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에서의 임시어 형성 유형과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once Word Formation in Online Streaming Live Ch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11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online streaming live chat as one of the registers where rich nonce words data can be observed, pointing out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nonce words. Online streaming live chat exhibits characteristics that motivate the formation of nonce words, which are created on the spur of the moment to cover some immediate need by a speakers. Nonce words formed in chat uttered by participants in two online streaming broadcasts of different typ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significant number of new and differently formed nonce words were observed. They are subcategorized into ‘compounds’, ‘derivatives’, ‘blends’, and ‘acronyms’ based on how they are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nonce word formation include ‘context dependence’, ‘diversity of semantic relations and referent concepts’, and ‘synonym rel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observing and analyzing individual usage in word formation research and lays the groundwork.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propose online streaming live chat as one of the registers where rich nonce words data can be observed, pointing out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nonce words. Online streaming live chat exhibits characteristics that...

      In this study, we propose online streaming live chat as one of the registers where rich nonce words data can be observed, pointing out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nonce words. Online streaming live chat exhibits characteristics that motivate the formation of nonce words, which are created on the spur of the moment to cover some immediate need by a speakers. Nonce words formed in chat uttered by participants in two online streaming broadcasts of different typ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significant number of new and differently formed nonce words were observed. They are subcategorized into ‘compounds’, ‘derivatives’, ‘blends’, and ‘acronyms’ based on how they are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nonce word formation include ‘context dependence’, ‘diversity of semantic relations and referent concepts’, and ‘synonym rel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observing and analyzing individual usage in word formation research and lays the ground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단어 형성론에서의 연구 대상으로서 임시어가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차원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풍부한 임시어 자료를 관찰할 수 있는 사용역 중 하나로 ‘온라인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은 화자의 즉각적인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어 형성의 동기를 제공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온라인 스트리밍 방송에서 참여자들에 의해 발화되는 채팅에서 형성되는 임시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 임시어들이 상당수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형성 방식에 따라 ‘합성어’, ‘파생어’, ‘혼성어’, ‘두음절어’로 하위 분류된다. 임시어 형성의 특징으로는 ‘맥락 의존성’, ‘의미 관계 및 지시 개념의 다양성’, ‘동의/유의 관계 임시어 형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어 형성 연구에서 개별 사용역에 대한 관찰 및 분석의 의의를 강조하고 기반을 마련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단어 형성론에서의 연구 대상으로서 임시어가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차원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풍부한 임시어 자료...

      이 글에서는 단어 형성론에서의 연구 대상으로서 임시어가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차원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풍부한 임시어 자료를 관찰할 수 있는 사용역 중 하나로 ‘온라인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은 화자의 즉각적인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어 형성의 동기를 제공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온라인 스트리밍 방송에서 참여자들에 의해 발화되는 채팅에서 형성되는 임시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 임시어들이 상당수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형성 방식에 따라 ‘합성어’, ‘파생어’, ‘혼성어’, ‘두음절어’로 하위 분류된다. 임시어 형성의 특징으로는 ‘맥락 의존성’, ‘의미 관계 및 지시 개념의 다양성’, ‘동의/유의 관계 임시어 형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어 형성 연구에서 개별 사용역에 대한 관찰 및 분석의 의의를 강조하고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데로, "臨時語의 實在性 確立을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19-149, 2013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이찬영, "혼성어 연구의 쟁점과 방향" 형태론 24 (24): 51-81, 2022

      4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2 (2): 1-16, 2000

      5 이찬영,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연세대학교 2016

      6 김인균, "합성명사의 의미 관계와 사이시옷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1 : 119-138, 2002

      7 채현식, "합성명사에서의 의미 전이와 관습화" 한국언어문학회 (58) : 5-23, 2006

      8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9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10 최준, "한국어 신어 탐색 방법론의 실제" 언어정보연구원 51 : 151-172, 2020

