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내공간의 지속가능성 구현을 위한 마감재의 적용연구 = A Study of Material Application for Sustainable Residential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6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realize environmental and social feasibility has become a global paradigm. In residential field, sustainable residence is suggested as a concept embracing social meanings such as equity, strengthening of regional society, and conservation of culture together with the original form of emphasizing eco-friendliness.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materials of residential space such as heal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are recently becoming issues, tell us the importance of choosing and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im of suggesting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and developing direc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through material application situation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that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 in interior space is taken about 50%, along with applied each space(floor-wall-ceiling), has different of the rate. And presenting that the materials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ustainablity were largely applied due to the fact that interior space is greatly influenced by capacity of material and the residents’ needs. However, there was a lament that the part of concerning with manufacturer and operator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about sustainablity. Therefore, to realize sustainability of genuine meaning, it is necessary for a study to be conducted regarding the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improve recognition, along with social and cultural agree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go beyond the immedia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developing and applying materials aiming for sustainability that can be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realize environmental and social feasibility has become a global paradigm. In residential field, sustainable residence is suggested as a concept embracing social meanings such as equity...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realize environmental and social feasibility has become a global paradigm. In residential field, sustainable residence is suggested as a concept embracing social meanings such as equity, strengthening of regional society, and conservation of culture together with the original form of emphasizing eco-friendliness.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materials of residential space such as heal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are recently becoming issues, tell us the importance of choosing and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im of suggesting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and developing direc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through material application situation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that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 in interior space is taken about 50%, along with applied each space(floor-wall-ceiling), has different of the rate. And presenting that the materials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ustainablity were largely applied due to the fact that interior space is greatly influenced by capacity of material and the residents’ needs. However, there was a lament that the part of concerning with manufacturer and operator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about sustainablity. Therefore, to realize sustainability of genuine meaning, it is necessary for a study to be conducted regarding the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improve recognition, along with social and cultural agree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go beyond the immedia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developing and applying materials aiming for sustainability that can be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성과 더불어 환경성, 사회성의 구현을 위한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은, 이제 전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주거분야에서는 기존의 친환경성을 강조한 형태에서 나아가 거주자의 건강과 안전등의 사회적 의미를 포괄한 개념으로서 지속가능한 주거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 이슈인 실내공간의 마감재에서 기인한 건강, 환경오염 등의 여러 가지 문제는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선택과 적용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거주자의 생활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실내공간의 마감재적용 현황분석을 통하여 거주자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마감재의 적용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사례대상의 아파트들에서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비율은 절반 내외 수준이었고, 바닥, 벽체 천정에서 적용 공간에 따라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 비율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내공간의 지속가능한 마감재 적용의 특성은 마감재의 성능과 거주자의 니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회지속가능성을 가진 마감재가 많이 적용되어 있는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마감제 생산자 및 시공자가 고려해야할 부분에서는 지속가능성의 의미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성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생산자, 시공자, 거주자가 관심을 갖고 지속가능한 실내공간을 위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당장의 효율성과 편이성을 넘어선 사회, 문화적인 합의와 제도적인 뒷받침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실내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마감재들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경제성과 더불어 환경성, 사회성의 구현을 위한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은, 이제 전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주거분야에서는 기존의 친환경성을 강조한 형태에서 나아가 거주...

      경제성과 더불어 환경성, 사회성의 구현을 위한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은, 이제 전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주거분야에서는 기존의 친환경성을 강조한 형태에서 나아가 거주자의 건강과 안전등의 사회적 의미를 포괄한 개념으로서 지속가능한 주거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 이슈인 실내공간의 마감재에서 기인한 건강, 환경오염 등의 여러 가지 문제는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선택과 적용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거주자의 생활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실내공간의 마감재적용 현황분석을 통하여 거주자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마감재의 적용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사례대상의 아파트들에서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비율은 절반 내외 수준이었고, 바닥, 벽체 천정에서 적용 공간에 따라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 비율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내공간의 지속가능한 마감재 적용의 특성은 마감재의 성능과 거주자의 니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회지속가능성을 가진 마감재가 많이 적용되어 있는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마감제 생산자 및 시공자가 고려해야할 부분에서는 지속가능성의 의미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성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생산자, 시공자, 거주자가 관심을 갖고 지속가능한 실내공간을 위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당장의 효율성과 편이성을 넘어선 사회, 문화적인 합의와 제도적인 뒷받침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실내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마감재들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원진, "환경 친화를 반영한 주거공간의 가치" 2011

      2 이상협,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3 정종대, "친환경 주거단지의 계획과 평가" 한국학술정보 2006

      4 강영환, "주택계획 이론과 설계" 기문당 2010

      5 이경희, "주거와 환경" 문은당 1994

      6 양지연, "일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중 알데히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17 (17): 45-56, 2008

      7 윌리엄맥도너, "요람에서 요람으로" 에코리브로 2003

      8 이아영, "상암 새천년주거단지 현상설계안에서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주거단지계획 적용특성" 대한건축학회 20 (20): 23-32, 2004

      9 데이비드 트로비스, "문화경제학" 한울아카데미 2004

      10 박종찬, "디자인재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8

      1 태원진, "환경 친화를 반영한 주거공간의 가치" 2011

      2 이상협,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3 정종대, "친환경 주거단지의 계획과 평가" 한국학술정보 2006

      4 강영환, "주택계획 이론과 설계" 기문당 2010

      5 이경희, "주거와 환경" 문은당 1994

      6 양지연, "일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중 알데히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17 (17): 45-56, 2008

      7 윌리엄맥도너, "요람에서 요람으로" 에코리브로 2003

      8 이아영, "상암 새천년주거단지 현상설계안에서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주거단지계획 적용특성" 대한건축학회 20 (20): 23-32, 2004

      9 데이비드 트로비스, "문화경제학" 한울아카데미 2004

      10 박종찬, "디자인재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8

      11 전소윤,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컨텍스트와 어젠다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445-460, 2011

      12 천현숙, "녹색성장형 국토발전전략 연구; 주거부분" 국토연구원 2009

      13 이지순, "공동주택 실내마감재의 친환경 성능수준에 따른 적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4 USGBC, "LEED for Homes Rating System 2008" 2010

      15 JSBC, "CASBEE for Home technical manual edition 2007" IBEC 2010

      16 BRE Global Ltd, "BREEAM Multi-residential 200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