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구성하는 생애과정과 공간 경로 탐구 = A Study on the Meaningful Life-spaces in the Life-courses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meaning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over of multi-steps of temporal life-course and various spatial moments in social areas. The author focuses on the nature of segmentation in time and spaces that are intertwined in adult illiterates lives. The life-course is not a homogeneous linear and seamless continuity, but rather the sum of segmented momentums exposed in heterogeneously located spatial social realitie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reveals how the segments of life-pieces are colliding to shape dialogical interactions in one’s own personal learning history of literacy journey. This research used oral life history that included 18 learners who enrolled in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City of Ulsan. This paper found out four meaningful categories or segments of life-space with the following different four themes: (1) home, (2) marriage, (3) community, and (4) adult literacy education space. First, home as a living space was a barren land that took the chance of learning away from them. It was the place where their learning deprivation has begun, and thus the fate of being illiterate has been assigned during their entire lives, as victims of prejudices as being women as well as being illiterate. Second, marriage looks to provide new space for escaping from the given ‘first family space’. It, however, consequentially ends up with a space where the problems and patterns of the previous home circumstances are continuously repeating. Third, local communities or social citizenship areas are the space where the learners completely face the limit as illiterate persons. As the modern social spaces are constructed with elaborated symbols and abstracts, the space applies endless repression and discrimination to illiterate persons and make them conceal and disguise their identities in return. it is the place where the learners embodied the demands of others and being “otherness.” They are constantly judged as abnormal by the groups they belong. Finally, the adult literacy education is the space of liberation. It is the learning space where the learners could feel free from the prejudices of ‘otherness’. It provides shelter to relocate themselves from ‘being-others’, and transform to the new identity who are able to construct new space of living, as another social birth.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meaning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over of multi-steps of temporal life-course and various spatial moments in social areas. The author focuses on the nature o...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meaning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over of multi-steps of temporal life-course and various spatial moments in social areas. The author focuses on the nature of segmentation in time and spaces that are intertwined in adult illiterates lives. The life-course is not a homogeneous linear and seamless continuity, but rather the sum of segmented momentums exposed in heterogeneously located spatial social realitie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reveals how the segments of life-pieces are colliding to shape dialogical interactions in one’s own personal learning history of literacy journey. This research used oral life history that included 18 learners who enrolled in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City of Ulsan. This paper found out four meaningful categories or segments of life-space with the following different four themes: (1) home, (2) marriage, (3) community, and (4) adult literacy education space. First, home as a living space was a barren land that took the chance of learning away from them. It was the place where their learning deprivation has begun, and thus the fate of being illiterate has been assigned during their entire lives, as victims of prejudices as being women as well as being illiterate. Second, marriage looks to provide new space for escaping from the given ‘first family space’. It, however, consequentially ends up with a space where the problems and patterns of the previous home circumstances are continuously repeating. Third, local communities or social citizenship areas are the space where the learners completely face the limit as illiterate persons. As the modern social spaces are constructed with elaborated symbols and abstracts, the space applies endless repression and discrimination to illiterate persons and make them conceal and disguise their identities in return. it is the place where the learners embodied the demands of others and being “otherness.” They are constantly judged as abnormal by the groups they belong. Finally, the adult literacy education is the space of liberation. It is the learning space where the learners could feel free from the prejudices of ‘otherness’. It provides shelter to relocate themselves from ‘being-others’, and transform to the new identity who are able to construct new space of living, as another social bir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애과정이라는 시간성의 종적구조와 다양한 사회적 영역이라는 공간성의 횡적구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 대한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과 함께 공간적 타자화와 탈타자화가 전개되는 복합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 한 문해교육 거점기관에 등록한 학습자 18명을 대상으로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범주는 집, 결혼, 사회, 문해교육 공간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집’ 공간은 이들에게 생애 전체를 가로지르는 장벽, 즉 교육의 첫 기회가 박탈되고 평생 비문해자라는 굴레가 덧씌워지는 연쇄적 고리가 꿰어지는 출발지점이며, ‘여자’라는 왜곡된 편견과 중첩된 억압을 경험하며 타자화되는 공간이었다. 둘째, 결혼을 통한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은 유청소년기 공간으로부터의 탈주의 계기로 삼지만, 결과적으로 이전 ‘집’ 공간의 문제와 패턴이 그대로 연장되고 반복되는 공간으로 상징화되었다. 셋째, 공적공간으로 편입해 들어가는 사회공간은 전면적으로 비문해자로서의 한계를 직면하는 공간이다. 비문해자에 대한 억압과 차별이 내리누르는 공간, 자신의 비문해자 정체성을 숨기고 위장해야 하는 공간으로서 타인과 집단이 요구하는 시선과 규범을 체현하는 장소인 동시에 전형적인 규범과 ‘정상’이라고 인지되는 범주 안에 자신을 구성해가는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문해교육 공간은 타자적 시선에서 벗어나 탈타자화를 전유해가는 학습공간이며, 새로운 공간생산의 주체로 성장하는 곳이다. 그 점에서 문해교육을 통해 문해자로서 거듭나는 것은 또 다른 ‘사회적 탄생’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애과정이라는 시간성의 종적구조와 다양한 사회적 영역이라는 공간성의 횡적구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 대한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과 ...

