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18세기 중엽 강화도 방어체제 정비와 영종진의 위상 변화 = Reinforcement of the Ganghwado Defense System and the Change of the Status of Young Jong-j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of status of Yeongjongjin following the readjustment of the defense system of Ganghwado. Yeongjongjin, located in Namyang in Gyeonggi Province, moved to Yeongjongdo and began to take charge of the southern defense of Ganghwado. Later, Yeongjongjin was transfered to Eoyeongcheong and promoted to Bangeoyoung in the late 17th century due to the fact that it defended the entrance passage to Ganghwado, connecting Incheon-Wolmido-Yeongjongdo-Ganghwado, and was located in the main marine transportation passage. However, due to the petition of Tongeosa, it became to belong to Tongeoyoung again, but later again was subjug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Eoyeongcheong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unit should be enhanced. As a result, Yeongjongjin’s status as Bangeoyoung was solidifi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of status of Yeongjongjin following the readjustment of the defense system of Ganghwado. Yeongjongjin, located in Namyang in Gyeonggi Province, moved to Yeongjongdo and began to take charge of the southern defen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of status of Yeongjongjin following the readjustment of the defense system of Ganghwado. Yeongjongjin, located in Namyang in Gyeonggi Province, moved to Yeongjongdo and began to take charge of the southern defense of Ganghwado. Later, Yeongjongjin was transfered to Eoyeongcheong and promoted to Bangeoyoung in the late 17th century due to the fact that it defended the entrance passage to Ganghwado, connecting Incheon-Wolmido-Yeongjongdo-Ganghwado, and was located in the main marine transportation passage. However, due to the petition of Tongeosa, it became to belong to Tongeoyoung again, but later again was subjug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Eoyeongcheong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unit should be enhanced. As a result, Yeongjongjin’s status as Bangeoyoung was solid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강화도 방어체제 정비에 따른 영종진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경기 남양의 영종진은 자연도로 이동하면서 강화도 방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강화도의 진입로를 방비한다는 점과 주요 조운로에 위치해 있다는 점으로 인해 영종진은 통어영 관할에서 벗어나 어영청에 소속되고 방어영으로 승격되었다. 이 조치로 자연도 자체 방어가 영종진의 주요 임무가 되었다. 이후 영종진은 통어영에 일시적으로 소속되었다가 독진으로서의 위상을 재고해야 한다는 대신들의 의견에 따라 어영청의 관리를 다시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종진의 독진으로서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졌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진무영에 통어영을 이속하고 영종진과 교동을 좌․우 방어영으로 삼자는 정조 연간의 논의에 기반이 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강화도 방어체제 정비에 따른 영종진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경기 남양의 영종진은 자연도로 이동하면서 강화도 방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강...

      이 글은 강화도 방어체제 정비에 따른 영종진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경기 남양의 영종진은 자연도로 이동하면서 강화도 방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강화도의 진입로를 방비한다는 점과 주요 조운로에 위치해 있다는 점으로 인해 영종진은 통어영 관할에서 벗어나 어영청에 소속되고 방어영으로 승격되었다. 이 조치로 자연도 자체 방어가 영종진의 주요 임무가 되었다. 이후 영종진은 통어영에 일시적으로 소속되었다가 독진으로서의 위상을 재고해야 한다는 대신들의 의견에 따라 어영청의 관리를 다시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종진의 독진으로서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졌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진무영에 통어영을 이속하고 영종진과 교동을 좌․우 방어영으로 삼자는 정조 연간의 논의에 기반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준호, "조선후기의 수도방위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2 이근호, "조선후기의 수도방위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3 권내현, "조선후기 호적 작성과정에 대한 분석" 39 : 2001

      4 송기중, "조선 후기 수군 연구" 역사비평 2019

      5 김우진, "숙종의 강화도 축성과 御眞의 奉安" 조선시대사학회 (90) : 191-234, 2019

      6 이홍두, "병자호란 전후 江都의 鎭堡설치와 관방체계의 확립" 9 : 2008

      7 차문섭, "병마방어영설치고" 17 : 1990

      8 배성수, "바다와 섬, 인천에서의 삶" 인천광역시역사자료관 2008

      9 김경옥, "도서 이주민의 유입과 증가" 2004

      10 鄭萬祚, "肅宗朝 良役變通論의 展開와 良役對策" 17 : 1990

      1 조준호, "조선후기의 수도방위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2 이근호, "조선후기의 수도방위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3 권내현, "조선후기 호적 작성과정에 대한 분석" 39 : 2001

      4 송기중, "조선 후기 수군 연구" 역사비평 2019

      5 김우진, "숙종의 강화도 축성과 御眞의 奉安" 조선시대사학회 (90) : 191-234, 2019

      6 이홍두, "병자호란 전후 江都의 鎭堡설치와 관방체계의 확립" 9 : 2008

      7 차문섭, "병마방어영설치고" 17 : 1990

      8 배성수, "바다와 섬, 인천에서의 삶" 인천광역시역사자료관 2008

      9 김경옥, "도서 이주민의 유입과 증가" 2004

      10 鄭萬祚, "肅宗朝 良役變通論의 展開와 良役對策" 17 : 1990

      11 배성수, "肅宗初 江華島 墩臺의 축조와 그 의의" 조선시대사학회 (27) : 131-170, 2003

      12 朴廣成, "紫燕島攷" 6 : 1975

      13 尹龍九, "永宗鎭 月尾島行宮에 대하여" 9 : 2002

      14 김재근, "朝鮮王朝 軍船硏究" 일조각 1977

      15 이태진, "朝鮮後期 政治와 軍營制 變遷" 한국연구원 1985

      16 최승희, "戶口單子ㆍ准戶口에 대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 : 81-112, 1983

      17 손승철, "[단행본] 朝鮮時代 韓日關係史硏究" 지성의 샘 1994

      18 임학성, "19세기 후반 永宗鎭戶籍과 仁川 島嶼住民들의 생활양상" 11 : 2014

      19 남호현, "18세기 조선의 위기의식과 海防 논의의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87) : 257-296, 2018

      20 손병규, "18세기 良役政策과 지방의 軍役運營" 39 : 1999

      21 李敏雄, "18세기 江華島 守備體制의 强化" 34 : 1995

      22 송기중, "17세기 수군방어체제의 개편" 조선시대사학회 (53) : 5-44, 2010

      23 송양섭, "17세기 강화도 鎭堡의 운영과 屯田策의 추진" 한국사연구회 (176) : 133-174, 2017

      24 송양섭, "17세기 江華島 방어체제의 확립과 鎭撫營의 창설" 고려사학회 (13) : 10-, 2002

      25 鄭演植, "17ㆍ18세기 良役均一化政策의 推移" 13 : 1985

      26 張東翼, "1633년 京畿水使 崔震立의 解由文書에 대한 一檢討" 26 :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