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새롭게 개발하여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수교가 1991년에 이루어지면서, 우즈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948562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전공 , 2012. 8
2012
한국어
410.7 판사항(22)
서울
(A) study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of Uzbekistan
vi, 184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새롭게 개발하여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수교가 1991년에 이루어지면서, 우즈베...
본 연구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새롭게 개발하여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수교가 1991년에 이루어지면서,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의 수요가 증가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의 초창기에는 한국어 교육 목적이 한국 사람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의사소통이면 충분했다. 주로 말하기와 듣기 교육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최근 20년 동안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기본적인 의사소통 외에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한국 대학교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한국어 쓰기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시대 변화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와 우즈베키스탄 사회 그리고 한국어 교육계의 요구가 새롭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된 요구들에 맞추어서 새로운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전문화․극대화하기 위하여 우즈베키스탄의 현지 상황과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사회적 요구, 한국어 교육계의 요구를 고려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내용을 새롭게 논의하여 기술했다. 특히,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특수 목적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살폈다. 곧,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직업에 필요한 쓰기 교육과 한국 대학교에서 수학하기 위한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서 우즈베키스탄의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상황적 배경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정책과 한국어 교육 정책, 우즈베키스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 요구, 한국어 교육계 내에서의 요구, 학습자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이어,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 개발의 준거를 수립하기 위해서 외국어 교육 과정을 분석했다. 즉, 유럽 공통 참조 기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총괄 평가 기준,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 과정 기준을 검토하여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기술할 때 참조하였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의 쓰기 교육 과정을 수준별로 개발하기 위해서 외국어 교육 과정의 모형을 검토하여 참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내용을 수준별로 기술하고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초·중·고급의 수준별 교수·학습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