&A情况和评价:以韩国企业M&A事例为中心" 现代中国学会 10 (10): 291-335, 2009

      13 白權鎬, "中国企业海外直接投资(走出去)的现况及评价" 中国学研究会 35 : 283-307, 2006

      14 中商务部网站, "中商务部网站"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2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