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Long-term Survival of 187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Based on the AJCC 6th and 7th TNM e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97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머리말: 전통적으로 소세포암은 제한성, 확장성 병기로 구분해 왔으나 AJCC 7차 개정판은 소세포암도 비소세포암과 마찬가지로 TNM 병기를 따를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세포암을 AJCC 6차와 7차에 따라 병기를 구분해 보고 장기생존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239명의 환자들이 병리학적으로 소세포암으로 확진 되었으며 이들 중 진단 당시에 최초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분석할 수 있는 187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전통적 병기 뿐 아니라 AJCC 6차와 7차에 따른 TNM 병기를 분석해 보고 장기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AJCC 6차 TNM 병기에 따르면 5년 생존율은 각각 병기 I와 II에서 43%, 36%, IIIA는 36%, IIIB는 10%, IV는 7%으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AJCC 7차 TNM 병기에 따르면 병기 I, II에서 43%, IIIA에서 24%, IIIB에서 7%, IV에서 9%을 보여 IV가 IIIB보다 5년 생존율이 높았다. AJCC 6차에서 IIIB, 7차에서 IV로 전환된 환자는 22명이었고 모두 악성 흉수와 관련이 있었다.

      맺음말: 소세포암에도 TNM 병기를 적용하게 되면 더욱 세부적인 생존율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AJCC 7차 병기에 따라 IV보다 IIIB에서 더 나은 생존율을 보였던 경우는 모두 악성 흉수와 연관을 보였다.
      번역하기

      머리말: 전통적으로 소세포암은 제한성, 확장성 병기로 구분해 왔으나 AJCC 7차 개정판은 소세포암도 비소세포암과 마찬가지로 TNM 병기를 따를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세포암을 AJ...

      머리말: 전통적으로 소세포암은 제한성, 확장성 병기로 구분해 왔으나 AJCC 7차 개정판은 소세포암도 비소세포암과 마찬가지로 TNM 병기를 따를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세포암을 AJCC 6차와 7차에 따라 병기를 구분해 보고 장기생존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239명의 환자들이 병리학적으로 소세포암으로 확진 되었으며 이들 중 진단 당시에 최초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분석할 수 있는 187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전통적 병기 뿐 아니라 AJCC 6차와 7차에 따른 TNM 병기를 분석해 보고 장기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AJCC 6차 TNM 병기에 따르면 5년 생존율은 각각 병기 I와 II에서 43%, 36%, IIIA는 36%, IIIB는 10%, IV는 7%으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AJCC 7차 TNM 병기에 따르면 병기 I, II에서 43%, IIIA에서 24%, IIIB에서 7%, IV에서 9%을 보여 IV가 IIIB보다 5년 생존율이 높았다. AJCC 6차에서 IIIB, 7차에서 IV로 전환된 환자는 22명이었고 모두 악성 흉수와 관련이 있었다.

      맺음말: 소세포암에도 TNM 병기를 적용하게 되면 더욱 세부적인 생존율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AJCC 7차 병기에 따라 IV보다 IIIB에서 더 나은 생존율을 보였던 경우는 모두 악성 흉수와 연관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AJCC 7th TNM staging system is recommended for both non-small cell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although SCLC has traditionally been classified using the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We evaluate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CLC according to the AJCC 6th and 7th TNM edition.

      Materials and Methods: 239 patients had been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SCLC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9 in our hospital. We included 187 patients who had initial CT scan of the thorax. We analyzed all available data for TNM staging using the AJCC 6th and 7th edition as well as the long-term survival rates.

      Results: According to stages defined by the 6th TNM edition system, 5-year stage-specific survivals (5-YSR) were 43% for stage I and II, 36% for stage IIIA, 10% for stage IIIB, and 7% for stage IV. Applying the 7th edition system, 5-YSR were 46% for stage I and II, 24% for stage IIIA, 7% for stage IIIB, and 9% for stage IV. Using the 7th edition, 5-YSR of the stage IV was higher than that of stage IIIB. The number of changed stage from IIIB in the 6th edition to IV in the 7th edition was 22 and all were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TNM staging to SCLC stratifies survival more distinctly than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by providing more substages. Slightly better survival of stage IV SCLC than that of stage IIIB in the 7th edition is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번역하기

      Purpose: The AJCC 7th TNM staging system is recommended for both non-small cell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although SCLC has traditionally been classified using the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We evaluate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

      Purpose: The AJCC 7th TNM staging system is recommended for both non-small cell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although SCLC has traditionally been classified using the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We evaluate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CLC according to the AJCC 6th and 7th TNM edition.

      Materials and Methods: 239 patients had been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SCLC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9 in our hospital. We included 187 patients who had initial CT scan of the thorax. We analyzed all available data for TNM staging using the AJCC 6th and 7th edition as well as the long-term survival rates.

      Results: According to stages defined by the 6th TNM edition system, 5-year stage-specific survivals (5-YSR) were 43% for stage I and II, 36% for stage IIIA, 10% for stage IIIB, and 7% for stage IV. Applying the 7th edition system, 5-YSR were 46% for stage I and II, 24% for stage IIIA, 7% for stage IIIB, and 9% for stage IV. Using the 7th edition, 5-YSR of the stage IV was higher than that of stage IIIB. The number of changed stage from IIIB in the 6th edition to IV in the 7th edition was 22 and all were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TNM staging to SCLC stratifies survival more distinctly than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by providing more substages. Slightly better survival of stage IV SCLC than that of stage IIIB in the 7th edition is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