      본 연구는 생애과정이라는 시간성의 종적구조와 다양한 사회적 영역이라는 공간성의 횡적구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 대한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과 함께 공간적 타자화와 탈타자화가 전개되는 복합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 한 문해교육 거점기관에 등록한 학습자 18명을 대상으로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범주는 집, 결혼, 사회, 문해교육 공간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집’ 공간은 이들에게 생애 전체를 가로지르는 장벽, 즉 교육의 첫 기회가 박탈되고 평생 비문해자라는 굴레가 덧씌워지는 연쇄적 고리가 꿰어지는 출발지점이며, ‘여자’라는 왜곡된 편견과 중첩된 억압을 경험하며 타자화되는 공간이었다. 둘째, 결혼을 통한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은 유청소년기 공간으로부터의 탈주의 계기로 삼지만, 결과적으로 이전 ‘집’ 공간의 문제와 패턴이 그대로 연장되고 반복되는 공간으로 상징화되었다. 셋째, 공적공간으로 편입해 들어가는 사회공간은 전면적으로 비문해자로서의 한계를 직면하는 공간이다. 비문해자에 대한 억압과 차별이 내리누르는 공간, 자신의 비문해자 정체성을 숨기고 위장해야 하는 공간으로서 타인과 집단이 요구하는 시선과 규범을 체현하는 장소인 동시에 전형적인 규범과 ‘정상’이라고 인지되는 범주 안에 자신을 구성해가는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문해교육 공간은 타자적 시선에서 벗어나 탈타자화를 전유해가는 학습공간이며, 새로운 공간생산의 주체로 성장하는 곳이다. 그 점에서 문해교육을 통해 문해자로서 거듭나는 것은 또 다른 ‘사회적 탄생’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상, "해방 후 - 1960년대 민간단체의 성인문해교육활동: 대한기독교계명협회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31-61, 2016

      2 신미식, "한국 여성노인의 문해교육 현황과 정책" 한국동북아학회 12 (12): 261-284, 2007

      3 곽삼근,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과 리터러시 확장의 과제" 한국평생교육학회 22 (22): 85-108, 2016

      4 노병윤, "한국 민간문해교육의 태동·활동·성과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5 유성상, "한국 문해/교육 연구의 패러다임과 비판적 성찰" 국어교육학회 52 (52): 61-93, 2017

      6 허준, "학습자 수준에서의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의 성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5-46, 2011

      7 이지혜,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57-74, 2003

      8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9 양병찬,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 분석" 10 (10): 207-229, 2004

      10 신미식, "하나의 담론으로서 한국 문해교육의 비판적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73-294, 2010

      1 유성상, "해방 후 - 1960년대 민간단체의 성인문해교육활동: 대한기독교계명협회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31-61, 2016

      2 신미식, "한국 여성노인의 문해교육 현황과 정책" 한국동북아학회 12 (12): 261-284, 2007

      3 곽삼근,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과 리터러시 확장의 과제" 한국평생교육학회 22 (22): 85-108, 2016

      4 노병윤, "한국 민간문해교육의 태동·활동·성과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5 유성상, "한국 문해/교육 연구의 패러다임과 비판적 성찰" 국어교육학회 52 (52): 61-93, 2017

      6 허준, "학습자 수준에서의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의 성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5-46, 2011

      7 이지혜,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57-74, 2003

      8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9 양병찬,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 분석" 10 (10): 207-229, 2004

      10 신미식, "하나의 담론으로서 한국 문해교육의 비판적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73-294, 2010

      11 정훈, "프레네와 프레이리에 기초한 비판적 문해교육 방법론"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1, 2015

      12 이희수, "평생학습능력으로서 정보문해개념의 변천에 관한 고찰" 3 (3): 177-212, 2000

      13 조미경, "파리 세계성인교육회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문해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1 (11): 125-146, 2016

      14 임경희, "젠더, 지역 공간, 구술생애사 글쓰기 - 1923년생 허귀진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1-38, 2015

      15 손준종, "정보사회의 문해 이해: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6 (6): 213-233, 2000

      16 손지영, "장애인야학에서의 문해교육에 대한경험과 인식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29-154, 2015

      17 신보희, "장애성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동기 특성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실패내성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77-295, 2014

      18 Schultz, C. N., "장소의 혼" 태림 문화사 1996

      19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0 임송자, "이승만 정권기 문해교육 정책과 문맹퇴치 5개년 사업" 수선사학회 (50) : 35-66, 2014

