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학년 변화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Teacher Attachm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Focused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2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에 대해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에 대해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 중1 패널의 중학교 1학년(1차년도, 2018), 2학년(2차년도, 2019) 종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생 2,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검정을 통해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열의는 1차년도와 2차년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 중 헌신과 효능감이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낮았고, 활기와 학업무기력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학업열의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반면, 여학생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학업열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업무기력은 남⋅여 학생 모두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1차년도에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업열의가 높았으며, 학업무기력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하여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애착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하여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학업무기력이 높아지는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학업열의를 높이고 학업무기력을 낮추기 위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애착, 건강한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teacher attachment, ac...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teacher attachm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1st year, 2018) and 2nd year(2nd year, 2019) of the 1s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s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2,438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1st and 2nd years. However, the academic helplessness increased in the second year. Second, male students had higher academic engagement than femal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ing attitude completely mediated self-esteem and influenced academic engagement, and it was found that it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by partially mediating self-esteem. Also, teacher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by partially mediating self-esteem.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자영,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김태명,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YCPS 2018)유저 가이드"

      4 박병기,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5 이자영,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1, 2013

      6 조주연,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477-497, 2013

      7 김영실, "초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김태은,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9 김도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43-451, 2021

      10 오수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자영,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김태명,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YCPS 2018)유저 가이드"

      4 박병기,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5 이자영,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1, 2013

      6 조주연,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477-497, 2013

      7 김영실, "초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김태은,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9 김도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43-451, 2021

      10 오수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지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인식이 성격형성에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이하리, "청소년의 교사 · 또래 애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467-486, 2015

      13 박지우,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에 대한 종단적 프로파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4 엄태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51-1176, 2020

      15 김선정,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양육태도와 교사애착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6 남지영,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79-1298, 2021

      17 서원석,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교육연구소 26 (26): 625-649, 2020

      18 정미경, "중학생의 성장과정 분석: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중심으로(Ⅳ)" 한국교육개발원 2019

      19 노규식, "중2병 완전정복 : 아이는 방황해도 성적은방황 말자" 골든타임 2015

      20 김성수, "자아존중감,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및 진로태도성숙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9-117, 2018

      21 노원경, "일반고 학습부진학생 교수학습 지원방안(Ⅰ): 수학,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2 전향신, "어머니그릿, 자녀그릿,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329-355, 2020

      23 윤남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기대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가 아동의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5 (35): 157-176, 2014

      24 통계청, "아동⋅청소년 삶의 질 지표 분석 결과"

      25 교육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19 결과 발표"

      26 상경아,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5 심층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7 김경수,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19 (19): 143-170, 2011

      28 이미라, "부모의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그릿,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와의 구조적 관계: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79-805, 2020

      29 오성심,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11 (11): 1-15, 1982

      30 김아란, "부모의 부정적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221-221, 2020

      31 김재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스마트폰 의존의 순차적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8 (58): 601-611, 2020

      32 이응택, "부모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자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모의 삶의 만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127-146, 2020

      33 임효진, "그릿과 학업열의의 유형 및 자존감의 예측력" 한국교육학회 59 (59): 79-104, 2021

      34 임효진,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초등교육연구원 31 (31): 109-127, 2020

      35 김종백,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STARS)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697-714, 2009

      36 김진성, "교사-아동 관계가 학업수행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을 매개변수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3 (33): 1-17, 2020

      37 장수연, "교사 및 친구 관계, 그릿, 학업 무기력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교육연구소 41 (41): 203-234, 2020

      38 임경희, "가정, 학교 및 개인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473-507, 2004

      39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dom 1967

      4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1 Kline, T.,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2005

      42 조성민,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43 교육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44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45 Schaufeli,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A cross-national study" 33 (33): 464-481, 2002

      46 박일경, "5요인 성격특성과 학업 소진과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81-9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