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딜레마 중심 사례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교육 인식과 대처방식 =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and Coping Ways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Dilemma Centered Case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2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and coping skills in regard to dilemmas i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dilemma case method. To this end, 18 pre-service teachers took part in the study for a total of 15 weeks. There were 7 case methods in the study, of which three categories were ethics, equality and efficiency. Case method activities included class case reading, analysis,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Data were collected including pre-service teachers’ journals and, field notes. Next, by categorizing the collected contents, they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First, as for the dilemma of ethics of interest between teachers’ beliefs, parents’ requests and teachers’ interventions in disputes between ordinary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persuade parents based on educational belief’ and ‘It is necessary to express parents’ requests in an educational way in consideration of parents view’. As for disputes among children,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ey would directly intervene in the disputes or that they would help children resolve disputes.
      Second, as for dilemmas of equality of interests between disabled children’s special requests and ordinary children’s rights,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ping perceptions including ‘ordinary children’s rights cannot be sacrificed due to disabled children’, ‘disabled children need special attention’, and ‘Neither of them can be disregarded. It is necessary to find alternatives’ with regard to whose rights should come first.
      Third, as for dilemmas of efficiency of between exception or participation disabled children disturbing class,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disabled strictly.’ And ‘It is necessary for disabled children to be let known to prevent before.’The other sid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change a class accepting children’s need and requests including disabled and ordinary children’.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and coping skills in regard to dilemmas i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dilemma case method. To this end, 18 pre-service teachers took part in the study for a total of 15 weeks. There were 7...

      The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and coping skills in regard to dilemmas i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dilemma case method. To this end, 18 pre-service teachers took part in the study for a total of 15 weeks. There were 7 case methods in the study, of which three categories were ethics, equality and efficiency. Case method activities included class case reading, analysis,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Data were collected including pre-service teachers’ journals and, field notes. Next, by categorizing the collected contents, they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First, as for the dilemma of ethics of interest between teachers’ beliefs, parents’ requests and teachers’ interventions in disputes between ordinary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persuade parents based on educational belief’ and ‘It is necessary to express parents’ requests in an educational way in consideration of parents view’. As for disputes among children,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ey would directly intervene in the disputes or that they would help children resolve disputes.
      Second, as for dilemmas of equality of interests between disabled children’s special requests and ordinary children’s rights,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ping perceptions including ‘ordinary children’s rights cannot be sacrificed due to disabled children’, ‘disabled children need special attention’, and ‘Neither of them can be disregarded. It is necessary to find alternatives’ with regard to whose rights should come first.
      Third, as for dilemmas of efficiency of between exception or participation disabled children disturbing class,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disabled strictly.’ And ‘It is necessary for disabled children to be let known to prevent before.’The other sid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gnition including ‘It is necessary to change a class accepting children’s need and requests including disabled and ordinary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딜레마 수업 사례 활동을 통해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대처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도 9월 3주부터 12월2주(총 15주)동안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 18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수업 사례는 윤리, 형평성, 수업효율성으로 3개 상위 범주에 해당하는 총 7개가 사용되었다. 수업 사례 활동은 수업사례 읽기, 수업 사례 분석, 저널쓰기, 토론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예비교사의 저널, 토론 녹음 자료의 전사본, 연구노트와 현장약기(field notes)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윤리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교사의 개입 한계에 대하여 부모의 요구와 교사 소신이 상충될 경우 교사의 소신을 펼치겠다는 인식과 부모의 요구를 고려하겠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유아간의 갈등에 대하여 직접 중재 인식과 간접적 우회적 중재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교사는 형평성 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장애 유아의 특별한 요구와 장애 유아의 권리가 상충할 때 장애 유아로 인해 일반 유아의 권리가 희생될 수 없다는 인식과 장애 유아의 특성상 배려 받아야 한다는 인식, 두 입장 고려한 대안을 찾겠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셋째, 예비교사는 수업 효율성 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장애 유아를 제재하고 배제해야 한다는 인식과 활동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딜레마 수업 사례 활동을 통해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대처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도 9월 3주부터 12월2주(총 15주)동안 4년제 A...

