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미세 금속 표면에서 ESR의 산란 인자 함수 = Scattering Factor Function of the ESR in a Fine Metallic Sur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2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tilizing the projected Liouville equation method with an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 (EAPS), we calculate the scattering factor
      function of the electron-spin-resonance (ESR) in a fine metallic
      surface. We obtain a more precise scattering factor function than
      Kawabata$^\prime$s result, and the approximation $L \rightarrow L_d$
      that Kawabata made is not needed here. Therefore, the EAPS method is
      considered to be more useful for explaining the scattering mechanism
      as in the case of other optical transition problems.
      번역하기

      Utilizing the projected Liouville equation method with an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 (EAPS), we calculate the scattering factor function of the electron-spin-resonance (ESR) in a fine metallic surface. We obtain a more precise scattering facto...

      Utilizing the projected Liouville equation method with an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 (EAPS), we calculate the scattering factor
      function of the electron-spin-resonance (ESR) in a fine metallic
      surface. We obtain a more precise scattering factor function than
      Kawabata$^\prime$s result, and the approximation $L \rightarrow L_d$
      that Kawabata made is not needed here. Therefore, the EAPS method is
      considered to be more useful for explaining the scattering mechanism
      as in the case of other optical transition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준 평균 사영 연산자 방법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으로
      다체계의 제2 양자화 표현의 생성, 소멸 연산자 교환 관계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 금속 표면의 전자스핀 공명 현상에 적용하였다. 금속계에서
      전자의 스핀 플립 (spin flip)은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산란될 때
      발생하는데 이것의 확률은 스핀과 궤도 결합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미세 금속 표면에서 전자스핀 공명의 산란 인자 함수 (scattering factor
      function)는 Kawabata가 도입한 Liouville 연산자의 $L \rightarrow L_d$
      근사 없이 정준 평균 사영 연산자 방법으로 구한 결과 Kawabata의 계산과
      일치하며, 새로운 보정항이 나타나므로 전체의 선모양 함수에 대해 선폭
      증가의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금속 표면에서 전자의
      산란 효과는 좀 더 증가될 것이며, 이와 같은 결과는 보다 정확한 현상의
      설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정준 평균 사영 연산자 방법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으로 다체계의 제2 양자화 표현의 생성, 소멸 연산자 교환 관계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 금속 표면의 전자스핀 공명 현상에 적용하였...

      정준 평균 사영 연산자 방법 (ensemble average projection scheme)으로
      다체계의 제2 양자화 표현의 생성, 소멸 연산자 교환 관계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 금속 표면의 전자스핀 공명 현상에 적용하였다. 금속계에서
      전자의 스핀 플립 (spin flip)은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산란될 때
      발생하는데 이것의 확률은 스핀과 궤도 결합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미세 금속 표면에서 전자스핀 공명의 산란 인자 함수 (scattering factor
      function)는 Kawabata가 도입한 Liouville 연산자의 $L \rightarrow L_d$
      근사 없이 정준 평균 사영 연산자 방법으로 구한 결과 Kawabata의 계산과
      일치하며, 새로운 보정항이 나타나므로 전체의 선모양 함수에 대해 선폭
      증가의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금속 표면에서 전자의
      산란 효과는 좀 더 증가될 것이며, 이와 같은 결과는 보다 정확한 현상의
      설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 W. Zwanzig, "Lectures in Theoretical Physicsedited by W. E. Downs and J. Downs" Interscience,New York 1996

      1 R. W. Zwanzig, "Lectures in Theoretical Physicsedited by W. E. Downs and J. Downs" Interscience,New York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