      1 정한데로, "臨時語의 實在性 確立을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19-149, 2013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이찬영, "혼성어 연구의 쟁점과 방향" 형태론 24 (24): 51-81, 2022

      4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2 (2): 1-16, 2000

      5 이찬영,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연세대학교 2016

      6 김인균, "합성명사의 의미 관계와 사이시옷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1 : 119-138, 2002

      7 채현식, "합성명사에서의 의미 전이와 관습화" 한국언어문학회 (58) : 5-23, 2006

      8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9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10 최준, "한국어 신어 탐색 방법론의 실제" 언어정보연구원 51 : 151-172, 2020

      11 최희주, "한국어 명사 연쇄 구성 내 다의 현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2

      12 박혜진, "표현론적 관점의 단어 형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13 허상희 ; 최규수, "트위터에서 트윗(tweet)의 특징과 유형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61) : 455-494, 2012

      14 최영일, "트위치 온라인 스트리밍 채팅 데이터를 이용한 이모티콘이 포함된 혐오 표현 탐지" 한국정보과학회 797-799, 2019

      15 김민국, "접미사에 의한 공시적 단어형성 연구 : 통사적 구성과 형태적 구성의 경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6 최지훈, "전의(轉義)합성명사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7 노명희, "임시어의 특성과 유형" 국어학회 (85) : 45-82, 2018

      18 이상욱, "임시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소고" 형태론 9 (9): 47-67, 2007

      19 정한데로, "임시어에 관한 몇 문제" 국어학회 (71) : 61-91, 2014

      20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월인 2003

      21 이현희, "의도적 단어 만들기에 나타난 조어 방식 연구" 한국어문학회 (122) : 235-268, 2013

      22 채현식, "은유표현의 해석과 유추 - 심리과정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19) : 425-447, 2006

      23 김진해, "은유적 합성명사의 결합관계와 인지언어학적 해석" 국어학회 (70) : 29-57, 2014

      24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25 명정희, "온라인 스트리밍 방송 언어의 소통구조 및 감정 표현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담화‧인지언어학회 375-386, 2023

      26 남혜현, "언어유희와 규범의 변화: 러시아 사이버 언어의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26 (26): 3-28, 2014

      27 시정곤 ; 장정우, "실시간 모바일 메신저에 나타난 세대 간 언어 사용 양상 연구 -20대와 60대 이용자의 카카오톡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76 : 1-54, 2017

      28 김유진, "서울특별시 SNS 통신 언어의 특징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언어연구소 (91) : 29-48, 2021

      29 김광해, "복합명사의 신생과 어휘화과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88 : 5-29, 1982

      30 정한데로, "명명 과제(naming task)를 기반으로 한 임시어의 형태론-도구 명사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8) : 367-404, 2013

      31 정한데로, "동의 관계 어휘의 단어 형성: 표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103) : 345-390, 2022

      32 허상희, "대학생의 카카오톡 언어 사용 분석" 한글학회 (314) : 103-143, 2016

      33 이재인,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김완진 선생 회갑기념논총)" 민음사 612-628, 1991

      34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35 황화상,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 월인 2001

      36 최경봉,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태학사 1998

      37 정한데로, "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38 정한데로, "表現論的 接近과 單語形成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7 (47): 117-144, 2019

      39 이선영, "混成語의 位相에 대한 一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47-66, 2016

      40 Recktenwald, D., "Toward a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live streaming on Twitch" 115 : 68-81, 2017

      41 Georgakopoulou, A., "The Routledge handbook of language and digital communication" Routledge 2016

      42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43 Carter, R., "Exploring Spoken Englis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4 Bauer, L., "English word-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45 Benczes, R., "Creative compounding in English: the semantics of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noun-noun combination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6

      46 Olejniczak, J, "A linguistic study of language variety used on Twitch.tv:descriptive and corpus-based approaches" 1-6, 2015

      47 최형용,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 대하여" 언어정보연구소 46 : 27-68, 2022

      48 이상욱, "'-음', '-기' 명사형의 단어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