      본 연구는 딜레마 수업 사례 활동을 통해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대처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도 9월 3주부터 12월2주(총 15주)동안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 18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수업 사례는 윤리, 형평성, 수업효율성으로 3개 상위 범주에 해당하는 총 7개가 사용되었다. 수업 사례 활동은 수업사례 읽기, 수업 사례 분석, 저널쓰기, 토론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예비교사의 저널, 토론 녹음 자료의 전사본, 연구노트와 현장약기(field notes)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윤리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교사의 개입 한계에 대하여 부모의 요구와 교사 소신이 상충될 경우 교사의 소신을 펼치겠다는 인식과 부모의 요구를 고려하겠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유아간의 갈등에 대하여 직접 중재 인식과 간접적 우회적 중재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교사는 형평성 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장애 유아의 특별한 요구와 장애 유아의 권리가 상충할 때 장애 유아로 인해 일반 유아의 권리가 희생될 수 없다는 인식과 장애 유아의 특성상 배려 받아야 한다는 인식, 두 입장 고려한 대안을 찾겠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셋째, 예비교사는 수업 효율성 인식 및 대처방식에서 장애 유아를 제재하고 배제해야 한다는 인식과 활동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3

      4 김광웅, "특수아동 조기교육의 발전과제" 27-42, 1994

      5 조윤경, "통합된 장애유아 가족의 삶의 질 실태와 지원 욕구에 대한 질적 분석" 교육연구소 6 (6): 145-172, 2005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권주석,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실행 수준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1-14, 2004

      8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 사전" 현문사 2003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국립특수교육원,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 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3

      4 김광웅, "특수아동 조기교육의 발전과제" 27-42, 1994

      5 조윤경, "통합된 장애유아 가족의 삶의 질 실태와 지원 욕구에 대한 질적 분석" 교육연구소 6 (6): 145-172, 2005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권주석,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실행 수준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1-14, 2004

      8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 사전" 현문사 2003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국립특수교육원,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 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1 전영숙,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9

      12 강희연, "장애통합학급 유아의 변화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 교육연구소 8 (8): 1-41, 2007

      13 허계형, "장애유아통합 교사전문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33-148, 2010

      14 정영희,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307-339, 2006

      15 심미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영향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1-21, 2005

      16 유수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적합한 유아교사 준비에 관한 유치원장의 인식" 35 (35): 291-315, 2000

      17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 2002

      18 김혜련, "장애유아 이해를 위한 전문대학의 개설교과목 실태 연구.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8 (18): 67-97, 2000

      19 황희숙,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69-292, 2009

      20 정갑순, "장애유아 부모의 장애아통합교육 및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07-132, 2005

      21 정정진, "장애영유아 교류교육의 효과" 7 : 95-125, 1999

      22 김경숙, "장애아동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 접근의 이론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43-62, 2006

      23 이소현, "장애 유아의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지원 욕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89-212, 2004

      24 원종례,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95-132, 2007

      25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이 연구는 2005년도 삼성복지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통합 프로그램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53-282, 2006

      26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27 국립특수교육원, "장애 유아 선별 및 진단·평가 지침 개발Ⅰ" 국립특수교육원 2008

      28 이소현, "장애 영유아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질적 구성 요소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83-107, 2006

      29 국립특수교육원, "일반학교 배치 특수 교육대상학생 실태조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6

      30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8

      31 조형숙,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73-101, 2009

      32 이소현, "유치원 교사 양성 교수들의 장애 통합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12 : 37-60, 1995

      33 김숙경, "유아기 통합교육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태도에 관한 연구" 14 (14): 35-48, 1989

      34 Filler. J., "유아교육프로그램에서의 장애아 통합-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개별화-" (9) : 205-218, 2007

      35 교육과학기술부, "유아· 고교 장애학생 의무교육 3월 첫 실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 자료 2010. 2. 19"

      36 이수정, "위험(at risk)에 처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2010

      37 김항인, "예비교사와 초등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사례 분석" 76 : 1-32, 2000

      38 경기도보육정보센터, "신기어린이집 장애아 통합 보육 프로그램"

      39 유수옥,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연구" 18 (18): 303-318, 1998

      40 김남순, "발달장애아동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교육 방략" 한국발달장애학회 6 (6): 1-16, 2002

      41 윤혜경,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25 (25): 98-110, 2005

      42 허계형, "개혁주의 세계관에서 본 장애아 통합교육" 27 : 312-333, 2007

      43 Harris-Barret, S., "Variables that influence parents and teache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goals and objectives for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2005

      44 Ross, E. W., "The Struggle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45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INC 1995

      46 Dunst, C. J., "Parents' and practitioners' perspectives of young children's everyday natural learning environments" 94 (94): 251-256, 2004

      47 Lampert, M., "How do teachers manage to teach?: perspectives on problem in practice" 55 (55): 178-194, 1985

      48 Dunst, C. J., "Empowerment, effective help giving practices and family-centered care" 22 (22): 334-339, 1996

      49 Volkman M. J.,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 dilemmas and metaphors of first-year chemistry teacher" 82 : 293-310, 1998

      50 Dana. D., "Conflict Resolution: Mediation Tool for Every Worklife"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2000

      51 Idol, L., "Collaborative Consultation" Pro-Ed 1986

      52 Sander, A., "Behindcrungdbegriff unt ihre konsequenzen fuer fie integration. in: Behinete unt nichtbehinderte lernen gemeinsams" Weinheim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