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 : 현대 중국어 "형(形)+빈(賓)(명(名))" 결구 성립 조건 = 現代漢語"形+賓(名)"結構成立的條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3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취하기가 자유스럽지 않고 조건이 한정되어 있어 "形+賓(名)" 結構의 성립조건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어법(語法)과 의미[語義]에서부터 한계를 분석하였다. 어...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취하기가 자유스럽지 않고 조건이 한정되어 있어 "形+賓(名)" 結構의 성립조건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어법(語法)과 의미[語義]에서부터 한계를 분석하였다. 어법 부분의 주요 분석은 "形+賓(名)" 결구 중 "形" 어법상의 조건과, "賓(名)"의 句法限制및 "形" 과"賓(名)" 조합시의 句法要求사항에 대한 조건을 설명하였고. 의미[語義] 부분은 "形"과 "賓(名)"의 의미[語義] 특징과 의미[語義]의 雙向選擇등의 문제를 중점 분석하였다. "形+賓(名)" 結構내부의 각 성분의 어법 묘사와 분석을 요약하면, "形+賓(名)" 結構성립에 필요한 어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음절 형용사가 목적어를 취할시, 일반적으로 어떤 보조성분이나, 보조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결합하는 방법이 聯合式, 偏正式, 動賓式, 主謂式, 述補式雙音節形容詞인 경우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둘째, "賓(名)"은 일반적으로 單個代詞, 名詞와 定中短語를 충당한다. "的"字短語, "所"字短語등 名詞性短語는 形容詞+"賓(名)"을 취할 수 없다. 셋째, 단음절형용사는 보통 단독으로 "形+賓(名)"을 취할 수는 없으나,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보조성분인 "著, 了, 過" 또는 보조수단인 형용사 중첩(AA, A一A, ABAB)이 필요하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漢語中,帶賓語的形容詞是指單純的性質形容詞,狀態形容詞不具有帶賓語的功能。帶賓語的性質形容詞包括單音節和雙音節的,而且單、雙音節形容詞帶賓語顯示出不同的選擇和限制條件...

      漢語中,帶賓語的形容詞是指單純的性質形容詞,狀態形容詞不具有帶賓語的功能。帶賓語的性質形容詞包括單音節和雙音節的,而且單、雙音節形容詞帶賓語顯示出不同的選擇和限制條件。能구充當形容詞賓語的成分是有限的,常見的是體詞或體詞性短語,謂詞和謂詞性短語是흔少見的。通過對"形+賓(名)"結構內部各成分的語法描寫分析,可以得出"形+賓(名)"結構成立的語法條件爲:一是雙音節形容詞帶"賓(名)"時,一般雖不需要帶一定的輔助成分或輔助手段,但其構成方式多爲聯合式、偏正式、動賓式、主謂式、述補式雙音節形容詞一般不能帶賓語。二是"賓(名)"一般由單個代詞、名詞及定中短語充當, "的"字短語、"所"字短語等名詞性短語不能充當形容詞的"賓(名)"。三是單音節形容詞一般不能單獨帶"賓(名)",通常需要添加一定的輔助成分"著、了、過"或輔助手段"形容詞的重疊(AA、A一A、ABAB)"。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