      21 조미경, "유네스코 문해교육의변천 과정 분석을 통한 함의점 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 (9): 37-54, 2014

      22 윤택림,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한국여성연구원 27 (27): 77-111, 2010

      23 정대용,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해교육 경험이 생활 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137-157, 2010

      24 Schultz, C. N., "실존, 공간, 건축" 태림 문화사 1997

      25 김종천, "성인학습자의 문해학습 참여를 통한 생애경험과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5

      26 이지혜, "성인중학문해과정에 참여한 문해교사의 경험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3 (13): 81-107, 2017

      27 한숭희, "성인문해의 문화담론적 분석" 3 (3): 1-36, 1997

      28 박상현,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아개념이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7 (37): 107-127, 2016

      29 박소연,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평가 요구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20, 2009

      30 채재은, "성인문해교육 지원사업의 정책집행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83-212, 2012

      31 이경아, "성인문해교육 지원 사업의 성과 분석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19-139, 2007

      32 성지훈, "성인문해교육 자원교사의 활동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53-81, 2016

      33 허준, "성인문해교육 시스템화기 문해학습과정의 특성: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11-143, 2015

      34 이지혜, "성인문해 학력인정제도의 가능성과 한계: 중학문해과정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59-84, 2015

      35 허준, "성인 문해교육 연구의 담론 지형" 한국평생교육학회 22 (22): 1-26, 2016

      36 변종임, "성인 문해 정보화 교육의 전략 탐색을 위한 성과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15-30, 2006

      37 윤석민, "성인 농인 문해교육 체계 설립을 위한 해석적 연구" 국어문학회 60 (60): 41-78, 2015

      38 이지혜, "비문해자 학습의 일상성 :그들은 어떻게 문자세계를 극복하는가"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1-78, 2013

      39 최영이, "비문해 농촌 여성노인의 문해교육 경험과 삶의 변화"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165-193, 2015

      40 김성자, "비문해 노인의 ‘생애 첫 졸업장’ 에 대한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95-314, 2016

      41 허경,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 초기 공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도시인문학연구소 3 (3): 233-267, 2011

      42 채재은, "미국의 성인문해교육 지원체제 분석과 시사점" 11 (11): 1-22, 2005

      43 한상길, "문해의 개념과 문해교육 실천 방향"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29-50, 2017

      44 정지웅, "문해교육제도가 학습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 1 (1): 95-118, 2013

      45 양명희, "문해교육의 개념과 내용 분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7) : 319-348, 2013

      46 이지혜, "문해교육에서 ‘문해됨’의 의미 -문해학습자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24, 2011

      47 이지혜, "문해교육 리더의 성장과정"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43-171, 2012

      48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회 42 (42): 86-118, 2008

      49 전은경, "농촌 성인 문해교육 성과와 시사점" 한국농촌지도학회 19 (19): 859-880, 2012

      50 허영숙, "노인여성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4 (4): 29-57, 2008

      51 김명숙, "국내 성인문해 연구동향 분석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89-114, 2017

      52 김선희, "교회의 외국인 근로자 문해교육 활동" 3 (3): 63-86, 2008

      53 Lefebvre, H.,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54 Tuan, Yi-Fu.,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55 권순정,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에 담긴 문해교육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83-113, 2010

      56 마루타하지메, "‘장소’론: 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심산출판사 2011

      57 Jayaweera, S., "Women, education and empowerment in Asia" 9 : 411-424, 1997

      58 Robinson-Pant, A., "Women, Literacy and Development: Alternative Perspectives" Routledge 15-34, 2004

      59 Spratt, J. E., "Women and literacy in Morocco" 520 : 121-133, 1992

      60 Venezky, R., "Toward defining literacy"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90

      61 Elder, G. H., "Social dynamics of the life course: Transitions, Institutions, and Interrelations" Aldine de Gruyter 57-72, 2003

      62 Marshall, V. W., "Social dynamics of the life course: Transitions, Institutions, and Interrelations" Aldine de Gruyter 3-32, 2003

      63 Entrikin, J. N., "Reading Human Geography: The Poetics and Politics of Inquiry" Amold 1997

      64 Ellis, P., "Non-formal education and empowerment of women : Insights from the Caribbean" 28 (28): 86-97, 1995

      65 Wagner, D. A., "Literacy, culture and development: Becoming literate i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66 Rogers, A., "Literacy and Development: Ethnographic Perspectives" Routledge 205-222, 2001

      67 Lukermann, F.,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8 (8): 167-172, 1964

      68 Moser, C., "Gender Planning and Development: Theory, Practice, and Training" Routledge 1993

      69 Manthoto, L., "Educating women for empowerment in Lesotho" 28 (28): 5-14, 1995

      70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년 성인문해능력조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5

      71 오혁진,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65-291, 2011

      72 박언주, "1940년대 출생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현모양처이데올로기와 산업화시기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 한국여성학회 33 (33): 35-7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