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정 분야별 이탈리아어 전문어의 언어적 유형과 특성에 대한 고찰 = Una nota sulle tipologie e le caratteristiche della lingua settoriale in italian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39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용적인 관점에서 전문어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언어학적 변이 형태이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차원과 체계적인 차원을 융합하며 기술적인 텍스트나 그러한 텍스트의 유형을 중심에 두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확장은 전문어에 속하는 몇몇 속성이 텍스트 차원에서만 나타나거나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었다. 점차 증가하는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명명의 필요성에 대해서 단일의어적 이거나 심지어는 양방향(兩方向)의 단일의(單一義)적 신조어의 확산을 수용하고자 하는 경제 원리가 작용한다. 이로 인해 단일의는 종종 명료화를 통한 맥락의 도움을 통해 완성된다. 기술적인 용어로부터 텍스트로의 관점의 확장은 의사소통의 목적과 이에 상응하는 언어학적 수단의 선택으로 관심을 변경하였다. 따라서 esporre, spiegare, istruire, dedurre, presupporre, formulare ipotesi 등등 같은 전문적인 의사소통에 자주 등장하는 언어 행위와 이러한 언어 활동의 유형들이 부각 된다. 언어 행위나 텍스트의 유형에 대한 지표들은 대형구조macrostruttura에서부터 (문장·담화에 있어서 표현·내용의) 일관성의 수단, 주제의 발전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차원에서 담화의 발현을 조정하는 규약들이다. 일상 대화체 언어에서 의사소통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을 환기시키기 위해 악의적으로 bugiardino 거짓말쟁이의 의미를 지닌 bugiardo의 축소형라고도 불리는 의약품 복약지도 같은 텍스트들의 경우에, 관련 어휘와 텍스트의 규범들이 개입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해진 작성 방식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증서의 효력 무효가 발생하는 유언 같은 법률 텍스트들도 이러한 의미에서 보아야 한다.
      이제 전문어가 전체적으로 보아 일상 언어에 대립적인 개체들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부수적으로 일상 언어와 대조하여 일련의 자질을 공유하는 별개의 개체로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만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분명한 것은 전문어가 명확하게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개념의 상세화와 일반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기 때문에 전문분야의 구성 성분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 이탈리아어 안에는 무수한 전문분야와 그 하위의 전문분과와 관련하여, 전문어 안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어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모호한 경계로부터 꾸준하게 확장을 계속해나가고 개방되어있는 전문어의 집합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번역하기

      실용적인 관점에서 전문어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언어학적 변이 형태이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차원과 체계적인 차원을 융합하며 기술적인 텍스트나 그러한 텍스트의 유형을 ...

