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84949

      • 저자
      • 발행사항

        군산 : 국립군산대학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립군산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현철

      • UCI식별코드

        I804:45002-000000009938

      • 소장기관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lexithymia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child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Does alexithymia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study surveyed 313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platform to achieve its objectives. Out of the responses, 302 were considered vali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ive or irrelevant data. To measure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 modified questionnaire based on Barber's (199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tailored by Choi Myung-jin (2010) for college students, was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revised by Shin Hyun-gyun and Won Ho-taek (1997), was employed to assess alexithymia. Additionally, a modified version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was used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involv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o explore participants' background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the measurement tool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Baron and Kenny's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using Sobel test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lexithymia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path through whi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via alexithymia,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counselors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lexithymia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child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lexithymia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child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Does alexithymia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study surveyed 313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platform to achieve its objectives. Out of the responses, 302 were considered vali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ive or irrelevant data. To measure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 modified questionnaire based on Barber's (199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tailored by Choi Myung-jin (2010) for college students, was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revised by Shin Hyun-gyun and Won Ho-taek (1997), was employed to assess alexithymia. Additionally, a modified version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was used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involv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o explore participants' background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the measurement tool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Baron and Kenny's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using Sobel test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lexithymia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path through whi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via alexithymia,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counselors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어릴 적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간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응답 불성실 결과 11부를 제외한 302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2010)이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번안 및 수정한 심리적 통제(Psychological Control Scale- Youth Self-Report : PCS–YSR)척도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와 한국형 대인 관계문제 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IIP-SC)을 구성한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극적 정서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현균, 원호택(1997)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Korean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9.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 간의 상관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인관계 문제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정서 표현 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증가하고 소극적 정서 표현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소극적 정서 표현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로 이어지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소극적 정서 표현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담장면에서 치료적인 개입을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어릴 적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어릴 적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간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응답 불성실 결과 11부를 제외한 302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2010)이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번안 및 수정한 심리적 통제(Psychological Control Scale- Youth Self-Report : PCS–YSR)척도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와 한국형 대인 관계문제 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IIP-SC)을 구성한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극적 정서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현균, 원호택(1997)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Korean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9.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 간의 상관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인관계 문제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정서 표현 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증가하고 소극적 정서 표현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소극적 정서 표현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로 이어지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소극적 정서 표현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담장면에서 치료적인 개입을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