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집단 미술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Y초등학교 12세의 아동 6명을 대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집단 미술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Y초등학교 12세의 아동 6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집단 미술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Y초등학교 12세의 아동 6명을 대상으로 학교 방과 후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정서 지능의 하위 영역인 정서 인식, 정서 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 활용에서 사전 사후 검사화 HTP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방과 후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아동의 전체 정서 지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 되지는 않았지만 정서 지능 검사의 하위 영역인 정서 활용 면에서는 사전 사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 되었다. HTP 검사의 문제행동 점수 또한 사전 사후 검사 실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정서 지능 점수 증가의 효과성은 검증 되지 못했지만 정서 지능의 하위 요인인 정서활용 면에서 효과가 나타났고, HTP 검사의 문제 행동 점수 또한 의미 있게 감소 된 것으로 볼 때, 방과 후 집단 미술 치료가 아동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프로그램의 회기 수를 충분히 늘린다면 아동의 정서 변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after school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improving children's emotion. This research aimed to helping childre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program of after school group art therapies. For this r...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after school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improving children's emotion. This research aimed to helping childre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program of after school group art therapies.
For this research, 6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group art therapies. The research analyzed the changes of sub-variab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ppraisal of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sympathy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utilization of emotion) and House-Tree-Person Test before and after researc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indication of change emotional intelligence' s total scale significantly.
Second, From the sub-variabl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emotion before and after research.
Third, the participant decease maladjustment bebavior in House-Tree-Person Test significantly.
In summary, There is no indication of change emotional intelligence' s total scale significantly, but there is positive effects on utilization of emotion and House-Tree-Person Test. Thus group art therapy had been positively changed participants' emotional cultivation. A following research for long period of time would lead to much better effects.
남자 대학생의 성적 공격성과 적대감, 과잉 남성성, 공감의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학습 지원을 위한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프로그램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