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도 본(本)의 수련적 의미와 현대적 이용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78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I have intended to inquire of the guidance study about Kata guidance that is based on a guidance theory of Kata leaders in Kend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ata(本) of Kendo, from its establishment to revisions and amendments, an...

      In this research, I have intended to inquire of the guidance study about Kata guidance that is based on a guidance theory of Kata leaders in Kend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ata(本) of Kendo, from its establishment to revisions and amendments, and to identify the practical significance and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Mordern Martial arts. Such Kata of Kendo are selective kinetic expressions of the purpose, the method, the soguence, formaliz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numerous practicxians and accumulation of researches. The Kata of Kendo must reflect and synthesize the most basic and desired techniques of all and serve as the purification of all Kendo practices, including manners, facing posture, attack and defense, distance, cheering, and concluding attitud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Bon of Kumdo and the Bon of modem Kumdo formalized as a competitive came. The Bon of Kumdo is the condensed form of all Jinkum(眞劍; real-sword) techniques of the past, rather than a form necessitated for Jukdo(竹刀; Bamboo-sword).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kum and the Jukdo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thus necessary to develop a new form that suits the Jukdo usage on top of the current Bon. Accordingly, The Kata leaders Shoud the direction of progress in Kata as the change in structural types of Dan (the grades in Kendo) examination in Kendo and desirable way of teaching Kata turned out to be the repetition. Especially the most necessary factors with the instructor appeared as the teaching ability derived from the positive experienc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applying that ability and righteous point of vie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홍희, "태권도교본" 성화문화사 1959

      2 이종우, "태권도교본" 오성출판사 1973

      3 김종달, "유도의 본(Ⅰ)" 보경문화사 1-, 1997

      4 허건식, "무도연구기초" 무지개사 2007

      5 김정행, "무도론" 대한미디어 1997

      6 황 기, "당수도교본" 계량문화사 1958

      7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8

      8 정동권, "검도본의 변천에 따른 본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1998

      9 이종림, "검도" 한국문원 1995

      10 全日本劍道聯盟, "解說書にもとづく意志統一增補"

      1 최홍희, "태권도교본" 성화문화사 1959

      2 이종우, "태권도교본" 오성출판사 1973

      3 김종달, "유도의 본(Ⅰ)" 보경문화사 1-, 1997

      4 허건식, "무도연구기초" 무지개사 2007

      5 김정행, "무도론" 대한미디어 1997

      6 황 기, "당수도교본" 계량문화사 1958

      7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8

      8 정동권, "검도본의 변천에 따른 본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1998

      9 이종림, "검도" 한국문원 1995

      10 全日本劍道聯盟, "解說書にもとづく意志統一增補"

      11 木村庫之助, "空手道入門" 金園社 1983

      12 長嶺將眞, "空手道" 신인물주래사 1978

      13 全日本劍道聯盟, "日本劍道形審査上の着眼点增補"

      14 全日本太極拳協會, "太極拳" 德澤印刷 1984

      15 大日本武德會本部, "大日本帝國劍道形解說書"

      16 大日本武德會本部, "大日本帝國劍道形 增補加註"

      17 大日本武德會本部, "大日本帝國劍道形 加註"

      18 植芝吉祥丸, "合氣道" 東京印書館 1986

      19 全日本劍道聯盟, "劍道形の留意点 增補"

      20 全日本劍道聯盟, "劍道形の留意点 增補"

      21 全日本劍道聯盟, "劍道形の留意点 增補"

      22 劍道日本編輯部, "全解 日本劍道形" 株式會社東京印書館 1987

      23 Wang Pi(Anno), "Chou Yi [The book of changes Ssu-puts'ung - R'aned" commercial bess 19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5 0.652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