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마감재와 조명은 사용자의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공간 안의 요인들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재와 조명의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97110
2020
Korean
실내 공간 ; 인테리어 마감재 ; 자연스러움 ; 편안감 ; 빛의 변화 ; Interior Space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Naturalness ; Comfort ; Light Transformation
학술저널
148-15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의 마감재와 조명은 사용자의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공간 안의 요인들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재와 조명의 상...
공간의 마감재와 조명은 사용자의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공간 안의 요인들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재와 조명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간의 시각적 자극이 적을수록 공간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선행 연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명의 변화에 따른 마감재의 Naturalness와 공간 Comfort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 만족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마감재와 조명의 선택을 돕기 위하여 마감재와 조명의 상호작용에 따른 Naturalness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조명의 어떤 요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마감재와 조명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내 공간 연출에서 마감재와 조명의 효과적인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디스플레이 표면 외광 반사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변화
디스플레이 크기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 선호 백색 변화
뉴트로 트렌드를 반영한 어글리 슈즈의 색채 경향과 선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