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on learning behavior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73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9.2 판사항(4)

      • DDC

        371.9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18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95-10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ning (UDL)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n the inclusive middle school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sed the existing instruction process and class dynamics, and also, based on the analysis, explored the factors that we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visua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UD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students diagnose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37 general students. Students' achievements and their behavio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art instruction with the UD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er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performing the visual art class lesson and interacted with other classroom students more actively. Frequency, dur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peers and the teacher were increased visual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changed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friends with disabilities more positively. The results of interview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eacher's view.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visual art class based on UDL was effective in instruction methodology, and helped the students to get involved in active class participati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recognized that visual art class with UDL was unique and made them feel free and they also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visual art clas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UDL curriculum of Visual Art can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identified factors of UDL, in this study, Visual Art class, can be also suggested an optimistic model of visual art curriculum for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ning (UDL)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n the inclusive middle school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r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ning (UDL)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n the inclusive middle school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sed the existing instruction process and class dynamics, and also, based on the analysis, explored the factors that we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visua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UD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students diagnose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37 general students. Students' achievements and their behavio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art instruction with the UD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er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performing the visual art class lesson and interacted with other classroom students more actively. Frequency, dur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peers and the teacher were increased visual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changed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friends with disabilities more positively. The results of interview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eacher's view.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visual art class based on UDL was effective in instruction methodology, and helped the students to get involved in active class participati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recognized that visual art class with UDL was unique and made them feel free and they also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visual art clas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UDL curriculum of Visual Art can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identified factors of UDL, in this study, Visual Art class, can be also suggested an optimistic model of visual art curriculum for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요인들을 바탕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을 구안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 2명과 일반학생 37명에게 10주간(20회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수업의 효과성과 그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관찰이 사용되었으며,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의 학습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미술수행 평가지와 상호작용 관찰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접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과 교실환경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이 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학생 간 협력과 상호 도움지원 촉구, 교사와 일반학생의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수용, 교사의 관용적인 태도 등의 학습자 공동체 및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교실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었다.
      이 수업이 학습에 영향을 주는 교실환경 요인은 차이를 수용하는 교실분위기, 학습 사회공동체, 자연스런 지원으로 나타났고, 교수법 요인은 교사의 설명 방식, 교수의 수업진행 유형, 수업형태로 나타났으며, 교과내용 요인은 다양한 차이수용을 위한 학습내용, 생활맥락과 관련된 학습내용으로 나타났다.
      보편적 학습 설계를 통합 미술수업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요括막灌?학습자 요인, 수업목표와 내용, 교수방법, 교실환경, 평가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요인은 학생의 학습양식, 학습자 간 친밀도, 학생의 문제행동, 차이에 대한 수용태도, 학생들의 개인성향이다. 수업 목표와 내용 요인은 학문적, 교과 목적에 따른 개념과 교수내용으로 차이 인식, 공평한 내용,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 소통과 관련된 내용, 학생의 선호, 장점과 관련된 내용이다. 교수방법 요인은 주제별 통합교수, 차별화 교수, 활동중심 교수, 경험적-공동체 기반 교수, 직접 교수,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중재, 지원협력학습을 위한 협력구조와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형태이다. 교실 환경적 요인은 차이를 수용하는 교실 분위기, 컴퓨터 등의 공학기기와 협력체제이다. 그리고 평가요인은 다양한 수준의 평가와 객관적 준거이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통합 미술수업에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할 때는 학습자 요인, 수업 목표와 내용, 교수방법과 환경, 평가 영역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은 통합 미술수업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보편적 학습 원리를 인위적인 상황이 아닌 자연스런 통합학급 수업에 적용하고, 직접 수업에 참여하는 대상에게 평가 실시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의 요구를 반영하였다. 그리고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를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위한 통합 미술수업 적용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러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가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하나의 모형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를 제시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미술교과는 물론 그 외 교과영역에서도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요인들을 바탕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을 구안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 2명과 일반학생 37명에게 10주간(20회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수업의 효과성과 그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관찰이 사용되었으며,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의 학습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미술수행 평가지와 상호작용 관찰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접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과 교실환경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이 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학생 간 협력과 상호 도움지원 촉구, 교사와 일반학생의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수용, 교사의 관용적인 태도 등의 학습자 공동체 및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교실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었다.
      이 수업이 학습에 영향을 주는 교실환경 요인은 차이를 수용하는 교실분위기, 학습 사회공동체, 자연스런 지원으로 나타났고, 교수법 요인은 교사의 설명 방식, 교수의 수업진행 유형, 수업형태로 나타났으며, 교과내용 요인은 다양한 차이수용을 위한 학습내용, 생활맥락과 관련된 학습내용으로 나타났다.
      보편적 학습 설계를 통합 미술수업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요括막灌?학습자 요인, 수업목표와 내용, 교수방법, 교실환경, 평가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요인은 학생의 학습양식, 학습자 간 친밀도, 학생의 문제행동, 차이에 대한 수용태도, 학생들의 개인성향이다. 수업 목표와 내용 요인은 학문적, 교과 목적에 따른 개념과 교수내용으로 차이 인식, 공평한 내용,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 소통과 관련된 내용, 학생의 선호, 장점과 관련된 내용이다. 교수방법 요인은 주제별 통합교수, 차별화 교수, 활동중심 교수, 경험적-공동체 기반 교수, 직접 교수,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중재, 지원협력학습을 위한 협력구조와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형태이다. 교실 환경적 요인은 차이를 수용하는 교실 분위기, 컴퓨터 등의 공학기기와 협력체제이다. 그리고 평가요인은 다양한 수준의 평가와 객관적 준거이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미술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통합 미술수업에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할 때는 학습자 요인, 수업 목표와 내용, 교수방법과 환경, 평가 영역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은 통합 미술수업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보편적 학습 원리를 인위적인 상황이 아닌 자연스런 통합학급 수업에 적용하고, 직접 수업에 참여하는 대상에게 평가 실시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의 요구를 반영하였다. 그리고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를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위한 통합 미술수업 적용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러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가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하나의 모형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를 제시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미술교과는 물론 그 외 교과영역에서도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 표목차 = ⅴ
      • 그림목차 = ⅴ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국문요약 = ⅰ
      • 표목차 = ⅴ
      • 그림목차 = ⅴ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7
      • 1. 보편적 학습 설계의 교육적 의의 = 7
      • 2. 미술교육과정에서의 보편적 학습 설계의 의의 = 11
      • 3.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특성과 미술교육 = 13
      • 4.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 원리 = 16
      • 5. 보편적 학습 설계의 통합 미술수업 구안을 위한 미술교육과정 = 24
      • Ⅲ. 연구 방법 = 37
      • 1. 연구 대상 = 37
      • 2. 연구 환경 = 39
      • 3. 연구 도구 = 43
      • 4. 연구 절차 = 50
      • 5. 자료 처리 = 56
      • 6. 타당도와 신뢰도 = 61
      • Ⅳ. 연구결과 = 65
      • 1.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의 학습 효과 = 65
      • 2. 학습에 영향을 주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요인과 특성 = 73
      • 3.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 구안 시 고려해야할 요인 = 84
      • V. 논의 및 결론 = 87
      • 1. 논의 = 88
      • 2. 결론 = 93
      • 참고문헌 = 95
      • 부록 = 109
      • 〈Abstract〉= 1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