      실용적인 관점에서 전문어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언어학적 변이 형태이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차원과 체계적인 차원을 융합하며 기술적인 텍스트나 그러한 텍스트의 유형을 중심에 두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확장은 전문어에 속하는 몇몇 속성이 텍스트 차원에서만 나타나거나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었다. 점차 증가하는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명명의 필요성에 대해서 단일의어적 이거나 심지어는 양방향(兩方向)의 단일의(單一義)적 신조어의 확산을 수용하고자 하는 경제 원리가 작용한다. 이로 인해 단일의는 종종 명료화를 통한 맥락의 도움을 통해 완성된다. 기술적인 용어로부터 텍스트로의 관점의 확장은 의사소통의 목적과 이에 상응하는 언어학적 수단의 선택으로 관심을 변경하였다. 따라서 esporre, spiegare, istruire, dedurre, presupporre, formulare ipotesi 등등 같은 전문적인 의사소통에 자주 등장하는 언어 행위와 이러한 언어 활동의 유형들이 부각 된다. 언어 행위나 텍스트의 유형에 대한 지표들은 대형구조macrostruttura에서부터 (문장·담화에 있어서 표현·내용의) 일관성의 수단, 주제의 발전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차원에서 담화의 발현을 조정하는 규약들이다. 일상 대화체 언어에서 의사소통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을 환기시키기 위해 악의적으로 bugiardino 거짓말쟁이의 의미를 지닌 bugiardo의 축소형라고도 불리는 의약품 복약지도 같은 텍스트들의 경우에, 관련 어휘와 텍스트의 규범들이 개입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해진 작성 방식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증서의 효력 무효가 발생하는 유언 같은 법률 텍스트들도 이러한 의미에서 보아야 한다.
      이제 전문어가 전체적으로 보아 일상 언어에 대립적인 개체들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부수적으로 일상 언어와 대조하여 일련의 자질을 공유하는 별개의 개체로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만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분명한 것은 전문어가 명확하게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개념의 상세화와 일반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기 때문에 전문분야의 구성 성분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 이탈리아어 안에는 무수한 전문분야와 그 하위의 전문분과와 관련하여, 전문어 안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어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모호한 경계로부터 꾸준하게 확장을 계속해나가고 개방되어있는 전문어의 집합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linguaggi settoriali sono le varietà di una lingua usate da gruppi di parlanti più ristretti in settori specifici della vita sociale e professionale e caratterizzate dall’uso di lessico speciale che è esclusivo e proprio di un settore o di termini appartenenti alla lingua comune o ad altri settori della lingua ma usati con accezioni peculiari. Queste varietà linguistiche che si sono realizzate al variare della situazione comunicativa permettono una comunicazione precisa ed economica e altrettanto efficace sui temi specifici.
      Dopo aver accennato che nel campo di questo genere di ricarca della lingua manca un termine unico che corrisponderebbe al tedesco Fachsprache, all’inglese LSP (Language for special purposes) e ne deriva che nei lavori che trattano dell’argomento al riguardo possiamo trovare varie denominazioni, non sempre univoche, ho cercato di prendere in esame la classe di varietà linguistiche di cui italiano tecnico-scientifico e italiano della divulgazione fanno parte, ovvero le cosiddette lingue speciali.
      Dopo aver approfondito in particolare gli aspetti testuali, morfosintattici e lessicali che caratterizzano le varietà di riferimento ne ho verificato le caratteristiche con i rispettivi esempi lessicali.
      번역하기

      I linguaggi settoriali sono le varietà di una lingua usate da gruppi di parlanti più ristretti in settori specifici della vita sociale e professionale e caratterizzate dall’uso di lessico speciale che è esclusivo e proprio di un settore o di term...

      I linguaggi settoriali sono le varietà di una lingua usate da gruppi di parlanti più ristretti in settori specifici della vita sociale e professionale e caratterizzate dall’uso di lessico speciale che è esclusivo e proprio di un settore o di termini appartenenti alla lingua comune o ad altri settori della lingua ma usati con accezioni peculiari. Queste varietà linguistiche che si sono realizzate al variare della situazione comunicativa permettono una comunicazione precisa ed economica e altrettanto efficace sui temi specifici.
      Dopo aver accennato che nel campo di questo genere di ricarca della lingua manca un termine unico che corrisponderebbe al tedesco Fachsprache, all’inglese LSP (Language for special purposes) e ne deriva che nei lavori che trattano dell’argomento al riguardo possiamo trovare varie denominazioni, non sempre univoche, ho cercato di prendere in esame la classe di varietà linguistiche di cui italiano tecnico-scientifico e italiano della divulgazione fanno parte, ovvero le cosiddette lingue speciali.
      Dopo aver approfondito in particolare gli aspetti testuali, morfosintattici e lessicali che caratterizzano le varietà di riferimento ne ho verificato le caratteristiche con i rispettivi esempi lessical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zpingier, Beata, "Una breve sintesi sulla presenza degli anglicismi nel settore delle lingue speciali riguardo all 'italiano contemporaneo" Adam Mickiewicz University Press 35 : 295-304, 2008

      2 Szpingier, Beata, "Una breve sintesi sulla presenza degli anglicismi nel settore delle lingue speciali riguardo all 'italiano contemporaneo" 35 :

      3 Bose, Franca, "Traduzione intralinguistica di un testo disciplinare: vantaggi e svantaggi" 4 : 33-45, 2012

      4 Berruto, Gaetano, "Sociolinguistica dell’italiano contemporaneo" La Nuova Italia Scientifica, Carocci 2006

      5 Serianni, Luca, "Saggi di storia linguistica italiana" Morano 381-420, 1989

      6 Scelzi, Raffaella, "Nel linguaggio specialistico" 118-140, 2009

      7 Taino, Piergiulio, "Miscellanea 4" EUT Edizioni 81-103, 2000

      8 Tani, Maurizio, "L’insegnamento integrato dell’italiano LS e del linguaggio specialistico della storia (italiana) in modalità CLIL"

