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교육은 미술 안의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미술을 통한 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범세계적으로 직면한 환경•경제•사회분야의 외부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40346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생태미술 ; 환경미술교육 ; 삶을 위한 미술교육 ; 지역사회미술교육
707 판사항(22)
서울
Case study of community collaborative ecological art education
ⅷ, 152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미술교육은 미술 안의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미술을 통한 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범세계적으로 직면한 환경•경제•사회분야의 외부적 ...
현대 미술교육은 미술 안의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미술을 통한 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범세계적으로 직면한 환경•경제•사회분야의 외부적 문제와 함께 미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미술교육에서 환경적인 주제들은 기상이변, 자원고갈, 환경오염과 같은 생태학적인 이슈들로 인하여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미술 교육은 미술이 지닌 예술적 감성과 창작 과정이 제공하는 경험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자발적인 탐구를 이끌어 내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이에 따라 생태계 보호, 환경 오염,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문제가 오늘날 범세계적 도전과제라면 이것은 미술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교육되고 실천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을 주제로 하는 미술교육에서 생태론적 사고의 전환과 지역 주민단체 협력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환경미술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생태론을 바탕으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도림천 생태미술프로젝트는 학습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도시 하천에서 진행되었으며 지역에서 15년 동안 하천보호 활동을 지속해 온 주민단체와 협력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미술학습이 환경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창조에 기여하는 미술교육이 진행되는지, 환경미술교육이 지역사회 공동체와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첫째, 생명존중, 상생의 정신, 자연과 인간의 상호 유기적 관계에 대한 인식을 내포한 생태적 세계관으로의 사유의 전환이다. 둘째, 자유롭게 상상하고 표현하는 미술활동을 통한 미적 감수성의 발달이다. 셋째, 도림천의 생태 회복을 위한 건전한 지역 예술 문화 형성이다.
교육활동은 총 5회로 이루어진다. 1회는‘생태적 감수성’활동, 2회는‘야생동물에 대한 윤리적 신뢰와 상호책임의식’활동, 3회는‘건강한 하천의 모습 이해하기’활동, 4회는 ‘인간과 자연의 공생적 관계’ 활동, 5회는‘지역사회와 미술로 소통하기’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도림천의 자연환경과 다양한 생물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으며‘자신의 삶과 도림천의 공생적 관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구성원과 소통과 협력’을 통해 성취감과 연대감을 느꼈으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환경 활동에 참여’하고자 다짐하였다. 셋째,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환경 단체와 연계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 내용에 지역 주민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었으며, 문제초점적 시각에서 벗어나 도림천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에 주목할 수 있었다. 넷째, 본 프로젝트는 교실 안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지역 축제인 ‘도림천문화제’에 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환경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환경미술교육은 생태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삶과 관련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주민단체와 예술가, 정부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보다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환경미술교육이 궁극적으로 지역사회 교육의 활성화, 지역문화 계발, 환경 변화를 위한 기폭제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