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3
4 김광웅, "특수아동 조기교육의 발전과제" 27-42, 1994
5 조윤경, "통합된 장애유아 가족의 삶의 질 실태와 지원 욕구에 대한 질적 분석" 교육연구소 6 (6): 145-172, 2005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권주석,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실행 수준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1-14, 2004
8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 사전" 현문사 2003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국립특수교육원,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 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3
4 김광웅, "특수아동 조기교육의 발전과제" 27-42, 1994
5 조윤경, "통합된 장애유아 가족의 삶의 질 실태와 지원 욕구에 대한 질적 분석" 교육연구소 6 (6): 145-172, 2005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권주석,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실행 수준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1-14, 2004
8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 사전" 현문사 2003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국립특수교육원,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 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1 전영숙,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9
12 강희연, "장애통합학급 유아의 변화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 교육연구소 8 (8): 1-41, 2007
13 허계형, "장애유아통합 교사전문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33-148, 2010
14 정영희,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307-339, 2006
15 심미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영향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1-21, 2005
16 유수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적합한 유아교사 준비에 관한 유치원장의 인식" 35 (35): 291-315, 2000
17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 2002
18 김혜련, "장애유아 이해를 위한 전문대학의 개설교과목 실태 연구.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8 (18): 67-97, 2000
19 황희숙,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69-292, 2009
20 정갑순, "장애유아 부모의 장애아통합교육 및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07-132, 2005
21 정정진, "장애영유아 교류교육의 효과" 7 : 95-125, 1999
22 김경숙, "장애아동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 접근의 이론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43-62, 2006
23 이소현, "장애 유아의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지원 욕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89-212, 2004
24 원종례,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95-132, 2007
25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이 연구는 2005년도 삼성복지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통합 프로그램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53-282, 2006
26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27 국립특수교육원, "장애 유아 선별 및 진단·평가 지침 개발Ⅰ" 국립특수교육원 2008
28 이소현, "장애 영유아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질적 구성 요소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83-107, 2006
29 국립특수교육원, "일반학교 배치 특수 교육대상학생 실태조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6
30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8
31 조형숙,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73-101, 2009
32 이소현, "유치원 교사 양성 교수들의 장애 통합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12 : 37-60, 1995
33 김숙경, "유아기 통합교육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태도에 관한 연구" 14 (14): 35-48, 1989
34 Filler. J., "유아교육프로그램에서의 장애아 통합-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개별화-" (9) : 205-218, 2007
35 교육과학기술부, "유아· 고교 장애학생 의무교육 3월 첫 실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 자료 2010. 2. 19"
36 이수정, "위험(at risk)에 처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2010
37 김항인, "예비교사와 초등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사례 분석" 76 : 1-32, 2000
38 경기도보육정보센터, "신기어린이집 장애아 통합 보육 프로그램"
39 유수옥,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연구" 18 (18): 303-318, 1998
40 김남순, "발달장애아동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교육 방략" 한국발달장애학회 6 (6): 1-16, 2002
41 윤혜경,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25 (25): 98-110, 2005
42 허계형, "개혁주의 세계관에서 본 장애아 통합교육" 27 : 312-333, 2007
43 Harris-Barret, S., "Variables that influence parents and teache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goals and objectives for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2005
44 Ross, E. W., "The Struggle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45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INC 1995
46 Dunst, C. J., "Parents' and practitioners' perspectives of young children's everyday natural learning environments" 94 (94): 251-256, 2004
47 Lampert, M., "How do teachers manage to teach?: perspectives on problem in practice" 55 (55): 178-194, 1985
48 Dunst, C. J., "Empowerment, effective help giving practices and family-centered care" 22 (22): 334-339, 1996
49 Volkman M. J.,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 dilemmas and metaphors of first-year chemistry teacher" 82 : 293-310, 1998
50 Dana. D., "Conflict Resolution: Mediation Tool for Every Worklife"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2000
51 Idol, L., "Collaborative Consultation" Pro-Ed 1986
52 Sander, A., "Behindcrungdbegriff unt ihre konsequenzen fuer fie integration. in: Behinete unt nichtbehinderte lernen gemeinsams" Weinheim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