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 시대별 농구 경기 패턴 비교 분석: 1997-2023 = Comparisons of Basketball Game Patterns between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NBA) and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by Era: 1997-20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75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 시대별 농구 경기 패턴 분석 비교: 1997-2023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애널리틱스 및 스포츠애널리틱스 전공 박민아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 정 규시즌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즌별 주요 경기 전술 패턴의 변화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규시즌 데이터는 NBA와 KBL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크롤링한 후, 4년 단위로 구분하여 총 7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의 경기데이터를 기준으로 주요 지표의 변화 와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기술통계을 사용하여 각 지표의 평균과 표준편차 를 산출하고, 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검정을 통해 데이터의 정규성 을 확인하였다. 이후,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시대별 주요 경기 지표가 시즌 승률(W%)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7개 그룹 간 주요 지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NBA와 KBL 간 주요 지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NBA에서는 2010년대 이후 3점슛 성공률(3P%)이 승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로 나타났으며, KBL에서는 2점슛 성공률(2P%)과 수비 리 바운드(DREB)가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BA는 외곽 슛 중심의 공격 전술을 강화한 반면, KBL은 전통적인 경기 스타일을 유지하며 내외곽 플레이의 균형을 중시하는 전술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정규시즌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 하였으므로, 플레이오프와 같은 고강도 경기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점에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플레이오프 데이터를 포함하고, 개별 선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정교 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시대별, 경기패턴, 경기분석
      번역하기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 시대별 농구 경기 패턴 분석 비교: 1997-2023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애널리틱스 및 스포츠애널리틱스 전공 박민아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23년...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 시대별 농구 경기 패턴 분석 비교: 1997-2023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애널리틱스 및 스포츠애널리틱스 전공 박민아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 정 규시즌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즌별 주요 경기 전술 패턴의 변화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규시즌 데이터는 NBA와 KBL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크롤링한 후, 4년 단위로 구분하여 총 7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의 경기데이터를 기준으로 주요 지표의 변화 와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기술통계을 사용하여 각 지표의 평균과 표준편차 를 산출하고, 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검정을 통해 데이터의 정규성 을 확인하였다. 이후,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시대별 주요 경기 지표가 시즌 승률(W%)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7개 그룹 간 주요 지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NBA와 KBL 간 주요 지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NBA에서는 2010년대 이후 3점슛 성공률(3P%)이 승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로 나타났으며, KBL에서는 2점슛 성공률(2P%)과 수비 리 바운드(DREB)가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BA는 외곽 슛 중심의 공격 전술을 강화한 반면, KBL은 전통적인 경기 스타일을 유지하며 내외곽 플레이의 균형을 중시하는 전술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정규시즌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 하였으므로, 플레이오프와 같은 고강도 경기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점에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플레이오프 데이터를 포함하고, 개별 선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정교 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시대별, 경기패턴, 경기분석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season-specific tactical patterns in professional basketball games by analyzing regular-season data from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NBA) and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from 1997 to 2023. The regular-seas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from the official NBA and KBL websites and were grouped into seven four-year intervals. The changes and pattern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ndicator, and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normality of the dat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impac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season win percentages (W%) across different eras, whi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key indicators among the seven groups. Additionally,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key performance indicators between the NBA and the KBL.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NBA, three-point shooting percentage (3P%)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indicator of win percentage in the 2010s and beyond. In contrast, in the KBL, two-point shooting percentage (2P%) and defensive rebounds (DREB)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indica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BA has enhanced its reliance on perimeter shooting as a key offensive strategy, reflecting modern basketball trends, while the KBL has retained its traditional playing style, emphasizing a bala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plays.
      This study is limited by its focus on regular-season data, excluding high-intensity playoff game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playoff data and utilize individual player data to enable more detailed analys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season-specific tactical patterns in professional basketball games by analyzing regular-season data from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NBA) and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from 1997 to 2023. Th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season-specific tactical patterns in professional basketball games by analyzing regular-season data from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NBA) and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from 1997 to 2023. The regular-seas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from the official NBA and KBL websites and were grouped into seven four-year intervals. The changes and pattern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ndicator, and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normality of the dat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impac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season win percentages (W%) across different eras, whi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key indicators among the seven groups. Additionally,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key performance indicators between the NBA and the KBL.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NBA, three-point shooting percentage (3P%)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indicator of win percentage in the 2010s and beyond. In contrast, in the KBL, two-point shooting percentage (2P%) and defensive rebounds (DREB)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indica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BA has enhanced its reliance on perimeter shooting as a key offensive strategy, reflecting modern basketball trends, while the KBL has retained its traditional playing style, emphasizing a bala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plays.
      This study is limited by its focus on regular-season data, excluding high-intensity playoff game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playoff data and utilize individual player data to enable more detailed analy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가설 4
      • 4. 조작적 정의 5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가설 4
      • 4. 조작적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7
      • 1. 스포츠 경기분석 7
      • 2. 미국 프로농구(NBA) 역사 9
      • 3. 한국 프로농구(KBL) 역사 10
      • 4.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 경기 규칙 11
      • III. 연구 방법 13
      • 1. 연구 대상 13
      • 2. 자료 수집 14
      • 3. 연구 절차 14
      • 4. 통계 분석 18
      • IV. 연구 결과 20
      • 1. 미국 프로농구(NBA) 1997-2023년 주요 지표 분석 결과 20
      • 1-1. 미국 프로농구(NBA) 시대별 7구간 회귀분석 결과 22
      • 1-2. 미국 프로농구(NBA) 1997-2023년 시대별 차이검증 결과 25
      • 2. 한국 프로농구(KBL) 1997-2023년 주요 지표 분석 결과 30
      • 2-1. 한국 프로농구(KBL) 시대별 7구간 회귀분석 결과 32
      • 2-2. 한국 프로농구(KBL) 1997-2023년 시대별 차이검증 결과 34
      • 3.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39
      • 3-1.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1997-2000년 차이검증 40
      • 3-2.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01-2004년 차이검증 41
      • 3-3.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05-2008년 차이검증 42
      • 3-4.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09-2012년 차이검증 43
      • 3-5.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13-2016년 차이검증 44
      • 3-6.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17-2020년 차이검증 45
      • 3-7. 미국 프로농구(NBA)와 한국 프로농구(KBL)의시대별 주요 지표 차이검증 결과: 2021-2023년 차이검증 46
      • Ⅴ. 논 의 47
      • Ⅵ. 결론 및 제언 50
      • 참고문헌 53
      • Abstract 58
      • 부록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