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 A Study on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focusing on Article 999 of the Civil Code,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which understands the claim for restorati...

      This paper discusse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focusing on Article 999 of the Civil Code,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which understands the claim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 collection of individual claims arising from the individual properties that make up the inherited property, rather than a single independent claim, is appropriate. The Supreme Court initially followed the doctrine of independent rights, but changed to the doctrine of collective rights in 1981 with the unanimous decision, which continues to this day. According to the theory of independent rights, which theorizes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n individual claim and an independent right, even after the expulsion period of Article 999,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has passed, an individual such as a claim for return of possessions The above exclusion period, which was set for the speedy stabilization of the inheritance relationship, becomes meaningless because the right to claim can be exercised.
      Secon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conflict between claims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nd individual claims is denied, so individual claims for inherited property are extinguish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for laiming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 result, while property claims arising from ownership rights are not extinguished by prescription, property rights held by heirs are extinguish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exemption period of Article 999,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This is a result that shakes the system, but it is an unavoidable result because the Korean Civil Code started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quickly establishing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inheritance and stabilizing the business relationship at an early stage.
      Thir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conflict between claims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nd individual claims is denied.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it will be extinguished and that it will be an unfair result of overprotecting the matching heir, but this is also the second unavoidable result.
      Fourth,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there are criticisms such as the second and third, but this i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vision (special provision for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of heirs) like Article 2029 of the German Civil Code.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o settle legislatively by doing.
      Fifth, the issue of whether a sedated heir can exercise his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against a third party who has inherited inherited property from matching it would be good toinheritance can be resolved by establishing a new prestige provision such as Article 2030 of the German Civil Co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정평, "한국친족상속법"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2

      2 김증한, "학설⋅판례 주석민법(하)" 한국사법행정학회 1972

      3 김용한, "친족상속법론(보정판)" 박영사 2004

      4 윤진수, "친족상속법강의" 박영사 2016

      5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9

      6 송덕수, "친족상속법" 박영사 2015

      7 김주수, "친족⋅상속법" 법문사 2022

      8 윤진수, "주해상속법" 박영사 2019

      9 김주수, "주석 친족⋅상속법" 법문사 1993

      10 권순한, "점유권의 상속과 상속회복청구권" 법학연구원 21 (21): 315-348, 2011

      1 임정평, "한국친족상속법"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2

      2 김증한, "학설⋅판례 주석민법(하)" 한국사법행정학회 1972

      3 김용한, "친족상속법론(보정판)" 박영사 2004

      4 윤진수, "친족상속법강의" 박영사 2016

      5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9

      6 송덕수, "친족상속법" 박영사 2015

      7 김주수, "친족⋅상속법" 법문사 2022

      8 윤진수, "주해상속법" 박영사 2019

      9 김주수, "주석 친족⋅상속법" 법문사 1993

      10 권순한, "점유권의 상속과 상속회복청구권" 법학연구원 21 (21): 315-348, 2011

      11 이상경, "재산상속회복청구권론(하)" 대한변호사협회 1996

      12 이상경, "재산상속회복청구권론(상)" 대한변호사협회 1996

      13 신성택, "재산산속회복청구에 관하여" 법원행정처 10 : 1979

      14 정광현, "신친족상속법요론" 법문사 1961

      15 이근식, "신친족상속법론" 일조각 1982

      16 장경학, "신고 친족상속법" 서울고시학회 1963

      17 박병호, "상속회복청구의 피고적격" 박영사 8 : 1986

      18 제철웅, "상속회복청구궝" 한림대 6 : 1997

      19 이동진,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 ―법률해석, 헌법적 평가, 개선입법―" 한국가족법학회 33 (33): 457-504, 2019

      20 오창수,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 – 대상판결 :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0다5740 전원합의체판결" 판례월보사 1992 (1992): 1992

      21 박영식, "상속회복청구권의 성질" 경문사 3 : 1981

      22 권용우, "상속회복청구권의 성질" 법학연구소 33 (33): 677-708, 2009

      23 이상태, "상속회복청구권의 성질" 숙명여자대학교 현대사회발전연구소 2 : 1987

      24 이승우, "상속회복청구권의 성질" 한국방속통신대학교 12 : 1991

      25 김진현, "상속회복청구권의 비교법적 고찰" 강원대 17 : 1982

      26 박종렬,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조선대 9 : 2003

      27 신영호,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한국가족법학회 (10) : 1996

      28 김규장,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대한민사법학회 2 : 1993

      29 이동률,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격"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2005

      30 정해상, "상속회복청구권의 법리" 중앙대 (창간) : 1999

      31 정범석, "상속회복청구권의 문제점" 법조협회 18 (18): 1969

      32 이동률, "상속회복청구권의 문제점" 단국대 천안캠퍼스 6 : 1997

      33 이현재, "상속회복청구권에 있어서 진정상속인의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8 (28): 41-70, 2008

      34 김성태,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한 연구 : 진정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5

      35 김현옥,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36 박운길,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한 문제점" 조선대 9 : 2003

      37 김재진,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하여" 법원행정처 18 : 1983

      38 최창렬, "상속회복청구권과 물권적 청구권의 관계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법학회 (13) : 1999

      39 박영식, "상속회복청구권과 물권적 청구권과의 관계(하)" 1978

      40 박영식, "상속회복청구권과 물권적 청구권과의 관계(상)" 1978

      41 이화숙, "상속회복청구권과 물권적 청구권과의 관계" 1998

      42 박병호, "상속회복청구권 관견" 박영사 1985

      43 장경학, "상속회복청구권" 18 (18): 1963

      44 곽윤직, "상속법(개정판)" 박영사 2004

      45 김용한, "상속결격과 상속회복" (4) : 1975

      46 이화숙, "민법학의 회고와 전망(민법전 시행 30주년 기념논문집)" 한국사법행정학회 1993

      47 송영곤, "민법의 쟁점" 유스티니아누스 2005

      48 민의원 법제사법위원회, "민법안심의록 하권"

      49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10

      50 김병선, "민법 제999조(相續回復請求權)의 해석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 한국가족법학회 26 (26): 127-170, 2012

      51 권용우, "물권법" 법문사 2001

      52 현승종, "로마법" 법문사 1996

      53 이경희, "가족법(전정판)" 법원사 2008

      54 한봉희, "가족법(개정판)" 푸른세상 2007

      55 박병호, "가족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1

      56 鄭守根, "財産相續回複請求權에 관한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6

      57 鈴木祿彌, "相續法講義" 創文社 1987

      58 近藤英吉, "相續法論(下)" 弘文堂 1936

      59 近藤英吉, "相續法論(上)" 弘文堂 1936

      60 中川善之助, "相續法(法律學全集 24)" 有斐閣 1988

      61 池哲瑚, "相續回復請求權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62 伊藤昌司, "相續回復請求權と受贈者" 51 (51): 1979

      63 加藤雅信, "現代民法學の展開" 有斐閣 1991

      64 泉久, "注釋民法 24" 有斐閣 1967

      65 副田隆重, "民法講座 7 : 親族⋅相續" 有斐閣 1984

      66 加藤一郞, "民法演習 Ⅴ(親族⋅相續)" 有斐閣 1960

      67 我妻榮, "民法大意 下卷" 岩波書店 1971

      68 有泉亨, "新版 親族法⋅相續法" 弘文堂 1971

      69 山中康, "家族法大系 Ⅵ" 有斐閣 1960

      70 柚木馨, "判例 相續法論" 有斐閣 1953

      71 Lange, H, "Lehrbuch des Erbrechts" Mὓnchen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