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 ‘특정한 의미가 부여된 공간’을 장소라 하며, 이것은 인간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는 곳이다. 그들은 어떤 장소에 일정기간 머물며 자신만의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 ‘특정한 의미가 부여된 공간’을 장소라 하며, 이것은 인간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는 곳이다. 그들은 어떤 장소에 일정기간 머물며 자신만의 고...
인간은 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 ‘특정한 의미가 부여된 공간’을 장소라 하며, 이것은 인간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는 곳이다. 그들은 어떤 장소에 일정기간 머물며 자신만의 고유한 이미지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공간과 구별되는 특성‘인 장소성을 형성한다. 그 과정 속에서 인간과 장소 사이에는 유대감이 생겨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게 된다. 이것이 바로 특정 장소에 대한 ‘장소 애착’이다. 이러한 장소에 대한 개인의 관계는 전 생애를 통해 변화되며, 특히 아동기의 경험은 이후 발달 단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아동이 의미를 부여하고, 애착을 갖는 공간을 지각하는 것은 그렇지 못한 공간을 지각하는 것과 매우 다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장소 애착에 대한 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성인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장소 애착에 대해 특히,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이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라는 장소에 대한 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목적으로 하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장소 애착 이론 및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둘째,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문항이 타당한지를 검증한다. 셋째는,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애착 경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의한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과 가정 환경적 특성에 따른 장소애착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 개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장소 애착의 구성 요소인 인간관계, 학교만족도, 장소 인지, 장소를 위한 실천이라는 4가지 개념을 토대로 65문항의 1차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1차 예비 문항을 아동 교육 전문가 5명과 3회차에 걸친 면담과
회의를 통해 하위 내용들이 각 개념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지, 문항이 충분히 대상자를 이해시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해하기 어렵거나 뜻이 분명하지 않은 문장을 포함한 7개의 문항을 삭제하고 5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2차 예비 문항에 대해서 초등교육 전문가 4명, 아동학 석사 1명, 국문학 박사 1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8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총 50개의 문항을 최종 예비 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아동 405명을 대상으로 최종 50개의 예비 문항에 대해 본 조사를 실시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5개의 하위 요인으로 정서성 13문항, 사회관계 11문항, 환경만족 9문항, 부정적 정서 5문항, 긍정적 정서 5문항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를 도출하였다.
요인 분석을 통해 추출된 5개의 구성요인들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의 하위 요인 및 척도 전체에 대한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내적일치도(Cronbach alpha)를 구한 결과 다섯 가지 하위 요인과 척도 모두 .679~.940으로 양호하게 나왔다. 문항양호도 검사에서도 각각의 하위 요인들이 독립된 요인들로 구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하위요인들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전체를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초등학생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및 각 하위요인들을 잘 측정하고 있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입증된 객관적이고 믿을 수 있는 검사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경향을 확인해
보기 위해 회수된 405부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치를 살펴보고, 연구문제에 따라 T-test,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경향에 대해 알아보면서 먼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을 알아보았다. 먼저, 성별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은 평균 2.97의 점수가 나왔고, 하위요인별로 보면 환경만족이 가장 높게 나왔고, 부정적 정서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은 전체 장소애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사회적 관계에서 남아가 3.06점, 여아가 3.13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행동에서도 남아 2.89점, 여아 3.02점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의 경향은 전체적으로 3학년(3.20)이 가장 높았고, 6학년이 2.81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고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성, 사회적 관계, 환경만족, 부정적 정서, 긍정행동 요인까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거주지역에 따른 전체 장소 애착은 시지역이 다른 지역(군, 광역시)에 비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에서는 유일하게 부정적 정서 요인에서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군지역 2.58점, 시역 2.45점, 광역시 지역이 2.47점으로 나타났고, 각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하는 가정생활 수준별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에서는 응답하지 않은 23명을 제외하고 392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 결과를 얻었다. 아동의 학교에 대한 전체 장소 애착 수준에서는 가정생활 수준이 상일 경우 3.08점으로 가장 높고, 항인 경우 2.63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가정생활수준에 따라 장소애착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부정적 정서 외의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과 학교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부정적 정서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하위 요인들간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 척도의 총점과 학교 적응 척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748,p<.001).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를 통하여 보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이 증가하게 되면, 학교 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는 학교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애착 정도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