      9 Cortelazzo, Michele A., "Lingue speciali. La dimensione verticale" Unipress 2007

      10 Bonin, Francesca, "Lessico settoriale e lessico comune nell’estrazione di terminologia specialistica da corpora di dominio"

      1 Szpingier, Beata, "Una breve sintesi sulla presenza degli anglicismi nel settore delle lingue speciali riguardo all 'italiano contemporaneo" Adam Mickiewicz University Press 35 : 295-304, 2008

      2 Szpingier, Beata, "Una breve sintesi sulla presenza degli anglicismi nel settore delle lingue speciali riguardo all 'italiano contemporaneo" 35 :

      3 Bose, Franca, "Traduzione intralinguistica di un testo disciplinare: vantaggi e svantaggi" 4 : 33-45, 2012

      4 Berruto, Gaetano, "Sociolinguistica dell’italiano contemporaneo" La Nuova Italia Scientifica, Carocci 2006

      5 Serianni, Luca, "Saggi di storia linguistica italiana" Morano 381-420, 1989

      6 Scelzi, Raffaella, "Nel linguaggio specialistico" 118-140, 2009

      7 Taino, Piergiulio, "Miscellanea 4" EUT Edizioni 81-103, 2000

      8 Tani, Maurizio, "L’insegnamento integrato dell’italiano LS e del linguaggio specialistico della storia (italiana) in modalità CLIL"

      9 Cortelazzo, Michele A., "Lingue speciali. La dimensione verticale" Unipress 2007

      10 Bonin, Francesca, "Lessico settoriale e lessico comune nell’estrazione di terminologia specialistica da corpora di dominio"

      11 Basile, Grazia, "Lessico e lessicologia: Atti del XLIV Congresso della SLI" Bulzoni 195-216,

      12 Scarpa, Federica, "La traduzione specializzata: Lingue speciali e mediazione linguistica" Hoepli Editore 243-246, 2001

      13 Scarpa, Federica, "La traduzione specializzata e revisione: osservazioni sulla non-anglicizzazione di un testo geografico tradotto dall'inglese in italiano" Campanotto Editore 79-86, 1992

      14 Cerruti, Massimo, "La linguistica italiana all’alba del terzo millennio (1997-2010)" Bulzoni 91-127, 2013

      15 Dardano, Maurizio, "La formazione delle parole nell'italiano di oggi" 1978

      16 Scarpa, Federica, "L'influsso dell'inglese sulle lingue speciali dell'italiano" EUT Edizioni (16) : 225-243, 2014

      17 De Mauro, Tullio, "L'educazione linguistica e i linguaggi delle scienze" 9-19, 1988

      18 Marini, Costanza, "Italiano scientifico e italiano della divulgazione a confronto Il caso della geologia" 2015

      19 Lavinio, Cristina, "Italiano e altre discipline: arricchimenti reciproci"

      20 Altieri Biagi, "Italiano d'oggi. Lingua non letteraria e lingue speciali" 69-110, 1974

      21 Sobrero, Alberto A., "Introduzione all’italiano contemporaneo 2 voll., vol. 2 (La variazione e gli usi)" Laterza 237-277, 1993

      22 Dardano, Maurizio, "Il linguaggio dei giornali italiani" Laterza 1973

      23 Jamrozik, Elżbieta, "Il lessico e le collocazioni nell’insegnamento delle lingue speciali" (1) : 163-176, 2014

      24 Beccaria, Gian Luigi, "I linguaggi settoriali in Italia" Bompiani 7-59, 1973

      25 A. Szemberska, "I linguaggi settoriali in Italia" 1973

      26 Antonini, Anna, "Gli italiani trasmessi: la radio. Atti del Convegno (Firenze, Villa Medicea di Castello, 13-14 maggio 1994)" Accademia della Crusca 168-203, 1997

      27 Nagy, Imola Katalin, "English for Special Purposes: Specialized Languages and Problems of Terminology, Acta Universitatis Sapientiae" 6 (6): 261-27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이어이문학회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이어이문학 -> 이탈리아어문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4 0.14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8 0.3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